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 영재의 인지발달 수준 비교를 통한 논리적 사고력 형성에 대한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영재학생들의 인지발달 단계를 알아봄으로서, 초등학교 영재수업에서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이를 일반학생과 비교해 봄으로서 영재학생의 속진과 심화학습에 대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영재학생의 논리 사고력 형성정도를 알아봄으로서 영재학생을 위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에 활용하며, 영재학급 수업을 함에 있어서도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영재학생들의 인지발달 수준은 어떠한가? 2. 초등학교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간의 인지발달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3. 영재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형성정도는 어떠한가?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 수원과 용인지역 2개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 79명과 초등학교 일반학생 114명 그리고 중학교 일반학생 70명을 대상으로 GALT 검사지를 통하여 학생들의 인지발달 수준과 논리적 사고력 형성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따라 수행한 연구 결과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5학년 영재학생의 인지발달 수준을 알아보면 구체적 조작기와 과도기에 해당하는 학생의 비율이 높음으로 수준별 수업과 적절한 교수 학습 자료가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영재학생의 경우 5학년에서 6학년 사이에 인지발달이 매우 빠르게 진행됨으로 인지발달 및 논리적 사고력 형성을 위한 교수 학습 지도가 필요하다. 그리고 6학년의 경우에는 수준별 수업과 인지발달 및 논리적 사고력 형성을 위한 교수 학습 지도의 필요성이 5학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둘째, 영재학생의 인지발달 수준을 일반학생과 비교하였을 때 5학년 영재학생의 경우에는 일반학생에 비해 2~3년이 빠르며, 6학년 영재학생의 경우에는 3년 이상 빠르다. 이는 6학년 영재학생이 5학년 영재학생보다 속진과 심화학습의 준비가 충분히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영재학생 중 남․여 학생의 인지발달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 영재 수업에서 남․여 학생을 고려한 수업은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넷째, 영재학생의 논리적 사고력형성의 경우 5학년 영재학생의 경우 변인통제논리와 확률논리의 형성 비율이 낮게 나왔으며, 특히 상관논리의 경우에는 5, 6학년 영재학생 모두 형성 비율이 매우 낮게 나왔다. 따라서 수업과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함에 있어서 이러한 부분을 충분히 고려하고, 해당 논리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이 절실함을 알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cessities of the graded learning and teaching at a gifted students class in primary school, by studying the levels of cognitive development. Also, this is to find out some informations about the faster learning and deeper learning methods by comparing the gifted students' class-type with the ordinary class-type. By identifying the degree of the logical thinking faculties formation of the gifted students,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meaningful reference in managing the gifted students class. To achive these goals, the questions to study are 1. What cognitive development level does the gifted students in primary school have?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ognitive development level between the ordinary students and the gifted students? 3. To which degree do the gifted students form the logical thinking faculties? To figure out the answer,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level and the logical thinking faculties are estimated by the GALT GALT :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est test sheet among 79 gifted students in 2 primary schools and 114 and 70 ordinary students in primary school and middle school respectivel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ollowed by the above procedure are summed as follows. At first, by the fact that in the survey of cognitive development level, the students who are in the process of concrete operational stage and the transition period show high percentage in the gifted students in 5-grade, it is necessary to teach in graded class type and to develop proper teaching-learning materials. Also, the specialized teaching-learning system for facilitating the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logical thinking faculty formation is needed because in the case of the gifted student the cognitive development increased very fast between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 In case of the sixth graders, the importance of those teaching-learning system is relatively low than in fifth graders. Secondly, when compared with the cognitive development level of the ordinary students, that of the gifted student is advanced by 2 or 3 years in fifth graders, more than 3years in sixth graders. This means the gifted students in sixth grade are ready enough to move up faster and to learn deeper than those in fifth grade. Thirdly, the difference in the cognitive development between male and female gifted students are not significant in statistics. This means that the class type which is differentiate by gender is not necessary. Fifthly, as logical thinking faculties of gifted students, the rate of forming the variable controlling and probabilistic reasoning is low among the fifth graders, and that of forming the correlational reasoning is much lower both in fifth and sixth graders. So in designing class lessons and develop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fully understanding of the these lower rate and developing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these faculties are needed to make significant changes.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2
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1.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4
2. 과학적 사고 유형과 논리 8
3. 영재아들에 대한 발달단계론적 논의 10
4. 영재 교육에서의 학습 집단 편성 12
5. 선행연구의 분석 17
Ⅲ. 연구방법 19
1. 연구대상 19
2. 검사도구 20
3. 연구절차 22
4. 자료분석 23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4
1. 인지발달 수준 분석 24
2. 영재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형성 분석 29
Ⅳ. 요약 및 결론 33
1. 요약 및 결론 33
2. 제언 35
참고문헌 36
부 록 39
ABSTRACT 5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