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탈북 작가의 장편 소설 연구

A study on North Korean defect writer’s Novels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탈북 작가들의 작품이 지니고 있는 내용과 형식적 특성이 나타나게 만든 요인들을 사회적 요소들과 결부시켜 파악하는 것에 있다. 탈북 작가들의 저술활동과 창작활동은 비교적 오랜 기간 이루어져 왔으나, 이들의 작품이 지닌 정치적 성격과 특수성으로 인해 심도 있는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아 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출발한 이 연구는 이들의 소설에 나타나는 남북 이데올로기의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탈북 시기에 따른 작가의 북한과 남한에서의 체험과 내적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작가의 탈북 시기별로 특이성이 변별적으로 나타나는 이항구의 『소설 김일성』, 김대호의 『연변에 약산 진달래꽃』, 김유경의 『청춘연가』를 논의 대상으로 삼았다. Ⅱ장에서는 『소설 김일성』이 지닌 정치성을 중심으로 내용과 서사구조가 지닌 이분법적 양상을 검토하였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계층별 갈등 구조가 성분과 체제 이데올로기에 대한 태도에 따라 대별적인 양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형식적 측면에서는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의 갈등 구조를 토대로 서사구조가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내용과 형식에 있어 이분법적 갈등방식과 서사 전개 양상이 지닌 의미는 작가가 남한의 사상검열에 응해야 했던 억압적인 상황과 탈북 이후 남한의 기관에 소속되어 저술한 여타 저술과의 연관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그의 작품이 지닌 특성은 남북 이데올로기 갈등이 극심했던 시기에 탈북했다는 사실과 연관된 남한 체제의 반공 이데올로기에 의한 것이기도 하며, 작가가 지닌 이데올로기적 인식 방식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Ⅲ장에서는 『연변에 약산 진달래꽃』이 지닌 자전 소설적 성격을 중심으로 정체성의 형성과정과 변화 양상을 작품이 지닌 복합 장르적 특성을 관련지어 검토하고자 하였다. 북에서의 정체성의 형성은 북한 체제 이데올로기의 수용이란 의미를 지닌다. 어린 시절은 사회의 계층구조의 수용으로 인한 성분에 따른 갈등의식이 나타나나 군입대 후에는 체제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며 집단적 정체성을 획득하게 된다. 탈북 전후 시기에는 북한 체제하에서 지녔던 정체성이 해체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내용적 특성은 작품이 지닌 수기, 소설, 실화, 시라는 복합 장르적 형식으로 표출된다. 복합 장르적 형식을 통해 북한 체제 비판적 인식과 함께 북한 체제에 대한 그리움과 또한 지니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북한 체제에 대한 이중적 인식이 나타난 사회적 요인으로는 작가의 북한내에서의 견고한 이데올로기 교육과 남한내 대북 담론과 제도의 변화와 관련 있다고 보았다. Ⅳ장에서는 『청춘연가』에서는 증언문학이란 개념을 토대로 무엇을 어떠한 방식으로 그려내는지를 분석하였다. 작품은 내용적 측면에서 북한의 고난의 행군 시기의 세태, 중국에서의 삶, 남한에서의 정착 과정에서의 적응 문제를 다루고 있다. 형식적으로는 유사한 경험을 한 다양한 계층의 탈북 여성들의 체험에 기반하여 전개되고 있다. 이를 통해 북한과 중국에서의 생존과 존재감이 위협받던 과거로 인한 트라우마가 창작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뿐만 아니라, 남한에서 또한 주변인에 머물게 되는 현실을 그려냄으로써 탈북자들의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낸다. 이는 남북한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적 인식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인식에서 남성성적인 이데올로기와 대립적이라 할 수 있는 모성성이 강조되며 생명 존중의식과 개인적인 가치 추구 의식이 발현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청춘연가』에서 나타나는 작품의 특성은 2000년대 이후 탈북자들이 급증하며 탈북자들에 의한 주체적인 사회활동과 문학 활동의 확대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관주도의 대북 담론과는 차이를 지닌 스스로 생성해가는 새로운 담론층의 형성과 관련하여 그 의미에 접근할 수 있다고 보았다. Ⅴ장에서는 탈북 작가들의 작품이 지니는 의의와 이들의 문학 연구가 지닌 가치를 제시하였다. 탈북 작가들의 작품은 분단문학의 관점에서 이질화된 남북 문학의 경계선 상에 있다는 점에서 남북 통일문학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리고 월남 작가들의 작품에 대한 연구의 연장선상에 남북한의 이데올로기의 변화 양상이 이들의 문학에 끼친 영향관계를 검토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이데올로기와 문학의 연관성을 검토하는 데 있어서도 유용하다. 이러한 국내 문학사적 맥락에서의 가치 이외에도 이들의 문학은 국내외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디아스포라 문학에 대한 고찰이란 측면에서 또한 가치를 지닌다. Ⅵ장에서는 각 작품들이 지닌 내용과 형식적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이들의 작품 분석을 위한 중요 요소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이들의 작품이 지닌 표면적 내용에만 주목함으로 나타나게 된 이들 작품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이해와 인식을 극복하려는 시도이다. 이들의 문학이 지닌 다의적인 측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가들의 탈북 이전과 이후의 남북한의 이데올로기적 양상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이들의 삶과 사회활동을 규제하는 제도의 변화, 시기에 따른 탈북과정에서의 체험, 탈북 전후의 심리적 상태와 변화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more

목차

차 례

<국문초록> i

Ⅰ. 서론 1
1. 문제 제기 1
2. 연구사 검토 3
3. 연구의 대상과 방법 12

Ⅱ. 남한의 반공 이데올로기로 인한 이분법적 갈등 구조 – 이항구의 『소설 김일성』 21
1. 반공주의의 작가의 영향성과 표층서사 21
1) 반공 이데올로기의 형성에 따른 사상검열과 작가 21
2) 『소설 김일성』의 표층 서사 26
2. 북한 정권의 세습과정에 대한 비판 34
1) 권력 세습의 비판적 서사화 34
2) 지도층의 폭력적 행태 39
3. 북한 하위계층의 비극적 참상 46
1) 신분에 따른 차별과 갈등 46
2) 하위계층의 반체제 의식 52
4. 주체사상의 허구성의 고발 61
1) 사상의 직접적 비판 양상 61
2) 사상에 따른 사회적 모순의 재현 64
5. 남북 이데올로기 갈등과 작가의 현실 68

Ⅲ. 정체성 혼란과 연계된 장르 이완 – 김대호의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77
1. 대북 담론 변화의 작가 영향관계와 표층서사 77
1) 대북 담론과 탈북자 정책의 변화와 작가 77
2)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의 표층 서사 84
2. 청소년 시절의 기억의 재현 91
1) 성분에 따른 심리적 갈등 91
2) 사회제도에 의해 좌절된 연애 94
3. 체제 이데올로기의 맹목적 순종 99
1) 군복무 체험의 의미 99
2) 사회적 성장과 좌절 102
4. 탈북 전·후의 북한에 대한 인식의 변화 107
1) 북한 체제에 대한 의심 107
2) 정체성의 기반인 신념의 상실 109
5. 정체성 해체의 반영으로서의 장르 혼종성 113

Ⅳ. 탈북 체험에 기반한 증언적 복수 시점의 서사구조 - 김유경의 『청춘연가』 118
1. 탈북자의 담론 형성이라는 의미로서의 증언문학적 특성과 표층서사 118
1) 탈북자 중심의 담론 형성과 증언문학 118
2) 『청춘연가』의 표층서사 123
2. 고난의 행군 시기의 기억 136
1) 파괴된 생활의 기억 136
2) 생존을 위한 탈주 140
3. 난민 체험의 기록 144
1) 탈북 여성들의 모멸적 체험의 기록 144
2) 생존을 넘어선 주체 복원의 역정 148
4. 탈북자들의 남한 적응 문제 152
1) 남한에서의 주변인으로서의 자각 152
2) 회복 불가능한 상실감의 지속 155
5. 탈이데올기적 시각의 확보와 증언문학 161

Ⅴ. 탈북 작가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166
1. 분단문학의 경계지역의 작품 166
2. 월남 작가와의 연계성 167
3. 현시대 디아스포라 문학으로서의 보편성 169

Ⅵ. 결론 171

<참고문헌> 176
184
<별지 1> 탈북자 수기/에세이 목록 187
<별지 2> 탈북 작가 시집 목록 19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