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수원시 1인 가구 주택의 주거선택요인 인식에 대한 실증분석

초록/요약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를 위해 소형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한 건설사의 공급대책과 정부의 도시형생활주택의 도입, 준 주택 개념의 도입 등 다양한 정책 입안 등에 발맞추어 학술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으며, 선행연구조사에 의해 도출한 주택선택요인 항목을 설문지로 제작하여 수원시 1인 소형주택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 후 수집된 데이터는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분석을 실시하여, 중요도와 만족도 모두 높이 평가된 ‘좋은성과의 지속관리요망(Keep up the Good Work)’의 영역과, 두 가지 모두 낮게 평가된 ‘낮은 우선순위(Low Priority)' 영역,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은 ’적극적 관리요망(Concentrate here)'영역과 중요도는 낮으나 만족도가 높은 ‘과잉노력지양(Possible Overkill)'영역의 4분면에 해당하는 각각의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원시 1인 소형주택 건설과 관련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도출된 내용 중 의미 있는 시사점은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은 ’적극적 관리요망(Concentrate here)'영역이며, 본 분석에 의해 나타난 적극적 관리요망 항목은 다음과 같다. 즉, 주택의 구조와 성능 중 외부로부터의 소음차단과 층간, 세대 간 소음과 같은 소음관련 항목은 1인 가구 거주자에게는 상당히 중요성이 높지만, 실제 거주에 있어서는 만족도가 떨어지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1인 가구를 위한 소형주택의 건설 시 소음방지를 위한 건설업계의 노력과 소음발생 기준방안과 규제안 마련을 위한 정부당국의 조치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부대복리시설 설치 및 관리체계에 대해서는 적정한 주차대수 및 주차장 사용 편리성과 신속한 하주 보수 및 적정 보수 비용문제의 중요성이 높지만, 실제 거주 만족도가 떨어지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1인 가구 세대의 경우 1가구 1주차 공간의 확보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보수의 신요인과 비용의 저렴성을 확보하기 위한 건설 및 관리업체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웃관의 관계 분야에 있어서는 운동 , 등산 등 이웃과의 취미활동에 대한 중요성이 높으나, 실제 거주 만족도는 떨어지므로, 1인 가구라 할지라도 이웃과의 커뮤니티가 형성될 수 있도록 단지별 또는 지방자치단체별 커뮤니티 구성과 운영 프로그램의 활성화 노력이 필요하다. 경제적 요인에 있어서는 전세보증금 또는 월 임대료 부담에 대한 중요성이 높으나, 실제 거주 만족도는 떨어지므로, 주택에 투입되는 거주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부당국의 주택정책마련이 시급하다고 할 것이다.

more

목차

목 차

제 1 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제2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1인 가구 주택의 의미와 주거환경만족의 개념 5
1. 1인 가구 주택과 소형주택의 이해 5
2. 주거와 주거환경 만족의 의미 10
3. 주거환경만족도의 평가와 변수 11
제2절 1인 가구 주택의 주거선택속성 15
제3절 선행연구의 시사점 19

제3장 1인 가구 현황 및 분석 방법 22
제1절 1인 가구 현황 22
1. 1인 가구 주택 현황 22
2. 수원시 1인 가구 주택 현황 25
제2절 분석의 틀과 IPA분석 29
제3절 측정도구와 자료수집 32

제4장 분석 및 논의 35
제1절 조사개요 및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현황 35
제2절 1인 가구 주택 주거선택요인의 중요도와 만족도 IPA분석 37
1. 주택의 구조와 성능에 대한 IPA분석 37
2. 부대복리시설 설치 및 관리체계에 대한 IPA분석 41
3. 이웃과의 관계에 대한 IPA분석 44
4. 경제적 요인에 대한 IPA분석 47
5. 입지 및 생활환경에 대한 IPA분석 49
제3절 정책적 논의 52
1. 분석결과의 요약 52
2. 정책적 시사점 56

제5장 결론 57
제1절 요약 및 제언 57
제2절 연구의 한계 60

참고문헌 61
부록(설문지) 6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