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증진 프로그램이 공감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증진 프로그램이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설정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공감능력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아질 것이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친사회적 행동이 유의미하게 높아질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1개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은 무처치 집단으로 처리하여 두 집단의 사전, 사후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가 개발한 효율적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 모형을 참고하고 Barrett-Lennard(1981)의 이중 공감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김영미(2012)가 구안한 공감교육 프로그램 단계에 그림책을 연계한 활동 내용을 프로그램으로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검사도구로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검사를 실시하였다. 공감능력 검사는 아동의 공감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Davis(1980)의 대인관계 반응지수(Interpersonal Reaction Index:IRI) 검사와 Bryant(1982)의 공감적 각성 검사를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공감능력 검사를 활용하였다. 친사회적 행동 검사는 Eisenberg(1989)의 이타성 자기 보고를 기초로 한 양진숙(1991)의 도구를 이연주(1996), 이선화(1999)가 수정․보완하고, 배지은(2008)이 초등학생 고학년에 맞게 수정․보완한 아동용 친사회적 행동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11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검사지 척도들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공감능력의 하위 요인인 조망 취하기, 공감적 각성, 공감적 관심 영역의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나누기, 위안하기, 협동하기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증진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공감능력을 신장시키고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가설 3
Ⅱ. 이론적 배경 4
1. 그림책의 개념과 가치 4
2. 공감능력 7
3. 친사회적 행동 11
4.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15
Ⅲ. 연구 방법 17
1. 연구대상 17
2. 연구절차 17
3. 연구도구 18
4.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증진 프로그램 21
5. 자료처리 34
Ⅳ. 결과 35
1.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증진 프로그램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35
2.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증진 프로그램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40
Ⅴ. 논의 47

참고문헌 5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