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assessing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of adult learners in companies

  • 주제(KDC) 성인학습자,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 타당도, 신뢰도
  • 주제(DDC) Adul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ssessment tool, Validity, Reliability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김주후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ajou/00000001522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가지 연구문제를 연구하였다. 연구문제 1. '기업 내 성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구성요인 및 문항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기업 내 성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의 타당도 증거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기업 내 성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의 신뢰도 증거는 어떠한가?'이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역량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측정도구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 검토를 통해 도출한 예비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측정도구에 대한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기업 내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차 본조사에서 428부, 2차 본조사에서 255부의 유효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설문자료를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은 첫째,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구성요인은 ‘학습 수용성’, ‘학습 지속성’, ‘학습자원의 활용성’, ‘학습과정 관리’, ‘학습결과 평가’, ‘학습상황 장애요인 극복’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는 최종 30개 문항으로 구성된다. 초기 예비문항 60개는 내용타당도를 거쳐 45개 문항으로 조정되었고, 사전조사에 의하여 예비문항은 41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연구문제 2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예비문항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전문가 검토와 사전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가 검증하였다. 1차 본조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6개의 구성요인과 30개의 문항이 추출되었다. 각 구성요인 별 문항은 ‘학습 수용성(5문항)’, ‘학습 지속성(5문항)’, ‘학습자원의 활용성(5문항)’, ‘학습과정 관리(5문항)’, ‘학습결과 평가(5문항)’, ‘학습상황 장애요인 극복(5문항)’으로 이루어진다. 2차 본조사의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요인모형을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은 6개의 구성요인과 그 하위문항들간의 관계는 이론적으로 타당함이 검증되었다. 또한 준거타당도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의 상관관계 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문제 3은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30개의 문항에 대한 6개의 구성요인별 Cronbach's ⍺를 산출한 결과, Cronbach's ⍺는 .862로 높은 편으로 나타나 신뢰도 높은 측정도구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구성요인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학습 수용성’, ‘학습 지속성’, ‘학습자원의 활용성’, ‘학습과정 관리’, ‘학습결과 평가’, ‘학습상황 장애요인 극복’의 개념적 틀을 구성하였고,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주요 구성요인을 토대로 측정도구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측정도구의 문항은 선행연구의 측정도구에서 추출한 문항과 기타 문헌 연구를 통해서 신규로 개발된 문항으로 연구목적에 맞게 구성요인들을 측정변인으로 사용하여 실증 연구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기업에서 개인의 경쟁력 강화와 인적자원관리 근거를 확보할 수 있다. 개인의 학습 역량에 따른 비공식적 학습, 자기주도학습, 기업의 훈련 프로그램 설계의 판단 근거가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이 측정도구는 기업에서 역량 있는 인재 확보와 유지를 위한 종단적 연구 활동을 통하여 자기주도 학습 역량이 뛰어난 인재를 확보하고, 지속적인 학습 문화를 유지하고 전통적인 교육훈련의 딜레마를 극복할 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교육학적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assessing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SDLC) of adult learners in companies and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Research question 1 is "What are the appropriate factors and questions for development of a scale assessing SDLC of adult learners in companies?", Research question 2 is "How is the validity of assessment scale items developed based on the factors extracted from above?" and Research question 3 is "How is the reliability of assessment scale items developed based on the factors extracted from above?". To study these, documentation analysis and review of precedent studies were conducted. Based up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constructs of SDLC were extracted theoretically, and preliminary assessment items were developed. In order to examin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an expert panel was utilized. For examination of construct validity, a pilot survey was conducted to adult learners in companies. For a main survey, 428 and 225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utilized for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nally, a correlation analysis as criterion-related validity examin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SDLC scores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or research question 1, From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assessing construct validity, 6 new constructs emerged: 'Acceptability of learning', 'Sustainability of learning', 'Utilization of learning resources', 'Management of learning process', 'Assessment of learning outcomes', 'Overcome Barriers to Learning situations'. SDLC of adult learners in companies is composed of 30 items. Sixty initial items was reduced to 45 items through examination of content validity, was finalized to 41 items by the preliminary survey. For research question 2, face and content validity of the developed 41 items were examined through expert review and preliminary analysis. Results of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six constructs. The names and number of items corresponding to each construct were 'Acceptability of learning(5 Questions)', 'Sustainability of learning(5 Questions)', 'Utilization of learning resources(5 Questions)', 'Management of learning process(5 Questions)', 'Assessment of learning outcomes(5 Questions)', 'Overcome Barriers to Learning situations(5 Questions)'.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and showed that there was a valid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osed six constructs and corresponding items. Criterion-related validity evidence was also collected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DLC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research question 3, to examine reliability of 30 items, Cronbach's ⍺ was found to be quite high at .862, verifying internal consistency across the item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six constructs of SDLC: 'Acceptability of learning', 'Sustainability of learning', 'Utilization of learning resources', 'Management of learning process', 'Assessment of learning outcomes', 'Overcome Barriers to Learning situations'. Using these constructs, it is possible to continue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Seco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SDLC of adult learners in companies. Third,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basi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enhancement of individual competitiveness in companies. It can be a basis for decision making of informal train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design of official training. In conclusion, the primary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assessing a SDLC of adult learners in companies. In particular, using this scale, it is possible to get maintenance of human resources, secure staff with excell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aintain learning culture, and get a rationale toward overcoming dilemmas from traditional training through longitudinal studies.

more

목차

I. 서론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문제 7
3. 용어 정의 8
가. 기업 8
나. 기업 내 성인학습자 8
다. 자기주도학습 9
라. 역량 9
마. 자기주도학습 역량 9
II. 이론적 배경 10
1. 기업 내 성인학습자 10
가. 성인학습자의 개념 10
나.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개념 13
2. 자기주도학습 17
가. 자기주도학습의 개념 17
나. 자기주도학습의 구성요인 20
3. 역량 24
가. 역량의 개념 24
나. 역량모델 27
4. 자기주도학습 역량 32
가.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개념 32
나.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구성요인 37
다.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설명 변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42
III. 연구의 방법 44
1. 연구 모형 44
2. 연구 참여 대상 48
가. 사전조사 참여자 49
나. 1차 본조사 참여자 50
다. 2차 본조사 참여자 52
3. 측정도구 개발 절차 54
가. 구성요인 도출 54
나. 예비문항 선정 54
4.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58
가. 본조사 58
나. 구성타당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59
다. 요인모형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60
라. 준거타당도 검증: 상관관계 분석 61
5. 신뢰도 검증 63
6. 자료 분석 64
IV. 연구 결과 65
1.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의 구성요인과 문항 도출 65
가. 구성요인 도출 65
나. 문항 도출 67
다. 내용타당도 검증 72
라. 사전조사: 안면타당도 검증 80
2.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 타당도 검증 85
가. 구성타당도 증거 85
나. 요인모형 증거 93
다. 준거타당도 증거 99
3.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 신뢰도 검정 102
V. 논의 및 결론 103
1. 논의 103
2. 결론 및 제언 108
가. 결론 108
나. 제언 109
참고문헌 110
부 록 121
Abstract 12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