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송도 신도시 거주자 만족도 조사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s satisfaction in Songdo Newtown

초록/요약

지금까지 한국은 경제성장을 추구하며, 정부의 주택정책과 고위 공무원의 결정권자들이 계획을 진행해 왔으며, 이 과정에서 일반인들의 의견이 배제되어 왔다. 그러나 1990년대 지방자치단체 도입이후 하양식 계획방식에서 점차 상향식 계획방식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나아가 경제 발전에만 집중됐던 개발사고 방식에서 환경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개발방식에서 거주민들은 이런 도시계획에 대해 제도적이나 인식차이가 어떤지 계획요소 설문을 통하여 만족도를 알아보았으며, 이에 따른 설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조사에서는 송도는 신도시로 거주민들이 30세에서 50세가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거주기간은 1년에서 5년 사이가 대부분이었다. 이는 아직 도시개발중인 부분도 있겠지만, 거주민의 인식 차이로 인하여 송도신도시는 거주하기에는 불편한 도시, 부유한 도시로 인식하고 있어 많은 주민이 이주를 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 송도신도시가 개발이 완료되면 송도이용계획보고서에 거주민들은 200만까지 늘어날 계획이다. 둘째, 생활계획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은 송도가 국제도시로 발돋움하는것에 대하여 41%가 만족하고 있었다. 이에 큰 이유로는 국제도시로서 공항이 근접해 있으며, 수도권과도 광역도로 및 대중시설이 확충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번 국제기구인 GCF가 유치됨에 따라 거주민들은 더욱 기대하게 되었다. 셋째, 토지이용계획은 거주민의 41%가 만족스러워 했다. 하지만 불만족 거주민 11%는 기존 생활해오던 도시 생활패턴으로 인하여 만족스러워 하지 않았다. 이에 주요한 요인으로는 상업시설과 주거환경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큰 요인이 되었다. 넷째, 교통계획은 교통동선 시스템 체계는 45% 이상이 만족스러워했으나, 대중교통시설 사용횟수는 1회 이하가 59%로 실적 저조했다. 대중교통이용 사유로는 ‘교통이 혼잡해서’, ‘유류비가 비싸서’ 라는 의견이 있었다. 다섯째, 공원녹지계획은 거주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도시계획시 주민1인당 6㎡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송도의 공원, 녹지 면적은 26.7%로 국제도시와 비교해 보아도 양호하게 설계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주거지와 공원은 20분 이내가 대부분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아직 이용은 2회이하가 93%로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 이유로는 ‘공원 벤치 부족’, ‘가로등 부족’, ‘수목 부족 등’ 산책하기에 아직 미흡한 점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섯째, 재생에너지에 대해서는 자연에너지에 대한 활용도 조사결과 56%로 낮게 나왔고, 자연환경시스템 활용에 대한 조사에서는 24%가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아직 주거지에 자연에너지 시설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자연환경시스템은 거주민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여 거주민들이 활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봤을 때 거주민은 현재 송도에서 사용중에 있는 우수저류지, 하수종말 처리장, 지역난방이 재생에너지, 자연환경시스템인지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보면, 송도는 거주민들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나, 공원 활용도 및 재생에너지 활용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송도가 향후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부족분을 확충하고, 쇼핑, 문화공간 확충, 대중교통시설 운영체계 보완함과 동시에 해외자본 유치를 진행하여 더욱 발전하는 도시가 되어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3
1. 송도신도시의 기본 구상 3
1.1 생태환경도시의 개념 3
1.2 관련법률검토 4
1.3 송도신도시의 단계별 계획 11
2. 송도이용계획 15
2.1 생활권 계획 15
2.2 인구계획 16
2.3 주택계획 16
2.4 교통계획 19
2.5 재생에너지계획 23
2.6 공원녹지계획 24
2.7 교육시설계획 29
Ⅲ. 생태환경을 위한 계획요소 조사 및 분석 31
1. 조사개요 31
1.1 조사개요 31
1.2 조사항목 31
2. 거주자의 일반적 특성 및 시설현황 33
2.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3
2.2 시설현황 조사 34
Ⅳ. 결론 54
참고 문헌 5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