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용 복합기 출력 기능 소모품들의 Eco-Design Index 산정

Calculation of the Eco-Design Index for consumables of the multi-function printer

초록/요약

친환경 제품 설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요즘, 에코디자인은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 결과 및 이해관계자의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행되어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아주대학교 제품환경기술연구실에서 개발한 에코디자인 지수(Eco-Design Index; EDI)를 활용하여 환경적 측면뿐만 아니라 제품의 경제적 측면과 소비자효용가치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 에코디자인의 잘 된 정도를 비교·평가 하였다. 여기서 EDI란 그린디자인 정도(수준, level)를 나타내는 지수로써, 지수 값이 높을수록 그린디자인이 잘 된 제품이며, 각각의 인자 별 비교 해석이 가능하게 하는 지수이다. 예를 들어, EDI 값이 높은 제품은 동일 기능을 가진 비교 대상 제품 대비 제품 소유기간 내 제품가치가 높고, 전과정 비용과 환경영향이 낮은 제품을 나타낸다. EDI 산정 식은 아래 식과 같다. EDI=Utility Value/LCE+LCC 이번 연구에서는 공용 복합기의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는 소모품들의 제품 소유 기간 내 제품의 가치, LCE, LCC 값을 산정하여 EDI를 산정한 뒤, 그린 디자인 정도를 비교·평가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수행 결과 소모품 중 롤러의 경우 환경성, 경제성 항목에서 가장 우수한 소모품으로 도출되었으나, 소비자 효용 가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도출되어 환경성, 경제성만을 고려했을 때 그린디자인이 가장 잘 된 소모품이었지만, EDI로 그린디자인 정도를 평가하였을 때 8개 소모품들 중 4번째였다. 전사벨트는 환경성 8 번째, 경제성 5번째로 낮은 편이었으나 소비자효용가치가 2 번째로 높아 EDI 산정 결과 3 번째로 그린디자인이 잘 된 소모품으로 도출 되었다. 폐토너 수집기는 환경성은 2번째로 우수하였으나, 경제성과 소비자효용가치가 6번째로 낮아 EDI 산정결과 6번째로 그린디자인이 잘 된 소모품으로 도출 되었다. 또한, 드럼(칼라), 토너(칼라)의 경우 EDI 산정 결과 그린디자인 순위가 각 1,2 번째였고, 드럼(흑백), 토너(흑백)의 경우 5,7 번째였는데 이는 흑백 출력이 칼라 출력에 비해 약 51배 많은 사용량을 나타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같은 소모품이지만 흑백 출력에 관한 소모품의 그린디자인 개선이 선행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EDI가 가장 낮게 도출 된 정착기 경우, 경제성은 4 번째로 준수하였으나, 환경성은 7 번째로 좋지 않았고, 사용자 효용 가치 또한 7번째로 낮아 가장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제품의 그린 디자인 정도를 평가할 때 에 환경성 한 가지 측면만이 아닌, 경제성과 소비자효용가치 측면까지 동시에 고려하여 평가한 연구로써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 되며, 기존 소비자효용가치 산정 시에는 한 제품의 여러 기능에 관한 가치를 합산하여 산정하였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복합기를 구성하는 여러 기능 중 출력 기능을 구현하는 하위 소모품들에 대한 각 소비자효용가치를 산정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more

목차

제 1 장 개 요 1
제 1 절 연구 배경 1
제 2 절 연구 목적 및 내용 2

제 2 장 문헌연구 3
제 1 절 에코디자인 지수 연구 동향 3
1. 소비자효용가치(Utility Value) 정량화 3
2. 환경성 정량화 :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 7
가. 전과정 평가의 정의 7
나. 전과정 평가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론 11
다. 전과정 평가 연구 수행을 위한 도구 17
3. 경제성 정량화(Life Cycle Cost; LCC) 20
제 2 절 국내·외 친환경제품 관련 동향 분석 26
1. 에코디자인 지침서 개정 26
2. 환경 및 녹색 소비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변화 예상 26
3. 지속가능한 산업 정책 계획 27
4. 녹색 소비 촉진 정책 28

제 3 장 소비자효용가치, 환경성 및 경제성 분석 방법론 35
제 1 절 소비자효용가치(Utility value; UV) 분석 35
제 2 절 환경성(Life Cycle Impact; LCE) 분석 46
제 3 절 경제성(Life Cycle Cost; LCC) 분석 55
제 4 절 에코디자인 지수(Eco-Design Index; EDI) 산정 방법 65

제 4 장 사례 연구 67
제 1 절 소모품의 정의 67
제 2 절 소모품들의 소비자효용가치 산정 결과 70
1. 소모품 가치 하락을 고려한 소비자효용가치 70
2. 소모품 가치 하락을 고려하지 않은 소비자효용가치 72
3. 정규화 소비자효용가치를 통한 소모품 소유 기간 내 소모품 가치 산정 72
제 3 절 소모품들의 환경성 산정 결과 74
제 4 절 소모품들의 경제성 산정 결과 78
제 5 절 소모품들의 EDI 산정 결과 85

제 5 장 결론 및 향후 연구 86
제 1 절 결론 86
제 2 절 향후 연구 방향 88

제 6 장 참고문헌 8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