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미문화를 이용한 영어교육 연구

A Study on Teaching English through Culture

초록/요약

논문 요약 언어에는 한 사회와 그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문화가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언어능력 이외에도 언어에 반영된 사고, 행동, 풍습, 습관 등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진정한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언어와 문화의 밀접한 연관성과 영어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영어에 반영된 문화를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우리나라 영어교육에 적합한 문화교육의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1) 교사와 학생대상의 설문 조사를 통해 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과 수업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문화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 교과서, 수업자료를 제시하는 바탕으로 삼는다. (2) 현행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제공된 EFL 영어교재인 중등영어 교과서와 ESL 영어교재에 소개된 문화유형을 분석하여, 문화교육을 위한 교과서를 개발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3) 수업에서 문화와 관련된 내용을 소개하고, 학생들의 문화이해도와 영어 성취도가 연관성이 있는지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4)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문화교육을 위한 모형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교수․학습방법의 예로 학습콘텐츠와 수업지도안을 제시한다. 설문조사의 결과, 교사들은 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시간과 자료 부족으로 실제 수업에 문화교육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안에 문화교육을 위한 기준이 필요하고, 교과서에 문화교육을 위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것과 문화교육을 위한 자료가 필요하다. 학생들은 대체로 설문 내용에 중립적인 응답을 선택했는데, 영어권과 타문화에 관한 관심이 있었으므로, 학생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내용과 선호하는 내용을 참고하여 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재분석의 결과, EFL 영어교재는 학교생활, ESL 영어교재는 여가생활의 문화내용이 많이 제시되었으며, 두 교재 모두 행동문화의 유형이 가장 높게 제시되었다. 교재에 제시된 문화지역은 EFL 영어교재는 아시아, ESL 영어교재는 영미권이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문화이해도와 영어 성취도의 상관관계는 수업에서 교재에 나온 문화내용을 배운 학과가 배우지 않은 학과보다 높게 나타났고, 대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았다. 문화교육을 위한 모형을 제안하기 위해, 문화의 영역을 일상생활, 예술, 역사와 지리, 관습과 풍속으로 설정하고,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각 학년별 단계를 분류한 후, 각 단계별 문화교육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문화영역을 모두 반영할 수 있는 영화와 여행을 활용하여 학습콘텐츠를 제시하였고,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인식과 이해를 확인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화교육의 모형과 같은 구체적인 문화교육에 관한 기준, 목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가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문화교육 관련 자료, 교수방법, 수업 모형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영어교재에 문화교육 내용, 문화유형, 문화지역을 체계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넷째, 수업에서 문화내용을 명확히 제시하여 학생들이 우리 문화에 관한 인식을 확실히 하고, 타문화에 관한 객관적인 시각을 갖도록 유도해야 한다.

more

목차

차례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목적 1
1.2 연구의 구성 4

제2장 문화교육의 이론적 배경 6
2.1 문화의 개념 정립 6
2.1.1 문화의 정의 6
2.1.2 문화와 언어 10
2.2 문화교육의 목적 12
2.3 문화교육의 기준 18
2.4 문화교육의 방법 25
2.5 문화교육을 위한 모델과 관련된 선행연구 29

제3장 설문조사 연구 32
3.1 교사 대상 설문조사 32
3.1.1 조사기준 32
3.1.2 조사결과 34
3.1.3 조사결과 논의 59
3.2 학생 대상 설문조사 63
3.2.1 조사기준 63
3.2.2 조사결과 64
3.2.3 조사결과 논의 82

제4장 교재분석 연구 87
4.1 EFL 영어교재: 중등영어 교과서 88
4.1.1 분석기준 90
4.1.2 분석방법 92
4.1.3 분석결과 94
4.2 ESL 영어교재 106
4.2.1 분석방법 106
4.2.2 분석결과 107

제5장 문화이해도 측정 실험연구 117
5.1 실험방법 117
5.2 실험결과 118

제6장 문화교육 모형 제안 122
6.1 문화교육 모형 122
6.1.1 문화영역 123
6.1.2 문화영역과 범주 124
6.1.3 문화영역의 세부 시행 내용 125
6.1.4 학년별 단계 126
6.1.5 각 단계별 모형 127
6.2 문화교육 지도방법론 136
6.2.1 문화교육을 위한 영어교재 개발 방향 136
6.2.2 문화를 이용한 교수‧학습방법 139
6.2.3 학습콘텐츠 제시 142
6.2.4 질문지 조사 157
6.2.4.1 조사방법 157
6.2.4.2 조사결과 158

제7장 결론 163
7.1 연구결과 논의 163
7.2 결론 및 제언 167

참고문헌 169

Abstract 176

부록 179











부록 차례

<부록 1> 교사 설문지 179
<부록 2> 학생 설문지 185
<부록 3> 문화 이해도 측정 190
<부록 4> 질문지 조사서 193
<부록 5> 교육과정 소재(2008) 194
<부록 6> 교육과정 소재(2011) 195
<부록 7> 교육과정 비교(2008과 2011) 196


그림 차례

[그림 1] 문화의 다섯 가지 영역 8
[그림 2] 문화의 빙산 9
[그림 3] 장면 1 영화대사 중 미국 가정의 소비 지출 순위 143
[그림 4] 장면 2 주택가 길가에서 레몬에이드를 파는 모습 143
[그림 5] 장면 3 세탁소 144
[그림 6] 장면 4 추수감사절 식탁 144
[그림 7] 장면 5 크리스마스 가족사진 찍기 144
[그림 8] 장면 6 운전면허증 144



표 차례

<표 1> 언어와 문화 11
<표 2> 여섯 가지 문화교육 목적 13
<표 3> MCPS 각 단계의 주제 표와 진도 계획(1-3등급) 19
<표 4> MCPS 각 단계의 주제 표와 진도 계획(4-5등급) 20
<표 5> MCPS 각 단계에 따른 세부 실행 내역(수업지도안) 21
<표 6> MCPS 기초단계 22
<표 7> MCPS 학년별 주제 23
<표 8> 문화교육 경험 34
<표 9> 문화교육의 필요성 35
<표 10> 문화교육 기준 인식 36
<표 11> 문화교육 기준의 필요성 36
<표 12> 수업에서의 문화교육 비중(중복항목) 36
<표 13> 수업에서의 문화교육 시간(중복항목) 37
<표 14> 수업에서 문화내용을 다루기 어려운 이유 37
<표 15> 문화교육시간의 별도 운영 필요성 38
<표 16> 문화교육시간의 별도 운영 필요 이유 38
<표 17> 문화교육시간의 별도 운영 불필요 이유 39
<표 18> 수업에서 다루는 문화지역(중복항목) 40
<표 19> 영미문화 이해의 어려움(중복항목) 40
<표 20> 영미문화에서 이해가 어려운 내용(중복항목) 41
<표 21> 영미문화 이외의 타문화 이해의 어려움(중복항목) 42
<표 22> 영어문화 이외의 타문화 이해에 어려운 내용(중복항목) 42
<표 23> 교과서 문화내용 제시의 일관성 43
<표 24> 문화교육 주제의 일관된 제시의 필요성 43
<표 25> 문화교육 지도 자료의 제공 44
<표 26> 교과서 문화지도 내용의 추가 자료 제시 44
<표 27> 참고자료의 종류 44
<표 28> 추가 자료를 제시하지 않는 이유 45
<표 29> 교과서 이외의 참고자료 필요성 45
<표 30> 교과서 이외의 필요한 참고자료 종류(중복항목) 46
<표 31> 학습활동책의 도움 여부 46
<표 32> 수업 준비 자료 47
<표 33> 문화교육 자료 선정 기준 48
<표 34> 문화교육 수업모델 적용 의향 48
<표 35> 적절한 문화교육 수업시간 49
<표 36> 문화교육 시작 시기 49
<표 37> 문화교육 내용 50
<표 38> 문화교육에서 다루기 어려운 내용 50
<표 39> 문화교육 선호방법 51
<표 40> 영어수업 방식 52
<표 41> 영어교육 영역 53
<표 42> 문화콘텐츠 활용 영역 54
<표 43> 문화콘텐츠 적용 수업방식 54
<표 44> 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의 자질 55
<표 45> 문화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소재 56
<표 46> 실제 수업에서 다루는 문화 소재 57
<표 47> 수업에서 다루기 어려운 소재 58
<표 48> 문화 학습 욕구 65
<표 49> 수업에서 문화교육 비중(중복항목) 65
<표 50> 영미문화 이해의 어려움(중복항목) 66
<표 51> 영미문화에서 이해가 어려운 이유(중복항목) 66
<표 52> 영미문화 이외의 타문화 이해 어려움(중복항목) 66
<표 53> 영미문화 이외의 타문화 이해에 어려운 내용(중복항목) 67
<표 54> 문화지역 67
<표 55> 수업에서 문화교육 시간(중복항목) 68
<표 56> 수업에서 가장 도움이 되는 영역 68
<표 57> 수업에서 선호하는 문화교육 방법 69
<표 58> 수업에서 학습하기 어려운 문화 내용 69
<표 59> 타문화 이해를 위한 선호 학습방법 70
<표 60> 영미문화와 타문화의 이해를 위한 교과서 이외의 자료 필요성 70
<표 61> 교과서 이외의 필요한 참고자료 종류(중복항목) 71
<표 62> 교과서와 학습활동책의 효용성 71
<표 63> 교과서의 실제 문화 반영 여부 72
<표 64> 교과서 내용의 문화적 차이 인식과 이해의 어려움 72
<표 65> 교과서 등장인물의 국적과 계층의 다양성 73
<표 66> 교과서에 제시된 문화내용의 흥미도 74
<표 67> 실제 수업에서 학습하는 소재 75
<표 68> 학습하기 어려운 소재 76
<표 69> 학습자 성격, 영어 선호도, 영어 학습 욕구, 영어성적 77
<표 70> 영어 학습 선호, 비선호 분야 78
<표 71> 영어 학습자료 선정 기준 78
<표 72> 영어 학습 선호 소재 79
<표 73> 학교 영어수업 난이도 79
<표 74> 원어민 교사 수업 선호도 79
<표 75> 수업시간 교사 문화경험 소개 선호도 80
<표 76> 수업에서 많이 다루는 분야 80
<표 77> 수업의 흥미분야와 어려운 분야 81
<표 78> 선호하는 수업방식 81
<표 79> 선호하는 학습 지원 방식 82
<표 80> 수업에서 다루는 문화영역 82
<표 81> 문화유형별 분석 기준 91
<표 82> 교과서 구성 93
<표 83> 학년별 분석(중1) 94
<표 84> 학년별 분석(중2) 95
<표 85> 학년별 분석(중3) 97
<표 86> 학년별 분석(고1) 98
<표 87> 학년별 분석 내용 종합 99
<표 88> 교과서 별 문화내용 분포 101
<표 89> 학년별 교과서 문화유형 분포 102
<표 90> 문화 지역의 분포도 104
<표 91> 교재의 구성 107
<표 92> A 교재 108
<표 93> B 교재 109
<표 94> C 교재 110
<표 95> ESL 영어교재 분석결과 종합 112
<표 96> 교재별 문화유형 113
<표 97> 교재별 문화지역 분포 113
<표 98> 교재분석 결과 정리 115
<표 99> I 학과와 S 학과의 문화이해와 영어성취도와의 상관관계 118
<표 100> 고교생의 문화이해와 영어성취도와의 상관관계 119
<표 101> 대학생의 문화이해와 영어성취도와의 상관관계 119
<표 102> 문화 이해 측정 점수 평균이상의 학생 비율 120
<표 103> 문화영역과 범주 124
<표 104> 문화영역과 범주 및 소재 12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