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자비명상의 효과: 이타성과 안녕감

The Effects of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Altruism and Well-being

초록/요약

행복의 결정요인은 무엇일까? 흔히 떠올릴 수 있는 물질적인 부나 성공과 행복의 관계를 다룬 연구들은 그들 사이에 일관된 관련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최근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기존의 관점과는 다르게 강점이나 특질을 다루는 연구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긍정심리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 한편으로 이런 연구들과 더불어서 친사회적 행동을 이끄는 사랑이나 자비와 같은 변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불교심리학에 따르면, 자비와 같은 친사회적 변인들은 명상을 통하여 증진될 수 있다. 명상은 수 천 년 전부터 인간의 지혜를 함양하는 방법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이 가운데, 자비를 증진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자비명상은 통찰명상이나 집중명상과는 다른 제3의 형식을 갖춘 명상법이라 할 수 있는데, 불교 문헌에 따르면, 자비명상은 특히 현대 사회에서 부족하기 쉬운 타인에 대한 자비심과 이타행동의 가능성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비심과 이타성의 증가는, 우리의 안녕감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자비명상에 대한 연구는 개인의 병리에 대한 치료분야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정작 타인에 대한 자비나 이타성처럼 사회적 관점의 변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거나, 개인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이러한 자비명상이 갖는 효과를 이타성과 안녕감을 중심으로 확인해보고자 한다. 연구 1에서 23명의 처치집단과 31명의 무처치 통제집단을 이용하여 자비명상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처치집단에게 8주간의 자비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과 비교하였다. 3 × 2 혼합설계로 사전, 중간, 사후에 걸쳐서 3회를 측정하여 통제집단과 비교해서 처치집단의 타인에 대한 자비, 이타성, 자기연민, 안녕감에서 변화가 있는지, 그리고 그 변화가 유의미한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자비명상은 타인에 대한 자비(자비희, 연민 점수), 이타성(도움행동, 타인들에게 쓰는 돈, 동정, 도움의도), 자기연민(self-compassion)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은 추가 분석을 통하여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21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연구를 통해서 자비명상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성에 대한 모형 검증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 1의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던 변인들에 대한 사전 문헌 연구를 통하여 자기연민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서 타인에 대한 자비와 이타성이 매개역할을 하는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 2에서는 심리적 안녕감을 대신하여 주관적 안녕감(삶의 만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기연민과 주관적 안녕감(삶의 만족) 사이에서 타인에 대한 자비(4무량심 척도의 자비희 합산점수)와 이타성(도움행동)이 각각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즉, 자기연민과 타인에 대한 자비는 타인을 돕는 행동을 통해서 우리의 개인적 안녕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결과를 종합하면, 자비명상은 우리의 타인에 대한 자비, 이타성, 자기연민,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연민과 타인에 대한 자비를 증진시킬 수 있다면, 우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의 내적인 자각에 초점을 두는 일반적 명상법과는 다르게 자비명상이 사회적 관점의 친사회적 정서와 행동, 그리고 개인 변인인 자기연민과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과 이러한 친사회적 정서와 행동이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그래서, 자비명상은 향후 사회적인 관점에서 널리 활용될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more

목차

<제목 차례>

I . 서 론 1

II . 이론적 배경 7
1. 명상이란 7
2. 자비명상이란 9
3. 자비명상의 수행방법 11
4. 자비와 4무량심 13
5. 이타성(altruism) 15
1) 이타성의 정의 15
2) 이타성의 기원에 대한 관점 17
① Batson의 공감-이타성 가설 17
② 진화심리학적 관점 17
3) 이타성 관련 연구 18
6. 자기연민(self-compassion) 19
7. 안녕감(well-being) 20
1) 심리적 안녕감 20
2) 주관적 안녕감 21
3) 주관적 안녕감의 측정 22

III .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설정 23
1. 연구 1의 연구 문제 23
2. 연구모형 설정 23

IV . 연구 1 27
1. 연구방법 및 절차 27
1) 연구대상 27
2) 프로그램 진행자 27
3) 프로그램 진행 27
① 피험자 모집 27
② 프로그램 전체 구조 28
③ 프로그램 기타 사항 29
4) 측정도구 30
① 타인에 대한 자비 30
② 이타성 31
③ 자기연민 32
④ 안녕감 32
5) 실험설계 33
6) 분석 방법 33
2. 연구 1 결과 34
1)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34
2) 각 변인별 자비명상의 효과 검증 35
① 타인에 대한 자비 35
② 이타성 39
③ 자기연민 52
④ 안녕감 56
3) 추가 분석 58
①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추가 분석 58
② 종속 변인의 효과 크기 비교 61
3. 연구 1의 논의 62

V . 연구 2 65
1. 연구방법 및 절차 65
1) 연구대상 65
2) 측정도구 65
① 타인에 대한 자비 65
② 이타성 66
③ 자기연민 66
④ 안녕감 66
3) 분석 방법 66
2. 연구 2 결과 67
1) 측정모형 검증 67
2) 연구모형 검증 70
3. 연구 2의 논의 71

VI. 전체 논의 73

참고문헌 78

ABSTRACT 92

부 록 94
<표 차례>

표 1. 자비명상의 수행방법 11
표 2. 자비와 관련된 변인을 측정하는 척도들 15
표 3. 프로그램 시간표(총 90분) 28
표 4. 처치집단과 통제집단 측정변인의 사전 동질성 검증(괄호안은 표준편차) 34
표 5.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자비희의 기술통계 36
표 6.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자비희의 혼합 변량분석 결과 36
표 7. 집단에서 측정시점에 따른 자비희의 단순주효과 결과 37
표 8. 측정시점에서 집단간 자비희의 단순주효과 결과 37
표 9.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연민의 기술통계 38
표 10.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연민의 혼합 변량분석 결과 38
표 11. 집단에서 측정시점에 따른 연민의 단순주효과 결과 39
표 12. 측정시점에서 집단간 연민의 단순주효과 결과 39
표 13.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도움행동의 기술통계 40
표 14.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도움행동의 혼합 변량분석 결과 40
표 15. 집단에서 측정시점에 따른 도움행동의 단순주효과 결과 41
표 16. 측정시점에서 집단간 도움행동의 단순주효과 결과 42
표 17.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중립적인 대상에 할당한 금액의 기술통계 42
표 18.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중립적인 대상에 할당한 금액의 혼합 변량분석 결과 43
표 19. 집단에서 측정시점에 따른 중립적인 대상에 할당한 금액의 단순주효과 결과 44
표 20. 측정시점에서 집단간 중립적인 대상에 할당한 금액의 단순주효과 결과 44
표 21.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미워하는 사람에게 할당한 금액의 기술통계 45
표 22.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미워하는 사람에게 할당한 금액의 혼합 변량분석 결과 45
표 23. 집단에서 측정시점에 따른 미워하는 사람에게 할당한 금액의 단순주효과 결과 46
표 24. 측정시점에서 집단간 미워하는 사람에게 할당한 금액의 단순주효과 결과 46
표 25.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공익적 기부 금액의 기술통계 47
표 26.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공익적 기부 금액의 혼합 변량분석 결과 47
표 27.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동정의 기술통계 48
표 28.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동정의 혼합 변량분석 결과 48
표 29. 집단에서 측정시점에 따른 동정의 단순주효과 결과 49
표 30. 측정시점에서 집단간 동정의 단순주효과 결과 50
표 31.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도움의도의 기술통계 50
표 32.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도움의도의 혼합 변량분석 결과 51
표 33. 집단에서 측정시점에 따른 도움의도의 단순주효과 결과 52
표 34. 측정시점에서 집단간 도움의도의 단순주효과 결과 52
표 35.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자기연민(3요인)의 기술통계 53
표 36.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자기연민(3요인)의 혼합 변량분석 결과 53
표 37. 집단에서 측정시점에 따른 자기연민(3요인)의 단순주효과 결과 54
표 38. 측정시점에서 집단간 자기연민(3요인)의 단순주효과 결과 54
표 39.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자기연민(6요인)의 기술통계 55
표 40.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자기연민(6요인)의 혼합 변량분석 결과 55
표 41.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기술통계 57
표 42.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혼합 변량분석 결과 57
표 43. 심리적 안녕감 중 접근 문항의 사전 동질성 검증 58
표 44.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기술통계 59
표 45. 각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혼합 변량분석 결과 59
표 46. 집단에서 측정시점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단순주효과 결과 60
표 47. 측정시점에서 집단간 심리적 안녕감의 단순주효과 결과 61
표 48. 종속변인 별 부분에타제곱 61
표 49.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의 학년별, 성별 분포(단위: 명) 65
표 50. 측정모형1과 측정모형2의 적합도 비교 68
표 51. 각 변인들 간의 상관과 기술통계치 69
표 52.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적합도 70
표 53. 연구모형에서 각 경로의 계수와 bootstrap 결과 71

<그림 차례>

그림 1. 변인간의 관계를 가정한 연구모형 26
그림 2. 경쟁모형 26
그림 3. 측정시기별 자비희 점수 36
그림 4. 측정시기별 연민 점수 38
그림 5. 측정시기 별 도움행동 41
그림 6. 측정시기 별 중립적 대상에게 할당한 금액(단위: 만원) 43
그림 7. 미워하는 사람에게 할당한 금액(단위: 만원) 45
그림 8. 공익적 기부 금액(단위: 만원) 47
그림 9. 측정시기 별 동정 49
그림 10. 측정시기별 도움의도 51
그림 11. 측정시기 별 자기연민(3요인) 53
그림 12. 측정시기별 자기연민(6요인) 56
그림 13. 측정시기별 심리적 안녕감 57
그림 14. 측정시기 별 심리적 안녕감(접근문항) 60
그림 15. 측정모형1의 요인부하량과 상관계수 67
그림 16. 변인간의 관계를 가정한 연구모형 7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