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기능, 구조, 환경 요인 기반 설비 FMEA 개발

Devolopment of Machinery FMEA Based on Function, Structur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초록/요약

생산 공정 설비는 사용 시간에 따라 점차 성능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종국에는 정지됨으로써 제품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과거부터 생산 설비를 관리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TPM, RCM 등이 그 대표적인 예로, 그 과정에서 FMEA를 수행할 것을 설명하고 있다. FMEA는 설계 FMEA, 공정 FMEA로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십 여년 전에 와서야 설비 FMEA라는 기법이 새롭게 소개되었다. 설비에 대한 FMEA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설비가 가지고 있는 기능, 구조, 그 외 환경적인 요인들을 고려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존재해야 하지만, 기존의 방식들은 기능 및 구조에 대한 분석에 집중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고장모드 및 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그리고 분석한 기능 및 구조를 어떻게 활용하여 고장모드 및 메커니즘을 찾을 수 있는지 방법론 또한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지 않다. 또한 설계 FMEA 절차를 그대로 적용하고 있으므로, 생산 공정 설비에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고장모드 및 메커니즘을 발견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의 기능 및 구조에 대한 고장모드와 메커니즘을 찾는 방법을 보완하여 기능, 구조, 환경적인 요인들을 모두 반영할 수 있는 설비 FMEA를 수행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각각의 분석 결과에 따른 고장모드 및 메커니즘을 밝히는 과정을 명확히 할 것이다. 그로 인해 설비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징적인 고장모드 및 메커니즘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찾아내고자 한다.

more

목차

1장 서론 1
1.1절 연구 목적 및 배경 1
1.2절 연구 범위 및 내용 6
2장 Machinery FMEA의 이론적 고찰 9
2.1절 Machinery FMEA의 개요 9
2.2절 TPM에서의 MFMEA 10
2.3절 RCM에서의 MFMEA 11
2.4절 Ford에서의 MFMEA 12
2.5절 GM에서의 MFMEA 13
2.6절 기존 MFMEA의 문제점 13
3장 MFMEA 수행 절차 16
3.1절 정보 수집 및 사전 협의 단계 17
3.2절 설비 고장 분석 단계 17
3.3절 MFMEA 작성 단계 28
3.4절 결과 검증 및 확인 단계 30
4장 적용 사례 연구 32
4.1절 전해 동박 제조설비 – 제박기 32
4.2절 정보 수집 및 사전 협의 단계 32
4.3절 설비 고장 분석 단계 34
4.4절 사례 분석 결과 46
5장 결론 및 향후 연구 48
6장 참고문헌 4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