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증상관리모델 기반 신경계 환자의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개발

Development of Thirst Assessment Checklist for Neurological Patients Based Upon Symptom Management Model

초록/요약

본 연구는 증상관리모델의 대상자, 건강과 질병, 갈증반응, 갈증평가 영역을 기반으로 신경계 환자의 갈증사정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기 위해 시도된 방법론적 연구이다.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개발은 증상관리모델을 이론적 기틀로 하여 예비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개발, 예비 갈증사정 체크리스트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 임상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 갈증사정 체크리스트를 확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증상관리모델을 이론적 기틀로 문헌고찰, 초점집단을 활용한 예비 문항 수정을 통하여 대상자, 건강과 질병, 갈증반응(객관적 갈증반응 및 주관적 갈증반응), 갈증평가의 4개 영역, 15개 세부영역, 73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2. 예비 갈증사정 체크리스트는 전문가집단의 내용타당도 분석을 통해 Content Validity Index 0.8 미만의 타당성이 낮은 17개 항목을 삭제하여 4개 영역, 15개 세부영역, 56개 항목이 선정되었다. 3. 2014년 8월 22일부터 2014년 10월 15일까지 경기도 소재 2개의 대학병원 신경계 환자 125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갈증사정 체크리스트의 임상타당도를 분석하였다. 객관적 갈증반응의 관찰자 간 신뢰도 Cohen's Kappa 계수는 0.887이었다. 주관적 갈증반응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 Cronbach’s alpha는 0.938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객관적 갈증반응과 주관적 갈증반응 간의 상관계수 값은 0.742, 임상적 갈증평가와 주관적 갈증반응 간의 상관계수 값은 0.241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임상적 갈증평가 1개 항목(하루 총 섭취량 1500cc 미만)은 주관적 갈증반응과의 상관관계가 낮아 체크리스트에서 제외하였다. 뇨비중 증가를 임상적 기준으로 한 객관적 갈증반응의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의 AUC는 0.920이었다. 객관적 갈증반응의 최적 진단기준치는 5개였으며, 이때의 민감도는 100%, 특이도는 74.4%였다. 4. 이와 같이 증상관리모델을 기반으로 한 예비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개발, 내용타당도와 임상타당도 분석을 통해 대상자, 건강과 질병, 갈증반응, 갈증평가의 4개 영역, 15개 세부영역의 총 55개 항목으로 구성된 갈증사정 체크리스트를 최종 확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증상관리모델 기반 신경계 환자의 갈증사정 체크리스트는 간호사가 임상 현장에서 신경계 환자에게 갈증 유발 요인 확인과 객관적, 주관적 갈증반응과 임상적 갈증평가 정도를 사정하여 갈증간호 시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 사용되기에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간호중재전략을 제시하는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제언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s a methodological research to develop thirst assessment checklist for neurological patients based upon Symptom Management Model. The Model provides with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checklist development. Among 6 main domains in the Model, 4 domains that include person, health and illness, objective and subjective responses to thirst, and clinical evaluation of thirst were focused. The final thirst assessment checklist was developed through a series of phases of drafting a preliminary checklist, verifying its content validities and examining its clinical validiti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1. 73 preliminary checklist items in the 4 domains of person, health and illness, objective and subjective responses to thirst and clinical evaluations of thirst were listed up through literature studies and focus group interview.; 2. An expert group of 7 nursing and medical professional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ies of the 73 preliminary checklist items. 56 preliminary items were verified as validated, but 17 items were removed due to their low validities, lower than 0.8.; 3. From August 22, 2014 to October 15, 2014, the thirst assessment checklist of 56 items was applied to 125 neurological patients in 2 university hospitals in Kyeonggi-Do, Republic of Korea. Cohen's Kappa was measured to examine the inter-rater agreement of the checklist items in the domain of objective responses to thirst and it was 0.887. Cronbach's alpha was measured to estimate the reliability of the checklist items in the domain of subjective responses to thirst and it was 0.938.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responses to thirst and subjective responses to thirst and it was 0.742, and between clinical evaluations of thirst and subjective response it was 0.241. One checklist item, amount of daily intake of water, in the domain of clinical evaluation of response was removed due to its low correlation with subjective responses to thirst.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was analyzed to illustrate the performance of objective responses to thirst as a binary classifier on the increase of specific gravity of urine. In 95% confidence interval the AUC was 0.920, the optimal cut-off point 5, the sensitivity 100% and the specificity 74.4%.; and 4. The final thirst assessment checklist consists of 55 items in the 4 domains of person, health and illness, objective and subjective responses to thirst and clinical evaluations of thirst. The overall finding showed that the thirst assessment checklist for neurological patents can be appli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provide with thirst intervention by checking objective and subjective responses to thrist and clinical evaluations of thirst, which can suggest nursing strategies for thirst intervention.

more

목차

차 례

I.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의 정의 3
Ⅱ. 문헌고찰 5
A. 신경계 환자의 갈증요인 5
B. 갈증관련 선행 연구 11
C.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개발 관련 선행 연구 14
Ⅲ. 연구의 이론적 기틀 17
A. 증상관리모델 17
B.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 18
Ⅳ. 연구방법 20
A. 예비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개발 20
B. 예비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타당도 검증 22
C. 최종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확정 24
D. 윤리적 고려 24
Ⅴ. 연구결과 26
A. 예비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개발 26
B. 예비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타당도 검증 28
C. 최종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확정 41
Ⅵ. 논의 43
A.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개발과 검증 43
B. 연구의 의의 48
Ⅶ. 결론 및 제언 50
A. 결론 50
B. 제언 52

참 고 문 헌 53
부 록 59
ABSTRACT 92

그림 차례

<그림 1> 수정된 증상관리의 개념적 모델 19
<그림 2> 증상관리모델을 적용한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 19
<그림 3>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개발 과정 20
<그림 4> 뇨비중 증가 기준 갈증반응에 대한 ROC Curve 분석 40

표 차 례

<표 1> 예비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개발 결과 27
<표 2>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한 전문가집단의 일반적 특성 29
<표 3> 예비 갈증사정 체크리스트의 예비항목별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30
<표 4> 예비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내용타당도 검증 전후 비교 35
<표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6
<표 6> 객관적 갈증반응, 임상적 갈증평가와 주관적 갈증반응 간 상관관계 38
<표 7> 임상적 갈증평가 세부 항목과 주관적 갈증반응 간 상관관계 39
<표 8> 민감도와 특이도에 따른 객관적 갈증반응의 최적 진단기준치 분석 41
<표 9> 최종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확정 결과 42

부록 차례

<부록 1> 예비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개발을 위한 전자문헌 검색 및 채택 59
<부록 2> 예비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항목 관련 문헌고찰 및 추출 근거 60
<부록 3> 전문가집단 내용타당도 조사 설문지 70
<부록 4> 건강과 질병 영역의 세부영역 분포 76
<부록 5> 객관적 갈증반응 영역의 주요 기술통계 77
<부록 6> 주관적 갈증반응 영역의 주요 기술통계 77
<부록 7> 임상적 갈증평가 영역의 주요 기술통계 78
<부록 8> 증상관리모델 기반 신경계 환자의 최종 갈증사정 체크리스트 79
<부록 9> 피험자 설명문 83
<부록 10> 피험자 동의서 87
<부록 11> 분당서울대학교병원 IRB 승인서류 88
<부록 12> 아주대학교병원 IRB 승인서류 9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