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유출분석을 위한 소유역 분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ubbasin Division for Runoff Analysis

초록/요약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기후변화 및 이상기후로 인해 과거 장마기간에 발생하였던 강우집중 현상이 장마기간 전후의 특정기간에 상관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강우의 경향도 일부지역에 국한되어 발생하는 게릴라성 집중호우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강우의 공간적 및 시간적 집중현상을 실제 유출수문곡선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소유역 분할을 통하여 유역의 세분화를 반영해야하지만 이러한 연구는 다른 강우-유출해석에 관한 연구보다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리적 기반의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소유역 분할에 따른 유출변화 특성을 파악 후 다수의 시험유역에 대한 적합한 소유역 분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강우-유출과정을 모의하기 위하여 물리적 기반의 강우-유출모형인 HEC-HMS를 사용하였으며, HEC-HMS내의 집중형 모형인 Clark 방법과 준분포형 모형인 ModClark 방법을 시험유역인 안동댐, 임하댐 및 평창강의 3개 유역에 적용하였다. 소유역을 분할하는 방법은 등면적 분할을 기준하였으며, 각각의 시험유역을 1개, 3개, 5개, 6개, 7개, 9개, 10개, 12개, 15개의 9가지 case로 분할하여 대상 강우사상에 대한 강우-유출을 모의하였다. 또한, 시험유역별로 적합한 소유역 분할 수를 제시하기 위하여 총 4가지의 통계지표를 사용하여 소유역 분할에 따라 모의된 유출수문곡선의 첨두유량 및 첨두시간을 실측 수문곡선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시험유역에 대한 소유역 분할에 따른 유출모의 결과 소유역 분할 수가 증가할수록 첨두유량은 증가하였고 첨두시간은 짧아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일정 분할개수 이후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소유역 분할 수를 최소분할개수로 나타내었으며, 첨두유량 및 첨두시간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안동댐 및 임하댐 유역은 최소분할개수가 5개, 평창강 유역은 7개로 분석되었다.

more

목차

제1장.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동향 3
1.3 연구내용 및 범위 6
제2장.강우-유출의기본이론
2.1 수문순환의 기본이론 7
2.1.1 강 우 7
2.1.2 침 투 9
2.1.3 단위유량도 11
2.2 강우-유출 모형 14
2.2.1 강우-유출모형의 분류 14
2.2.2 HEC-HMS 18
2.2.3 Clark 방법 및 ModClark 방법 20
제3장.시험유역에대한강우-유출모형의구축
3.1 시험유역의 선정 24
3.1.1 유역개황 24
3.1.2 입력자료 구축 31
3.2 소유역 분할기준의 선정 33
3.3 HEC-HMS의 구축 33
3.3.1 Basin Model 34
3.3.2 Meteorologic Model 45
제4장.소유역분할에따른강우-유출모형모의
4.1 소유역 분할과정 48
4.1.1 안동댐 유역 49
4.1.2 임하댐 유역 52
4.1.3 평창강 유역 55
4.2 시험유역별 유출모의 결과 58
4.2.1 안동댐 유역의 유출모의 결과 59
4.2.2 임하댐 유역의 유출모의 결과 66
4.2.3 평창강 유역의 유출모의 결과 73
4.2.4 결과종합 80
제5장.결론 82
참고문헌 84
Abstract 9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