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영아인권에 대한 인식과 인권 수행정도

초록/요약

국 문 요 약 영아기 발달상 의사표현의 미숙함으로 보육기관에서 영아인권을 존중 받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보도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영아인권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의 개선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아동 최선의 이익을 중심으로 어린이집 보육교사가 영아인권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를 근무기관, 학력, 근무경력의 변인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영아인권 인식에 따른 수행정도의 일관성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영아인권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 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영아인권수행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 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영아인권에 대한 인식과 수행 정도의 일관성은 어떠한가?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 보기위해 경기도 시흥시, 안산시, 오산시, 수원시의 경기도 내에 소재한 국공립, 민간, 가정보육시설에서 근무 하고 있는 영아반 (만 0세~2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450명을 대상으로 배부된 설문지는 285부(회수율 63%)였으며, 부적절과 무응답 자료 31부를 제외하고 251부의 설문지로 분석했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아인권의 인식을 빈도분석으로 검증했으며, 수행정도를 변인별로 일원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의 영아인권 인식은 상당히 높았으며 대부분 신문, 방송 매체를 통해 영아인권에 대해 들어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인권은 양육자의 올바른 양육 환경과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냈으며 영아인권하면 영아의 방임및 학대라는 높은 인지도를 나타냈다. 영아인권이 보장 되지 않은 상황을 경험하지 않은 경우가 더 많았으며, 인권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의 경험에서 부모의 무책임이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영아인권의 우선적 개선 인식의 필요사항중 영아를 위한 시설 및 복지 환경 제공이 가장 많았다. 둘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영아인권 수행정도의 차이를 근무기관별로 국공립, 가정, 민간, 직장 순으로 나타냈고 학력별로 대학교졸, 전문대졸, 고졸 순으로 나타냈다. 근무경력별로 살펴보면 7년 이상, 5~7년 미만, 1년 미만, 3~5년 미만, 1~3년 미만 순으로 나타냈다. 셋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영아인권 인식에 따른 수행정도의 일관성 중에 ‘영아인권이라고 생각 한다’의 평균이 4.09이며, ‘영아인권에 해당하지 않는다’의 평균이 3.56으로 나타냈다. 보육교사가 영아인권에 대해 들어본 경험여부에 따른 수행의 일관성에서도 ‘영아인권이라고 들어본 경험이 있다’의 평균이 4.10이며 ‘영아 인권이라고 들어본 경험이 없다’의 평균 3.80으로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영아인권에 대한 인식이 높은 보육교사가 더 높은 인권수행을 나타냈으며, 보육교사의 근무기관과 학력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교육을 통한 영아 인권에 대한 개선인식의 필요성과 영아의 발달적 의사표현이 자유로운 시설 및 복지 환경 제공을 충족 시켜 주며, 가정과 어린이집, 정부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more

목차

목 차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5
1. 영아인권 ……………………5
가. 영아인권의 개념
나. 영아인권의 발전과정
다. 영아인권의 내용
2. 영아인권과 보육 ……………13
가. 인권관점에서의 영아보육
나. 인권관점에서의 영아보육교사의 역할
3. 선행연구 ……………………19

Ⅲ.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2. 연구도구 ……………………24
3. 연구절차 ……………………25
4. 자료분석 ……………………26

Ⅳ. 연구결과 …………………‥28
1.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영아인권에 대한 인식……28
2.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영아인권 수행정도의 차이……41
3.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영아 인권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의
일관성 ………45

Ⅴ. 논의 및 결론 …………‥…52
1. 요약 및 논의 ………………52
2. 결론 및 제언 ………………56

참고문헌 …………………………59

부 록 …………………………63



표 차 례


<표Ⅲ- 1> 어린이집 교사들의 일반적 배경= 23
<표Ⅲ- 2> 설문지의 내용 구성과 문항수=25
<표Ⅳ- 3> 보육교사의 영아인권에 대해 들어본 경험 여부=29
<표Ⅳ- 4> 영아인권에 대해 들어본 경험의 경로=30
<표Ⅳ- 5> 영아인권의 관계=32
<표Ⅳ- 6> 영아인권의 주요내용으로 떠오르는 것=33
<표Ⅳ- 7> 영아인권이 보장되지 않은 상황의 경험여부=35
<표Ⅳ- 8> 영아인권이 보장 되지 않은 상황의 경험=36
<표Ⅳ- 9> 영아인권의 우선적 개선인식의 필요사항=38
<표Ⅳ-10> 영아인권 인식에 해당여부=39~40
<표Ⅳ-11> 보육교사의 영아인권 수행정도 (근무기관별)=42
<표Ⅳ-12> 보육교사의 영아인권 수행정도 (학력별)=43
<표Ⅳ-13> 보육교사의 영아인권 수행정도 (근무경력별)=44
<표Ⅳ-14> 영아인권의 인식과 수행정도의 일관성=47~48
<표Ⅳ-15> 영아인권에 대해 들어본 경험여부에 따른 수행정도
의 일관성=50~5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