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이중방출형 아세클로페낙 두 개층 매트릭스 정제의 처방화 설계와 평가

Formulation design and evaluation of bilayered aceclofenac matrix tablet with dual release

초록/요약

본 연구는 난용성 약물인 아세클로페낙에 알칼리화제를 첨가하여 약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초반 약물의 방출 및 흡수를 촉진시키는 기술을 이용하여 아세클로페낙 속방부와 서방부로 이루어진 서방제제를 개발하고 동물실험 및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 시험을 통하여 생물학적 동등성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eclofenac controlled release tablet (AFC-CR)에 첨가되는 알칼리화제는 용해도 시험을 통하여 탄산나트륨으로 선정하였다. AFC-CR은 탄산나트륨과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HPMC)를 동시에 포함한 매트릭스 구조의 단일층 구조 또는 탄산나트륨을 포함한 속방층 및 HPMC를 포함한 서방층으로 구성된 이층정으로 제제화되었다. 상기 제제는 포뮬레이션의 63 유동성 시험을 통하여 안식각이 40°이하를 나타내어 생산 공정에서 있을 수 있는 유동성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용출 시험을 통하여 최적의 용출 양상을 나타내는 제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pHM 측정을 통하여 용출 초기 약물 주위의 pH를 순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약물의 용해도에 대한 알칼리화제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제제를 확립하였다. 상기 서방성 제제의 생물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글견에서의 동물실험 및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을 수행하여 기존 시판 되고 있는 1일 2회 복용의 오리지날 속방성 제제와의 동등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알칼리화제를 이용한 속방층을 추가 구성함으로써 약물 방출 초기 신속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아세클로페낙 함유 서방제제를 확인하였다.

more

목차

CONTENTS
1. Introduction......1
2. Materials and methods..............6
2.1. Materials........................6
2.2. Methods......................... 7
2.2.1. Solubility study…………….....7
2.2.1.1. Determination of Solubility of AFC
in various media......................7
2.2.1.2. Determination of Solubility change of AFC in the
poorly-soluble gastric fluid containing alkalizer........8
2.2.2. Determination of pH change of the gastric fluid,
incorporating various alkalizer.............................9
2.2.3. HPLC analysis..................10
2.2.4.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11
2.2.5. Preformulation of AFC-CR....................................12
2.2.6. Flowability test...............19
2.2.7. Dissolution study..............20
2.2.8. pHM measurement of AFC-CRs...................................21
2.2.9. Non-clinical pharmacokinetic studies in beagle dogs............22
2.2.10. Clinical pharmacokinetic studies in human.................................23
iv
3. Results and discussion.............25
3.1. Solubility of AFC in various media ......................................25
3.2. Determination of pH value and solubility of the AFC,
in gastric fluid incorporating various alkalizer..28
3.3. Morphology study.................33
3.4. Preformulation of AFC-CRs...................................35
3.4.1. Flowability test...............35
3.4.2. Dissolution test...............40
3.4.3. pHM measurement of AFC-CRs...................................45
3.5. Non-clinical pharmacokinetic study in beagle dogs..................................48
3.6. Clinical pharmacokinetic study in human.................................52
4.Conclusions.........................55
5.References..........................56
6. 국문 초록..........................6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