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Net-Centric 환경에서의 지휘통제 개념참조모델 개발에 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Development of a Conceptual Reference Model for Command and Control based on Net-Centric Environment

초록/요약

인류의 투쟁 역사 속에서 전쟁은 피할 수 없는 반복적 속성이 되어 왔다. 군대를 지휘하고 통제하는 능력은 전쟁의 필요조건이었고, 이에 지휘와 통제를 의미하는 C2라는 단어가 태동되었다. 지휘 통제는 적 중심(Center of Gravity)의 핵심 요소로서 이를 무력화하는 것은 전쟁승리의 결정적 요소이며 아군의 지휘통제 및 지휘통제 체계를 효과적으로 운용하는 것 또한 전쟁승리를 뒷받침할 수 있는 핵심 상수(常數)중 하나임은 변함없는 사실이다. 정보화 및 융합시대의 진화 속에서 환경의 복잡성과 복합성으로 인한 불확실성은 증대되고 있고 증가된 불확실성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 선행 연구에서 지휘통제에 대한 다양한 연구는 진행되었으나 민첩성을 반영하고 지휘통제 기능과 절차 측면에서 통합적인 분석이 가능한 지휘통제 모델은 연구되지 않아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NCW 기반의 지휘통제연구는 정보공유와 지휘통제의 주체인 개인과 개인 간(Peer-to- Peer)의 의사결정관계가 균형적으로 발전해야 하나 과학기술 및 무기체계 발달과 함께 복합체계중심으로 발전해오고 있다. 즉 지휘통제 주체인 개인과 개인 간에 중점을 두고 민첩성 속성을 기반으로 하여 지휘통제 기능과 절차 측면에서 과연 어떠한 요인이 지휘통제 효과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실증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민첩성을 반영한 지휘통제 핵심 기능과 절차를 식별하여 적용한 개념참조모델(Conceptual Reference Model)을 제안하여 불확실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지휘통제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둘째, 제안된 개념 참조모델을 적용하여 개인의 인지적 수용성 측면에서 지휘통제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표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첫째, 민첩성(Agility)의 일반 개념을 이해하고 지휘통제 개념 참조모델 개발을 위한 적용 범주 측면에서 군사력운용의 군령에 중점을 둔 민첩성 속성을 도출하기 위해 과정 추론(Inference Process)방법과 MECE 개념 적용 및 관련 전문가 토의를 병행 하였다. 둘째, 지휘통제 기능관점에서 ‘지휘통제’에 대한 근본적인 개념 이해를 위해 지휘, 통제, 각각의 용어에 대한 문헌적 정의와 네크워크 중심전 기본 원리(NCW Tenets)를 기초로 하여 지휘통제 개념의 변화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고유기능을 도출하였다. 셋째, 절차측면에서 지휘통제를 위해 개발 적용되고 있는 각 모델과, 지휘통제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지휘통제 절차관점에서 지휘통제 공통절차와 상호작용 및 협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휘통제 상호협업 요인을 도출하였다. 넷째, 도출된 네 가지 요인과 속성을 기반으로 하여 지휘통제요인 상관관계측정 구조모형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개인의 인지적 수용적 측면에서 지휘통제 수용의도에 어떠한 요인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정하였다. 또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지휘통제요인과 그 속성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구조모형을 설계하여 실증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지휘통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결과로서 조사대상자는 일반인 201명(38.8%)을 포함하여 총 518명이 참여하였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237명(45.8%)으로 가장 높은 빈도로 조사되었고, 성별로는 남자가 421명(81.3%)으로 여성보다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경제수준으로는 중간정도 된다고 응답한 인원이 355명(68.5%)으로 과반이 넘게 조사되었다. 거주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권이 296명(57.1%)로 과반이상이 수도권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력별로는 석사졸업자가 전체의 49%인 254명으로 나타나 응답자의 학력수준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로서 첫째, 지휘통제 요인 및 그 속성을 개념참조모델로 제안하고 선행연구 모델과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요인과 속성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단계를 거쳐 제안한 개념참조 모델에 대해 실증적 검정을 하였다. 둘째, 실증적 검정을 통해 식별된 지휘통제 요인과 속성을 적용한 지휘통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계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 민첩성 요인이 네 가지 변인 중 효과계수 0.5702로 높은 정(+)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지휘통제 공통절차의 효과계수는 0.2933, 상호작용 협업의 효과지수는 0.2726 그리고 지휘통제 고유기능은 부(–)값 순으로 도출되어 지휘통제 요인에 대한 개인의 인지적 수준에서 보완 및 개선 분야를 식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성과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군과 일반분야에 종사하는 조사대상자들은 자연 재해를 포함한 각종 위기상황에서 지휘통제의 중요성을 분명하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검정되었다. 둘째, 임무목표 달성을 위해 각 개인들의 행동화를 이끄는 지휘통제의 근본적인 요인은 본 실증 분석을 통해서 제안한 개념참조모델의 네 가지 변인인 민첩성, 지휘통제 고유기능, 지휘통제 공통절차, 지휘통제 상호협업과 그 세부 32개 속성은 향후 지휘통제 분야 교육 및 훈련분야에서 실제 적용 시 참고가능한 척도로 개발되었다. 셋째, 향후 다양한 가상훈련 및 연습 상황에서 지휘통제 능력 향상 및 행동화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 속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넷째, 개념 및 이론적 분야뿐만 아니라 현재 적용 및 개발, 보완 추진 중인 지휘통제 체제의 설계 및 소프트웨어 개발 및 보완분야에서 본 실증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우선순위 적용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다섯째, 연구방법론에서 NC기반환경의 연구방법에서 제한되어 왔던 AHP접근 방법을 대체하여 다기준의사결정분석의 대표적 접근방법중 하나인 SEM방법론을 접목시켜 검정하였다. 이는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을 접목시킨 방법 일원론적 측면에서 선행연구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정성적 요인과 속성에 대해 정량화 척도를 적용하여 다중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연구 접근 방법이 NC 기반의 다기능 복합적 요인에 대한 연구에 접목시켜 지속적 발전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국내외적으로 향후 지휘통제 분야 이론 및 개념 발전을 위한 실증분석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more

목차

감사의 글 ⅰ
국문 요약 ⅲ
제목 차례 ⅵ
그림 차례 ⅷ
표 차례 ⅹ
약어 목록 xiii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5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관련연구 7
제1절 정의 및 개념 7
제1항 패러다임의 변화와 NCW개념 진화 7
제2항 민첩성 개념 및 정의 13
제3항 지휘통제 개념 및 정의 15
제4항 상호협업 개념 및 정의 17
제5항 인지수용성 개념 및 정의 20
제2절 지휘통제 및 인지적수용성 모델 분석 24
제1항 민첩성 관점에서 지휘통제모델 분석 24
제2항 인지수용성 관점에서 모델분석 37
제3절 시사점 및 새로운 모델 실증분석 필요성 43
제1항 시사점 43
제2항 새로운 개념참조모델 실증분석 필요성 45

제3장 Net-Centric 환경에서의 지휘통제 개념참조모델 개발 46
제1절 지휘통제 개념참조모델의 사상 46
제1항 민첩성 요인 관점 46
제2항 지휘통제 기능 관점 접근 49
제3항 지휘통제 절차 관점 접근 57
제4항 지휘통제 상호협업 관점 접근 58
제5항 인지수용성 관점 접근 68
제6항 Net-Centric 환경에서의 지휘통제 개념참모모델 72
제2절 실증분석 시 적용할 지휘통제 측정 구조모형 요인 및 속성 73
제1항 민첩성 요인 및 속성 73
제2항 지휘통제 고유기능 요인 및 속성 74
제3항 지휘통제 공통기능 요인 및 속성 75
제4항 지휘통제 상호협업 요인 및 속성 76
제5항 지각된 용이성 요인 및 속성 77
제6항 지각된 유용성 요인 및 속성 78
제7항 지휘통제 수용의도 요인 및 속성 79
제3절 지휘통제 요인 측정모형과 구조모형 80
제1항 지휘통제 요인 측정모형 및 구성요소 80
제2항 지휘통제 요인 구조모형 및 구성요소의 관계 81
제3항 지휘통제 요인 연구가설 설정 86

제4장 지휘통제요인 효과측정을 위한 구조모형적용 실증분석 87
제1절 지휘통제 요인 측정모형 적합도 실증분석위한 구조모형 87
제1항 구조방정식모형 특징 87
제2항 구조방정식모형 구성 91
제3항 탐색적 요인분석 92
제4항 확증적 요인분석 98
제5항 지휘통제 요인 측정 모형 적합도 실증분석기준 99
제2절 지휘통제 요인 측정모형 적합도 실증분석결과 102
제1항 실증분석 자료수집 및 표본구성 102
제2항 조사대상 인구통계학적 특성 104
제3항 지휘통제 요인 측정모형 구성요소 타당성 및 신뢰성검정 107
제4항 지휘통제 요인 측정모형 적합도 분석결과 124
제3절 지휘통제 요인 구조모형 적합도 실증분석 및 효과분석 126
제1항 지휘통제 요인 효과측정 구조모형에 대한 확증적 요인분석 126
제2항 지휘통제 요인 가설 검정결과 131
제3항 지휘통제 요인 경로분석을 통한 효과분석결과 141

제5장 결론 143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143
제2절 연구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 146

참고문헌 148
Abstract 16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