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영아 교육 통합과 영아 교사 역할 및 전문성에 대한 인식

초록/요약

국 문 초 록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영아 교육 통합과 영아교사 역할 및 전문성에 대한 인식 본 연구는 영유아 통합의 일환으로 대두되고 있는 유치원에서의 영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다 원활한 유아교육-보육의 통합이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치원에서의 영아 교육 통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영아 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영아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의 수원, 의왕, 안산, 용인, 화성, 오산, 평택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에 근무하는 30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질문지 내용은, 영아교사 역할 설문지는 관련연구들(홍정선, 2008 ; 최수아, 2005 ; 김경애, 2001, Wittmer, Petersen, 2011)을 살펴본 뒤 영아기 교사역할에 적합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문항을 구성 하였다. 또한 영아교사 전문성 관련 내용은 Lindsay & Lindsay(1987)의 연구에서 전문성 인식 문항 척도를 김지현(1997), 이수정(1999), 최희양(2001), 김유진(2003))이 수정·보안한 것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특성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영아통합에 대한 인식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영아 통합의 필요성과 영아 통합 시 담임을 할 의사에 대해서는 일반적 배경에 따라 카이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영아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에서의 영아 통합에 대한 교사 인식은 전반적으로 영아 통합이 필요하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영·유아 교사의 역할 수행의 차이와 유치원과 어린이집 각각의 고유한 기능을 살릴 필요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영아 교사교육 관련 경험은 대학 재학 시 예비교사교육을 받은 경험은 있다는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임용 후 교사 재교육을 받은 경험은 없다는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 교사의 역할로 가장 요구되는 자질은 영아의 발달특성에 대한 이해로 나타났으며, 영아교사로서 중요시 되는 역할로는 영아의 감정이나 정서에 대한 공감능력, 인내, 사랑으로 영아를 돌보고 양육하는 능력, 발달과 건강, 안전 등과 같은 영아에 대한 전문적 지식보유를 모두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태도 역시 사랑하는 태도, 교육적 태도, 반응적인 태도 모두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아 교사 전문성 인식에 대한 결과는 영아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자격기준의 강화와 전문적 훈련, 전문지식이 요구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유치원 교사들은 영아에 대한 실제 경험이 부족하고, 영아 교사 역할 중 보육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인해 영아 통합에 대한 반대의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아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고, 그에 따른 영아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필요한 제도적인 보완이 있다면 영아 교사의 전문성과 함께 영아 교육의 질적 변화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특히 유보통합의 시점에서 영아 통합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유아교육­보육의 통합을 통한 전문화된 영·유아 기관에 대한 기대는 시대적 요청이므로 영아 통합은 앞으로 우리나라 유아교육에 새로운 발전에 전환점이 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more

목차

목 차

국문초록 ⅰ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용어의 정리 7

Ⅱ. 이론적 배경 8
1.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8
가. 유보통합의 의미와 목적 8
나. 유보통합 추진방안 및 주요내용 10
다. 유보통합에서의 연령통합 12
라. 유보통합에 대한 해외동향 14
2. 영아기 특성 및 영아 교육 21
가. 영아기 특성 및 중요성 21
나. 영아에 대한 교육적 접근 23
3. 영아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26
가. 영·유아교사 자격 및 현황 26
나. 영아교사의 역할 및 전문성 30

Ⅲ. 연구방법 35
1. 연구대상 35
2. 연구도구 39
3. 연구절차 41
가. 예비조사 41
나. 본 조사 및 자료수집 41
4. 자료분석 41

Ⅳ. 연구결과 42
1. 유치원에서의 영아통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42
2. 영아 교사 역할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51
3. 영아 교사 전문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55

Ⅴ. 논의 및 결론 57
1. 요약 및 논의 57
2. 결론 및 제언 62

참고문헌 64
부 록 7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