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대형차 연비 규제안 도출을 위한 온실가스 저감 시나리오 연구

Research on Scenarios for Reduction of Greenhouse Gas for Introducing Regulation Standards of Fuel Economy for Heavy Duty Vehicle

초록/요약

환경오염으로 인한 산업 전반의 온실가스 규제가 강화되면서 수송부문에 대한 온실가스 규제도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승용차의 경우 체계적인 온실가스 규제안이 제시되어 있는 것에 반해 중대형차량의 경우에는 각 나라마다 규제안을 실시하고 있거나 준비 중이다. 2014년 현재 중국은 중대형차 연비 규제안을 확정하여 시행중에 있고, 미국, 중국, 유럽의 경우에도 규제안을 확정하였거나 수정 중에 있다. 이러한 국제적인 추세에 맞추어 환경보전 및 국내 중대형차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내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1/3을 차지하고 있는 중대형차량의 연비 규제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중대형차량의 연비 규제안 도출을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에 의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연비 규제안 작성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중대형차 연비 규제안 확립을 위해서는 실제 연비 수준 파악이 가장 중요하다. 실제 도로에서 운행중인 차량의 운행 특성과 연비를 파악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시험 방법을 확립하여 정해진 규칙 내에서 차량의 실험이 이루어지고 연비수준을 파악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대형차의 대표차종을 선정하여 실도로 실험 및 차대동력계 시험을 통한 연비수준을 파악하였으며, 주행모드에 각 차종별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서 해당 주행모드가 차량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차종별 연비와 국토교통부 및 국가 산하기관의 보고서 및 통계자료를 통해 온실가스 저감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연비 저감 수준을 파악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재의 국내 온실가스 배출 수준과 국외의 규제치를 비교함으로서 국내 연비 규제 수준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more

목차

제 1 장 서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 2 장 연구내용 2
2.1 국내 중대형차 등록현황 파악 및 대표차종 선정 2
2.1.1 국내 중대형차 등록현황 파악 2
2.1.2 대표차종 선정 9
2.2 국내 중대형차 대표차종을 이용한 실도로 실험 10
2.2.1 실도로 실험 방법 및 실험 결과 10
2.2.2 실도로 실험 운전영역 분포 12
2.3 온실가스 배출 현황 파악을 위한 시험 모드 개발 14
2.3.1 K-WHVC 모드 개발 14
2.3.2 K-WHVC 모드 검증 16
2.4 국내 중대형차 차대동력계 시험 18
2.4.1 차대동력계 시험 방법 및 차량 선정 18
2.4.2 차대동력계 시험 결과 20

2.5 K-WHVC 모드 가중치 22
2.5.1 실도로 실험과 차대동력계 시험 간 상관성 분석 22
2.5.2 K-WHVC 모드 가중치 적용 온실가스 배출 현황 24
2.6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26
2.6.1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작성 방법론 26
2.6.2 차종별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29
2.6.2.1 적재중량 5톤 이하 화물차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29
2.6.2.2 적재중량 5톤 초과 화물차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32
2.6.2.3 승합차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35
2.6.3 중대형차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1 40
2.6.4 중대형차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2 42
2.6.5 국내와 국외의 규제 수준 비교 44
2.6.5.1 화물차의 국내, 국외 규제 수준 비교 45
2.6.5.2 고속버스의 국내, 국외 규제 수준 비교 46
2.6.5.3 시내버스의 국내, 국외 규제 수준 비교 47

제 3 장 결론 48

제 4 장 참고 문헌 50

ABSTRACT 5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