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3D 애니메이션 인간캐릭터의 사실적 시각표현과 관객호감도 연구

A Study of Audience Favorability based on Visual Reality of 3D Human Character

초록/요약

컴퓨터그래픽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초기 기술로는 제작이 쉽지 않았던 인간캐릭터가 어느덧 3D 애니메이션의 메인 캐릭터로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인간캐릭터는 실제 인간의 모습에 가까운 사실적 인간캐릭터와 추상화된 인간캐릭터로 나눌 수 있다. 전통적인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카툰 캐릭터는 3D 애니메이션에서도 추상화된 인간캐릭터로 관객에게 사랑받았으나, 사실적 인간캐릭터는 모리 마사히로의 ‘언캐니밸리’ 이론에서처럼 사실적인 비주얼을 획득할수록 거부감을 유발하여 관객으로부터 정당하게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미학적 고민과 캐릭터의 사실성 감소를 제시하지만, 사실적 인간캐릭터의 제작 과정에서 고려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상화를 인간캐릭터의 시각표현 기준으로 설정하고, 인간캐릭터와 관객호감도를 조사하였다. 인간캐릭터를 분석하기 위해 CG 제작기술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고, 캐릭터 표현방식인 추상화에 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추상화를 기준으로 3D 애니메이션 인간캐릭터의 추상화 단계를 나눴다. 이와 함께 관객동원력 조사를 통해 대중의 관객호감도를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 관객의 호감도를 확인하였다. 조사한 인간캐릭터의 추상화 단계와 관객호감도를 분석하여, 추상화가 사실적 인간캐릭터의 관객호감도를 높일 방법임을 확인하고, 관객에게 호감을 살 수 있는 사실적 인간캐릭터의 제작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로는 <틴틴: 유니콘호의 비밀>이 있다. <틴틴: 유니콘호의 비밀>처럼 사실적 인간캐릭터의 완벽한 재현보다 사실적 시각표현과 추상화의 적절한 타협으로 관객의 몰입에 기여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며, 앞으로 제작될 인간캐릭터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는데 기준이 될 것이다.

more

목차

국문 요약 1
그림 차례 3
표 차례 3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 배경 5
제2절 연구 방법 11
제2장 인간캐릭터 분석 14
제1절 CG 제작기술의 발달 14
제2절 인간캐릭터의 추상화 18
제3절 인간캐릭터의 추상화 단계 23
제1항 인간캐릭터의 추상화 기준 23
제2항 인간캐릭터의 추상화 분석 26
제3장 사실적 인간캐릭터와 관객호감도 53
제1절 인간캐릭터의 관객동원력 53
제2절 인간캐릭터의 관객호감도 57
제1항 설문조사 과정 57
제2항 인간캐릭터의 호감도 분석 60
제4장 사실적 시각표현과 관객호감도 70
제5장 결론 73

참고 문헌 75
ABSTRACT 7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