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책무성 관점에서 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타당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이해

초록/요약

논 문 요 약 책무성 관점에서 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타당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이해 안 은 영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지도교수 김 주 후) 본 연구는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책무성 관점에서 재조명해보고 교사들이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의 기본 의도와 취지의 관점에서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분석였다. 첫째, 교원능력개발평가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은 책무성 제고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가를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에 대한 이해, 조사 방법의 문제점, 결과 및 활용에 대한 만족도, 효과인식으로 분석하였으며 둘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실시과정은 책무성 제고와 취지에 맞게 운영되고 있는가를 조사하였으며 셋째, 책무성 제고를 위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 방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여 실시하는 조사연구법을 활용하였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관내 지역인 용인시, 수원시, 안산시, 평택시 공립초등학교 교사들에게 250부 설문지를 배부하여 책무성 관점에서의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타당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실시과정(책무성 제고의 취지),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향을 묻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책무성 제고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여 교원능력개발평가에 참여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책무성 제고의 취지하에 교원능력개발평가 작동 시스템, 기능을 잘 알고 있으며,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여 신중하게 참여하고 있다. 다만 학생만족도 조사, 학부모 만족도 조상, 동료교원 평가에서 다소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학생만족도 조사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학생들의 전문적 평가능력 부족, 개인적 감정을 평가로 표출하며 악용, 개인적이며 주관적이니 요구사항 등의 평가로 피해를 입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또한 학부모만족도 조사에서도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자녀의 견해에 의존하여 중립성 확보가 어렵고 교사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으며, 교사를 의식하여 소신있는 평가도 어렵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동료교원 평가에서도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인간관계와 온정주의로 인해 관대하게 평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평가 대상 교사에 대한 객관적이며 충분한 정보가 부족하여 이로 인해 동료 간 갈등과 위화감이 조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책무성 제고에 따른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충분한 이해가 요구된다. 또한 학교 구성원 전체가 관심을 갖고 함께 해결하고자 하는 협동적인 학교 조직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둘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실시과정은 대체적으로 책무성 제고의 취지에 맞게 운영되고 있으나, 교육 현장에서의 방과 후 지도 및 행정업무 등의 과중한 업무 속에서 책무성 관점에서의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기는 쉽지 않을 거라 보여진다. 셋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교원의 전문성을 신장하는 것을 제고하는 것은 물로 학교책무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도 교원능력개발평가가 개선되어져야 할 것이다. 상부 보고나 서열 매기기 등 평가만을 위한 장학이 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단 1회의 평가 결과를 가지고 장기 연수로 연계하기 보다는 원격연수, 멘토링, 컨설팅 등 주기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지며, 교사의 잡무 경감 , 교원연구년 등 교원능력개발평가와 관련하여 다양한 인센티브 부여 등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현재 교원능력개발평가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은 책무성 제고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실시과정이 책무성 제고의 취지에 맞게 운영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행정 업무 등의 과중한 업무 경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결과 활용에 있어서 평가만을 위한 장학이 아닌, 교원의 전문성 신장이라는 진정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목적을 달성시켜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7

1. 학교교육의 책무성 7
2.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목적 및 방향 9
3.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진행과정 11
4.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기대 효과 14
5.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15

Ⅲ. 연구 방법 18

1. 연구대상 18
2. 측정 도구 20
3. 자료 처리 21


Ⅳ. 결과 분석 22

1.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22
2.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실시 과정 39
3.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 방향 48

Ⅴ. 논의 및 결론 58

1. 논의 58
2. 결론 62

참 고 문 헌 65
부 록 7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