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컨스트럭터빌리티 향상을 위한 IDEF0 기반의 VE 프로세스 모델 개발 : 대규모 건축프로젝트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he Value Engineering Process based on IDEF0 Modeling for improving constructability

초록/요약

최근 진행되는 건설 프로젝트들은 주택단지나 공장, 연구시설 등 대규모로 건설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총 공사비 100억 이상 공공 건축물에 대해 VE(Value Engineering, 가치공학)를 시행하고 있지만 대규모 건축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민간 발주자는 사업비가 많아지다보니 비용절감과 기능향상을 추구할 수 있는 VE 적용을 자발적으로 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발주자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VE는 아직까지 시행여건이 미성숙하여 효율성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VE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현황이다. 기존 설계 또는 시공 VE는 프로세스가 체계적이지 못하고, 업무적용을 위한 표준양식(Template)이 부족하고 동기부여를 위한 인센티브 정책단계가 없으며 검증 절차의 미흡 등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IDEF0 기반의 VE 프로세스 모델은 VE를 수행함에 있어 컨스트럭터빌리티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VE 프로세스 모델은 각 단계별 기능을 정의하고 기능간 체계적인 연계를 IDEF0 모델을 통해 제시하여, VE 참여자들의 의사소통,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VE가 가능토록 하였다. 또한 아이디어 도출의 핵심요소인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공사의 VE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 VE보다 다양한 항목의 아이디어 및 대안제시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컨스트럭터빌리티 향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기존 VE 대비하여 확실한 비용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IDEF0 기반의 VE 프로세스 모델을 구성하는 4가지 구성요소를 토대로 각 요소별 결과물을 도출하는 과정과 이를 활용하여 시공단계에서의 VE를 추진하는 발주자가 활용할 수 있는 절차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델을 통하여 발주자가 프로젝트의 공사기간과 공사비 절감금액, 건물의 기능향상, 건물 전반적인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 LCC) 등을 고려하여 평가된 최적 대안을 선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IDEF0 방법론을 활용하여 상호연관 되는 업무프로세스별 세부적인 단계까지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해당 기능과 역할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는 세부적인 업무프로세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으며, 업무분석과 실제 적용시 일관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실제 대규모 건축프로젝트 사례에 본 IDEF0 기반의 VE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개선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 동기부여를 위한 인센티브 정책수행단계를 제안하였고,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지원하는 각종 표준양식(Template)을 개발하였으며, 시공사의 VE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안의 다양성을 넓히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였고, 파일럿(Pilot)시공 등 검증 절차를 보강하여 컨스트럭터빌리티 향상을 위한 VE 프로세스를 정립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무적인 관점에서 볼 때, 건설프로젝트의 원가절감과 기술력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고 판단되며 학문적 관점에서는 기존 VE 프로세스의 개념적 전개과정을 확장시켜 IDEF0 모델개발을 통해 투입요소(Input), 산출물(Output), 제어요소(Control) 등 세부 기준을 정립하여 VE와 관련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more

목차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1
1.2 문제 제기 4
1.3 연구의 목적 6
1.4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1.5 논문의 구성 9

제 2 장 VE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12
2.1 VE 개념 12
2.2 VE 정의 13
2.3 설계VE와 시공VE의 정의 15
2.4 시공 VE의 필요성 17
2.5 현행 건설VE의 문제점 20
2.6 VE에 대한 선행 연구 24
2.7 IDEF0 모델의 이론적 고찰 32

제 3 장 컨스트럭터빌리티 향상을 위한 VE 프로세스 모델의 개념 및 구성요소 38
3.1 VE 프로세스 모델 개발을 위한 방법 38
3.2 현행 시공VE 프로세스 분석 및 문제점 46
3.3 현행 VE 프로세스와 제안된 VE 프로세스 비교 50
3.4 현행 VE 프로세스 영향요인 분석 52
3.5 컨스트럭터빌리티 향상을 위한 VE 프로세스 모델 개념 59
3.6 컨스트럭터빌리티 향상을 위한 VE 프로세스 모델의 구성요소 62

제 4 장 컨스트럭터빌리티 향상을 위한 IDEF0 기반의 VE프로세스 모델 71
4.1 시공VE 사전준비(A1) 하위 프로세스(A11~A16) 75
4.2 시공VE 대안 구성(A2) 하위 프로세스(A21~A26) 85
4.3 시공VE 실행계획 수립 및 검증(A3) 하위 프로세스(A31~A37) 91
4.4 시공VE 실행 및 피드백(A4) 하위 프로세스(A41~A45) 99

제 5 장 사례의 적용 104
5.1 사례현장의 개요 104
5.2 IDEF0 프로세스 모델 검증을 위한 단계별 검증 105
5.3 사례 적용 결과 107

제 6 장 결 론 130
6.1 연구 결과 및 의의 130
6.2 기대효과 134
6.3 연구의 한계 138
6.4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140



[참고문헌] 141
[부록] 144
[Abstract] 155
[감사의 글] 15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