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교 영어 원어민협력수업의 효과성 분석 및 개선 방향 탐색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co-teaching with native English teachers in high school and investigation of directions for the future improvement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영어교육에서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활용한 협력수업의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협력수업의 실제적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정립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활용 협력수업에서 효과적인 협력수업 요인을 탐색하여 변인별 협력수업 모형 및 교사수업행동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와 한국인 영어교사의 협력수업에서 수업유형 및 교사수업행동에 대한 학생과 한국인 영어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와 한국인 영어 교사의 협력수업에서 수업유형 및 교사수업행동이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활용 협력수업에서 학습조건별(학교, 교사, 학습자, 학교 소재지) 효과적인 수업유형과 교사수업행동은 무엇인가? 이를 검증하기 위해 원어민 영어보조교사가 상주하여 지도하는 경기도 소재 인문계고등학교에서 1년 동안 협력수업을 담당한 한국인 영어교사 71명과 학생 927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수업유형에 대한 학생과 한국인 영어교사의 인식, 협력수업이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교사수업행동에 대한 인식 등으로 구성하였다. 수업유형 및 교사수업행동과 영어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7개 학교에서 원어민협력수업을 실시한 학급을 대상으로 348명의 영어성취도 결과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역에 따른 학교 및 학생, 교사 변인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나타났지만 표집된 대부분의 학교에서 원어민 영어보조교사가 수업을 진행하고 한국인 영어교사가 도와주는 형태의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효과 측면에서 협력수업이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 및 학업성취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유형에 따른 효과성 차이에 대해서는 말하기와 쓰기 영역에서는 수준별 이동 수업으로 상위권 학생은 원어민교사가 그 외 학급은 한국인 영어교사가 운영하는 형태가 효과성이 높게 나타났다. 듣기와 읽기 영역은 한국인 영어교사가 수업을 진행하고 원어민 영어보조교사가 도와주는 형태에서 높은 효과성이 확인되었다. 수업유형에 따른 정의적 영역에 대한 인식 차이에 대해서는 한국인 영어선생님이 수업을 진행하고 원어민 영어보조교사가 도와주는 형태에서 높은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영어교사수업행동과 영어 성취도간의 관계는 읽기 지도에서 교사수업행동이 가장 적극적으로 나타났으며, 말하기 영역에서는 한국인 영어교사의 역할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듣기 영역에서는 명료성, 다양성, 그리고 교수학습전략이 높게 나타났으며, 쓰기 영역에서는 과제지향성, 동기유발 그리고 교수학습전략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사수업행동과 정의적 영역간의 상관관계에서 과제지향성이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여주며, 피드백 및 평가가 모험시도 및 학습동기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성과 관여도는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하는 중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처럼 한국인 영어교사수업행동과 정의적 영역과의 상관관계는 아주 높게 나타나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활용한 영어 협력수업에서 한국인 영어교사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등학교에서 한국인 영어교사의 역할 비중이 중요하게 나타나는 사실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활용 효과성 분석 결과와 그 시사점을 반영하여 효과적인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활용 협력수업 모형과 한국인 영어교사수업행동을 제시하였다. 우선 협력수업의 개념적 수업 모형은 협력수업에서 교사들 간의 역할 비중을 중심으로 5가지 유형으로 범주화 하였다. 한국인 영어교사수업행동은 7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수업유형과 교사수업행동은 현장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융통성있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학교소재지, 언어 기능에 따른 내용 속성, 학생들의 성취수준, 정의적 영역, 그리고 교사변인 등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고등학교 영어교육에서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활용한 협력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첫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각 영역과 학생들의 성취 수준에 맞는 수업유형 및 교사수업행동 전략을 적절하게 적용하여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성취 수준에 따른 수준별 수업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교 소재지별로 협력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뚜렷하게 다른 것으로 보아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수업 배치에 있어서 한 학급당 일률적으로 주당 1·2시간 균등하게 운영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특기적성 및 방과 후 학교에 활용 등 학생 수준과 학교 실정에 맞게 자율적으로 원어민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넷째, 한국인 영어교사의 의사소통 능력뿐만이 아니라 교수능력 향상에 적극적인 투자가 선행되고, 연수로 인한 불이익을 최소화하여 한국인 영어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more

목차

목 차
논문 요약
Ⅰ. 서론 ·········································································································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8
Ⅱ. 이론적 배경 ························································································· 10
1.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활용 사업 ····················································· 10
2.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와 한국인 영어교사의 협력수업 ············ 15
3. 영어 학습과 정의적 요인 ·································································· 22
4. 교사의 수업 행동 ················································································· 31
Ⅲ. 연구 방법 ····························································································· 42
1. 연구 대상 ······························································································ 42
2. 측정 도구 ····························································································· 46
3. 자료 분석 ····························································································· 54
Ⅳ. 연구 결과 ····························································································· 55
1. 수업유형 및 교사수업 행동에 대한 인식 ···································· 55
2. 수업유형 및 교사수업행동이 학생의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58
3. 배경 변인별 가장 효율적인 수업 유형 및 교사수업행동 ······· 70
Ⅴ. 논의 및 제언 ····················································································· 91
1. 논의 ······································································································· 91
2. 제언 ······································································································ 100
참고문헌 ··································································································· 100
Abstract ··································································································· 109
부록 ··································································································· 11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