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반응적 및 주도적 공격성 청소년의 사회정보처리 특징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of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ve adolescent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반응적 공격성 및 주도적 공격성 청소년의 사회정보처리 특징을 비교하였다. 반응적 및 주도적 공격성에 대한 교사-평정도구를 사용하여 네 집단(반응적 공격성 집단, 주도적 공격성 집단, 반응-주도적 공격성 집단, 비공격적 집단)으로 구분하고, 네 집단 간에 적대적 귀인편파, 반응탐색과 반응선택, 목적선택, 결과-기대와 자기-효능감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반응적 공격성 집단은 반응-주도적 공격성 집단과 비공격적 집단에 비해, 그리고 반응-주도적 공격성 집단은 주도적 공격성 집단에 비해 애매한 도발상황에서 적대적 귀인편파를 나타내었고, 반응적 공격성 집단과 반응-주도적 공격성 집단은 주도적 공격성 집단과 비공격적 집단에 비해 보복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도적 공격성 집단은 반응-주도적 공격성 집단, 반응적 공격성 집단, 비공격적 집단에 비해 지배목적을 가지며, 비공격적 집단에 비해 더 많은 공격반응율을 보였고, 반응적 공격성 집단과 비공격적 집단에 비해 신체적 공격행동에 대해 더 높은 자기효능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주도적 공격성 집단은 반응적 공격성 집단에 비해 신체적 공격행동에 대해 더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했고, 비공격적 집단에 비해 언어적 공격행동에 대해 더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more

목차


목 차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6
1. 공격성 6
(1) 공격성의 정의 6
(2) 공격성의 유형 및 기제 8
2. 사회정보처리 모델 9
3. 공격성과 사회정보처리 단계에 관한 선행연구 15
(1) 부호화 단계 15
(2) 해석 단계 16
(3) 목적 명료화 단계 20
(4) 반응탐색 및 생성단계 22
(5) 반응평가 및 결정단계 22

III. 연구문제 및 가설 25

IV. 연구방법 27
1. 연구 대상 27
2. 측정 도구 27
(1) 반응적 공격성과 주도적 공격성에 대한 교사-평정 도구
(2) 사회정보처리 측정도구

V. 연구결과 32

VI. 논의 36

참 고 문 헌 43
부 록 47
ABSTRACT 5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