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기혼남녀가 지각한 심리적 독립과 성역할정체감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초록/요약

국 문 초 록 현대사회는 부부중심의 핵가족 형태의 구조로써 가족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족관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족관계의 중심인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에 관심을 갖고 ‘결혼생활 전반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또는 태도로서, 결혼생활에서의 삶의 질에 대한 개인의 만족정도’ 라고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이에 따라 먼저 결혼을 전 후로 하여 결혼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적 독립에서의 독립수준과 성역할 정체감에서의 유형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결혼만족도 관련 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194명의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자료를 표집 하였으며, 이들은 대부분 6년에서 20년의 결혼기간을 갖고 부부와 자녀를 가족구성원으로 하는 가족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심리적 독립의 하위영역은 기능적 독립, 태도적 독립, 정서적 독립, 갈등적 독립 등이며, 성역할 정체감 유형은 남성성, 여성성, 양성성, 미분화 형으로 나누어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test,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심리적 독립수준, 성역할 정체감유형, 결혼만족도 수준을 파악하였는데 이에 따른 차이는 정서적 독립과 태도적 독립 부분에서 남성에 비해 여성이 높은 심리적 독립 수준을 나타내었고, 성역할 정체감 유형은 남녀 모두 양성성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만족도에서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심리적 독립 수준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 결혼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어머니와의 심리적 독립에서 태도적 독립이 높으면 결혼만족도 수준이 높았고, 어머니로부터의 갈등적 독립이 높으면 결혼만족도 수준이 낮았다. 아버지와의 심리적 독립에서 갈등적 독립이 높으면 결혼만족도 수준이 낮았다. 성역할 정체감유형 중 양성성 유형은 결혼만족도 중 애정적인 부부관계, 결혼생활에 대한 적응, 결혼만족도 전체 수준이 높았고 반면 미분화 유형의 경우 결혼만족도 중 애정적인 부부관계, 결혼생활에 대한 적응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독립 수준 및 성역할 정체 유형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머니로부터의 갈등적 독립 수준이 높아질수록 결혼만족도 수준이 높아졌으며, 성역할 유형중 양성성유형의 결혼만족도가 높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를 높이는 다양한 관련 요인 중 심리적 독립 하위유형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을 파악하였고, 이러한 요인은 결혼생활에 긍정적 적응을 가능하게 해 주는 변인임을 입증하였다는 것이다. 이 같은 결혼만족도 관련변인들은 대상자 본인 뿐 아니라 배우자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되돌아보고 서로를 잘 알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주어 부부상담 장면에서의 핵심요소로서 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 기혼남녀, 심리적 독립, 성역할 정체감, 심리적 양성성, 결혼만족도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1. 심리적 독립 4
2. 성역할 정체감 8
3. 결혼만족도 13
4. 변인들 간의 관계 16

Ⅲ. 연구 방법 20
1. 연구대상 20
2. 측정도구 및 방법 21
3. 자료분석 방법 24

Ⅳ. 연구결과 26
Ⅴ. 요약 및 결론 37
1. 요약 및 논의 37
2. 결론 및 제언 39
<참고문헌>
<부록>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