검색 상세

USN 센서노드에 의한 소방기지국 장애관리 방안 연구

Fire base station Fault Management Study by the USN sensor nodes

초록/요약

본 논문에서 USN 센서노드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소방기지국의 장애를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채널조정과 선로이상 표시의 단순 관리 밖에 할 수 없었던 기존 소방기지국 시스템을 USN 센서기술 및 LTE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AC, DC, 진행파출력, 반사파출력, PSTN레벨값, 온도 등의 장애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하였고,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활동 중인 소방대원도 장애정보를 확인하고 컨트롤 할 수 있게 구현하였다. 변화무상한 기지국 내부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로 감시하고, 활동 중인 소방관이 스마트폰으로 장애를 쉽게 인지하고 조치 할 수 있어 장애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던 기존시스템에 비해 관리 감독체계가 많이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업무에 있어서도 중앙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직접 방문 점검하는 횟수를 조정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었고, 보다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기지국관리와 시스템 보강사업 역점시책 발굴의 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기지국장치의 장애발생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장애로 인한 119상황실의 무선관제 공백을 최소화 할 수 있었다는 점이 본 연구의 가장 큰 실적이라고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안정적인 무선관제능력을 확보함으로서 119재난현장 상황파악 등 대응력이 강화되었으며, 신속하게 현장에 119출동대를 출동시킬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재산과 생명보호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more

목차

목 차
제 1 장 서 론 1
제 2 장 관련연구
2.1 USN 센서노드 기술 연구 5
2.2 USN 모니터링 기술 연구 9
2.3 국외 USN 관련 시스템 구축 사례 연구 12
2.4 국내 USN 관련 시스템 구축 사례 연구 21
제 3 장 기지국 원격단말 요구사항 분석 29
3.1 전원 30
3.2 진행파 및 반사파 32
3.3 전송로 33
3.4 Door 35
3.5 온도 35
3.6 스마트폰을 통한 장애 문자전송 및 웹 접속제어 36
제 4 장 시스템 설계 및 성능평가
4.1 시스템 개요 37
4.2 시스템 설계 38
4.3 시스템 구현 49
4.4 시스템 성능평가 54

제 5 장 결론 및 향후 연구방안 60

참고문헌 6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