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이 자녀의 성격 5요인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이 자녀의 성격 5요인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개방형, 문제형)이 자녀의 성격 5요인(외향성, 성실성, 우호성, 신경증, 개방성)과 각각 어떤 상관이 있으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수원시에 위치한 2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6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을 측정하기 위해 1982년 Barnes와 Olson이 제작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검사인 PACI(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를 민혜영(1990)이 번안하였고 이를 백승미(2003)가 초등학생용으로 사용하면서 신뢰도 검증을 받은 것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녀의 성격 5요인 검사를 위하여 Oliver 등(1994)이 개발한 아동용 성격 5요인 척도(child Q-set)를 황춘선(2010)이 번역한 것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이 자녀의 성격 5요인과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 유형은 자녀의 외향성, 성실성, 우호성, 개방성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고 신경증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반면에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 간 문제형 의사소통 유형은 자녀의 외향성, 성실성, 우호성, 개방성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고 신경증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자녀의 외향성, 성실성, 우호성, 개방성을 높이고 신경증을 낮추기 위해서는 부모가 자녀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이 자녀의 성격 5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 유형은 자녀의 외향성, 성실성, 우호성, 개방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아버지와의 문제형 의사소통은 자녀의 외향성, 우호성, 개방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유형이 개방형일 경우에는 신경증에 부적 영향을 미치지만 문제형일 경우에는 신경증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고 성실성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자녀의 외향성과 우호성, 개방성은 아버지의 영향력이 크고 자녀의 성실성과 신경증은 어머니의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녀의 외향성, 우호성, 개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가 자녀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해야 하며 특히 아버지가 문제형 의사소통을 할 경우에는 자녀의 외향성, 우호성, 개방성이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자녀의 성실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가 자녀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해야 하며 어머니가 문제형 의사소통을 할 경우에는 자녀의 성실성이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신경증의 경우에는 어머니의 영향력이 매우 크므로 자녀가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되기를 바란다면 특히 어머니는 자녀와 문제형 의사소통을 하지 않고 개방형 의사소통을 하도록 노력해야 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개방형, 문제형)이 자녀의 성격 5요인(외향성, 성실성, 우호성, 신경증, 개방성)과 높은 상관이 있으며 자녀의 성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자녀의 성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자녀의 바람직한 성격 형성을 위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및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모-자녀 간에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하도록 돕는 정책 마련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more

목차

국문초록 ⅰ
표 목차 ⅵ
그림 목차 ⅷ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의사소통 유형 5
2. 성격의 5요인 7
3. 선행 연구 12

Ⅲ. 연구방법 16
1. 연구대상 16
2. 연구절차 17
3. 연구도구 18
4. 자료 분석 23

Ⅳ. 연구결과 24
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성격 5요인의 상관관계 24
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이 성격 5요인에 미치는 영향 28

Ⅴ. 논의 및 결론 44
1. 요약 및 논의 44
2. 결론 및 제언 51

참고문헌 55
부록 6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