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생의 일반교사와의 관계가 상담기대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하는 일반교사와의 관계가 전문상담교사와의 상담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정체감이 매개하는지 알아보는 것이 다. 이를 위해 중학생 2·3학년, 337명(남자154명, 여자183명)을 대상으로 인 구통계학적 변인을 포함한 학생-교사관계, 자아정체감, 상담에 대한 기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중학생이 일반교사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정도,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전문상담교사와의 상담기대, 세 개의 변인들은 모두 서로가 정적 상관의 관계를 맺고 있다. 두 번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일반교사와의 관계는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하여 전문상담교사와의 상담기대에 영향을 미쳤다. 학생-교사 관계가 좋으면 학생 은 건강한 자아정체감을 갖게 되고, 이를 통해 전문상담교사와의 높은 상담기 대를 갖게 된다. 결과를 설명하면, 자아정체감은 청소년 시기에 확립하는 것으로서 인간의 성 숙수준과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에 필요한 다양한 요인을 포함하는 심리내적 개념이다. 건강한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외부환경과의 건 강한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필요한데, 교사는 학생의 발달에 높은 영향력을 가진 환경으로서 학생과 좋은 관계를 갖게 되면, 학생이 건강한 자아정체감을 확립하는데 영향을 준다. 그리고 자아정체감은 자기인식과 수용, 대인관계, 목 표지향성 등을 향상시켜주는데 이러한 자아정체감의 요인은 전문상담교사와의 상담기대를 높여주게 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일반교사는 학생의 건강한 자아정체감이 확립 되도록 학생과 좋은 관계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자아정체감은 발달수준을 평가 하는 개념이면서, 또한 미래를 예측하는 개념이다. 일반교사에게 학생의 자아 정체감 발달에 있어서 자신의 영향력과 중요성을 보여준다. 두 번째, 위에서 언급한 일반교사의 노력은 전문상담교사와의 상담기대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심리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학생이 전 문상담교사와의 상담을 통해 높은 상담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가 일반교사가 학생과 관계를 맺을 때, 자신의 책임과 역할을 인식시키고 학생이 전문상담교사를 통해 높은 효과 를 얻기 위한 방안을 세우는데 기초자료로 쓰이길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 337명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고, 학교 마다 다른 전문상담교사의 역량에 따른 상담기대의 차이를 구별하거나 통제하 지 않았다. 그리고 본 연구는 학교변인과 전문상담교사와의 상담기대의 관계 를 밝히는 첫 시도였다. 학교 변인으로 학생-교사관계를 정하여 연구하였으 나, 앞으로는 교우, 학습, 환경 등 다양한 변인과의 관계를 연구해야 할 것이 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생-교사 관계 설문의 하위요인 두 영역에 서 신뢰계수가 다소 낮았다. 추후에는 이런 제한점을 보완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7
Ⅱ. 이론적 배경
1.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와의 관계 ··············································· 8
2.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 12
3. 전문상담교사와의 상담에 대한 기대 ·········································· 17
4. 학생-교사관계, 자아정체감, 상담에 대한 기대 간의 관계 ············· 22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 25
2. 연구도구 ··············································································· 25
3. 연구절차 ··············································································· 30
4. 자료분석 ··············································································· 3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