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교 과학영재의 사교육 실태 및 창의력과의 상관관계

A Study on Private Education for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its Correlation to Creativity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영재들의 사교육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이러한 결과가 영재들의 창의력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중등심화과정 물리 분과 16명, 화학 분과 14명, 경기도 소재 농어촌 지역 A 교육지원청 영재 1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교육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역 일반성 창의력 측정을 위해 TTCT 도형검사를 실시하였고, 영역 특수성의 창의력 검사를 위해 김민영(2006)에 의해 이미 개발된 신뢰도 Cronbach’s alpha 0.76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수정․보완하여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수행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 실태조사 결과, 교육청 영재 90%가 사교육 경험이 없었으며, 이는 전체 학생 중 60%를 차지했고, 대학부설 영재 물리 분과와 화학 분과는 각각 20%에 그쳤다. 한편 사교육 기간과 창의력과의 관계에서의 카이제곱 검정의 결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왔지만, 일반 창의력과 특수 창의력 모두에서 3년 이상의 오랜 사교육 경험이 있을수록 높은 창의력을 보이는 공통점을 보였다. 또한 부모의 학력과의 관계에서는 아버지의 학력은 사교육과 부적 관계, 어머니의 학력과는 정적인 관계로 양측의 결과가 반대로 나왔으나, 그 설명력은 4.9%로 미약하다. 그리고 학교의 과학경시대회 및 특목고에 대비할 수 있는 특별 수업 프로그램 존재 여부와 사교육 유무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상관계수가 -0.207로 그리 높지는 않지만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학교 프로그램의 존재가 사교육을 경감시킬 수 있는 하나의 요소로 밝혀졌다. 둘째, 경시대회나 영재교육원 및 특목고 입학 목적의 사교육과 창의력과의 관계분석에서는 사교육 유무 및 분과별에 따른 일반 창의력의 표준점수와 백분위 점수 모두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특수 창의력은 일반 창의력과는 달리 사교육을 받은 집단이 유의확률 .048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분과별 특수 창의력에 있어서는 사교육기회가 보다 많았던 대학부설 영재 쪽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에 교사와 학부모는 학생들에게 지금과 같이 모든 영역에서 우수한 인지적 능력을 요구하기 보다는 어느 한 영역이라도 잠재된 우수한 역량을 조기에 발견해 발전시켜주는 지속적 육성발전이 요구된다. 학교에서는 암기 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아닌 탐구 과정을 중요시하는 창의성 발달 교수방법과 이를 가능케 하는 교사의 질 향상 및 교사효능감, 열의 등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여기에 과학경시대회 및 특목고에 대비할 수 있는 특별 수업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학생들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특색 있는 학교문화풍토가 된다면 공교육은 보다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경시대회나 특목고에 입학하기 위한 맹목적인 사교육보다는, 알차고 내실 있는 다양한 학교 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자의 숨은 창의력을 끄집어내어 행복을 창출하는 것이 지금의 공교육이 해결해야 할 과제가 아닌가 싶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private education for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find how it is related to creativity of thos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about private education conducted by 16 students of the physics department and 14 students of the chemistry department, who are participating in a secondary intensive course given by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survey was also done by 10 gifted students adopted by 'A' local office of education in Gyeonggi-do farming and fishing regions. The TTCT-figural test was given in order to measure domain generality creativity and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s test developed by Kim Minyoung(2006) (Reliability Cronbach's alpha 0.76) was modified and performed to measure domain speciality crea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90 percent of the gifted students adopted by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didn't experience private education, and they account for 60 percent of all the students while the physics students and the chemistry students of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account for only 20 percent respectively. With regard to correlation between the period of private education and creativity, the result of Chi-square tes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verall. However, it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have more than 3 years' private education had higher creativity than the others in both general and specific creativity. And regarding correlation between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creativit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creativity, but creativit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lthough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4.9%.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education and the existence of special school programs in order to prepare for science competitions or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was not very high by -0.207, but the negative correlation indicates that the existence of school programs, which can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is one of the elements that can reduce private education. Secondly,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creativity and private education in order to prepare for competitions, the institutes for the gifted or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it showed little meaningful difference in standard scores and percentile scores of general creativity regardless of the experience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departments. Unlike general creativity, with respect to specific creativity the analysis data showed a meaningful correlation by .048 between creativity and th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private education. And the data also showed the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affiliated education center had higher specific creativity, who had more chances of private education than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teachers and parents need to find early the students with excellent latent capacity in even one specific field rather than the excellent students in all fields as it is now and they need to develop them consistently. Schools need to spare no effort to promote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to encourage the teachers to develop students' creativity valuing the research process over cramming and memorization. At the same time, they need to grapple to improve teachers' quality and their self-efficacy. With the efforts to compose a school based culture such as opening special courses for science competitions or special purpose schools, schools can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and invigorate public education. It's time for people to refrain from blind private education for competitions or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Instead, the present public education will undertake the important assignment that it should make it possible for students to take out and advance their hidden creativity by making use of various good and fruitful school programs and to enhance their own happiness.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2
3. 용어의 정의 2
4.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5
1. 이론적 배경 5
2. 선행연구의 고찰 11

Ⅲ. 연구 방법과 절차 14
1. 연구대상 14
2. 측정도구 15
3. 자료처리 방법 2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1
1. 중학교 과학영재의 사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21
2. 사교육과 창의력(영역 일반성, 영역 특수성)과의 관련은 어떠한가? 30

Ⅴ. 결론 및 제언 48
1. 결론 48
2. 제언 49

Ⅵ. 참고문헌 51

Ⅶ 부록 53

ABSTRACT 6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