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낭송극 활동을 통한 초등영어 읽기 능력 향상 방안 :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낭송극을 활용한 초등영어 수업이 학생들의 읽기 능력과 영어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총 10주간 동안 실험반에는 낭송극을 활용한 수업을 비교반에는 기존의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의사소통중심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읽기 능력 평가, 수행평가를 통해 읽기 능력 향상 정도를 알아보았고 영어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와 소감문, 수업관찰 일지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낭송극을 활용한 영어수업은 초등학생 학습자의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반의 사전 읽기능력과 사후 읽기 능력 변화정도의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t 통계값은 –1.053, 유의확률은 .000로써 유의수준 p< .05에서 낭송극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의 사전과 사후 영어읽기 능력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사후 읽기점수에 대한 평균차 검증과 실험반과 비교반 내에서 각각 실시한 사전․ 사후 평균차 검증, 향상점수에 대한 평균 차 검증 결과에서도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한편 수행평가 분석 결과는 실험반의 사후 평균점수가 사전 평균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낭송극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학생들의 읽기 수행능력 향상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 연구 자료들에서 살펴 본 드라마의 한 기법인 낭송극 활동이 영어의사소통 능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결과들과 맥락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낭송극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기존 의사소통 중심 수업보다 초등영어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낭송극을 활용한 영어 수업은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도 및 자신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설문지 분석을 해본 결과 실험반의 영어에 대한 흥미도가 비교반보다 높게 나타났고 영어수업에서 낭송극 활동이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도 향상에 더 큰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의 통계적 결과에 덧붙여 학생들의 소감문과 교사의 관찰일지를 분석해본 결과 낭송극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영어 읽기 활동에 대해 긍정적 경험을 하였으며, 영어에 흥미와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모둠 원들과 함께 낭송극 공연을 준비하는 활동들이 전반적인 영어 어휘 학습에 도움이 되고 영어 읽기 능력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낭송극과 드라마를 활용한 영어수업이 선행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학생들이 성공적인 영어읽기 경험을 해봄으로 영어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도가 향상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more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연구의 제한점 6

Ⅱ. 이론적 배경 7
1. 읽기 개념 7
2. 영어읽기 지도 11

가. 초등학생의 특성 11
나. 읽기지도 방법 13

3. 낭송극을 활용한 읽기지도 15

가. 낭송극의 유래와 특징 15
나. 낭송극과 읽기 지도 21

4. 선행연구 28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32

1. 연구 참여자 32
2. 연구 기간 34

3. 연구설계 35

가. 연구설계 35
나. 연구절차 35

4. 연구 도구 37

가. 영어 읽기능력 검사 37
나. 수행평가 38
다. 영어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 검사 40

5. 낭송극 활용수업 지도 41

가. 실험수업 단원분석. 41
나. 수업설계 42
다. 낭송극 활동에 필요한 자료 제작 52

6. 자료수집 및 분석 53

가. 자료수집 5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56

가. 영어읽기 능력 평가. 56
나. 수행평가 결과 60
다. 정의적 영역검사 결과 61
라. 학생소감문 분석 67
마. 교사관찰일지 분석 70
사. 논의 71

Ⅴ. 결론 및 제언 74

가. 결론 74
나. 제언 77

참고 문헌
부 록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