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JCI 병원인증을 위한 병동부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 대학병원 병동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Hospital Ward Considering JCI Accreditation Standards for Hospitals

초록/요약

최근 의료산업의 글로벌화를 통해 환자의 국제 이동, 해외진출이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 의료법이 개정된 2009년 이후 역시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한 국내 병원들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실제로 한국을 찾은 외국인 의료관광객의 수는 몇 년 사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속에서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국내외에서 확립되고 있으며, 국제의료사회에서 인지도가 높은 JCI 병원인증에 대한 국내 병원들의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JCI 병원인증기준은 구체적인 시설기준이 아닌 병원의 운영방식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JCI 병원인증기준을 시설적 관점으로 고찰함과 이에 대응하는 건축계획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JCI 병원인증기준과 병동부 관련 기준, 연구들을 고찰하고, 사례병원 병동부를 조사한 내용을 종합하여 인증기준을 충족시키는 건축계획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JCI 병원 인증기준의 병동부 적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2014년 새롭게 개정된 JCI 병원인증기준 5판에서 제시하고 있는 목표, 기준, 취지, 평가항목을 고찰하였고, 병동부의 전반적인 사항과 관련기준을 검토한 것을 바탕으로 JCI 인증기준에서 요구하는 병동부 건축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JCI 병원인증을 획득한 서울, 경기권 내의 대학병원 병동부 현장조사를 통해 실질적인 운영상황과 시설 관리현황을 점검하였다. 이론고찰과 병원 시설을 조사한 내용을 수렴하여 인증획득을 위한 병동부의 적절한 계획방안 및 개선사항을 검토하였다. 이는 향후 JCI 인증을 획득을 위해 병원의 시설을 개선하고나 새롭게 지을 경우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JCI 병원기준에 대응하는 병동부의 건축계획요소를 도출할 때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은 감염예방과 관리(PCI)와 시설안전관리(FMS) 섹션이다. 둘째, 각 인증기준은 손위생, 청결물 및 오염물 관리, 동선분리, 감염구역설정 및 관리, 재난대비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 병원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병동부를 중심으로 JCI 병원인증기준을 고찰하고 정리한 결과 인증획득을 위한 요건을 갖추는 데에는 물리적환경과 더불어 각 인증기준 항목에 대응하는 운영 전략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가 병원의 물리적 환경 개선하거나 새롭게 계획할 경우 참고 할 수 있는 자료가 되고, 나아가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기를 기대해본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1.3.1. 연구의 내용
1.3.2. 연구의 범위
1.4. 연구의 흐름

제2장 이론적 고찰
2.1. JCI 인증제도의 고찰
2.1.1. JCI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일반사항
2.1.2. 국내 JCI 인증획득현황
2.1.3. JCI 병원인증기준 시설관련 항목 분석
2.2. 병동부에 관한 고찰
2.2.1. 병동부 운영방식
2.2.2. 병동부 계획의 동향
2.2.3. 병동부 유형
2.2.4. 병동의 구성요소 및 계획
2.2.5. 병동부 관련 기준
2.2.6. 병동부 내 오염물의 특성
2.3. 선행연구 고찰

제3장 JCI 인증병원의 병동부 사례분석
3.1. 조사개요
3.1.1. 조사대상
3.1.2. 조사방법
3.2. 사례병원 병동부의 JCI 병원인증기준 대응방식
3.2.1. 손위생
3.2.2. 오염물 및 청결물 관리
3.2.3. 동선 분리
3.2.4. 격리시설
3.2.5. 재난대응방식

제4장 JCI 병원인증을 고려한 병동부 계획
4.1. 간호부속공간
4.1.1. 간호대기공간 (NS)
4.1.2. 처치실 및 준비실
4.1.3. 린넨실
4.1.4. 오물처리실 및 오염 세탁물실
4.1.5. 휠체어, 스트레처 보관소
4.2. 환자생활공간
4.2.1. 일반병실
4.2.2. 집중치료실 및 격리병동
4.3. 공용 및 서비스 공간
4.3.1. 코어(수직동선)
4.3.2. 복도
4.3.3. 외부 연계 공간
4.4. 기타
4.4.1. 공사환경
4.4.2. 감염구역설정

제5장 결론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