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간관리자 코칭스킬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ssessment Scale for Coaching Skills of Middle Manager

초록/요약

이 연구는 중간관리자 코칭스킬의 구성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 그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2가지를 연구하였다. 연구문제 1은 중간관리자 코칭스킬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적합한 구성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는 상기에서 추출한 구성요인에 근거하여 개발된 측정도구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어떠한가? 이었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중간관리자 코칭스킬 구성요인과 하위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근거로 측정도구 문항을 개발하고 실증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타당화 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은 중간관리자 코칭스킬 구성요인과 하위요소 이원분류표를 통해 116개의 초기 문항을 만들었다. 초기 문항 116개는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KSDC)에 의뢰하여 적절성을 검증받고 수정하였다. 이 문항들은 중간관리자 평정집단, 학문적 코칭 전문가집단 그리고 실무적 코칭 전문가집단을 통해 안면타당도와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아 문항을 제거, 수정, 통합하는 과정을 거쳐 4개의 구성요인과 45개의 예비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45개의 예비문항을 가지고 사전조사를 하여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이나 난해한 문장을 제거하고 39개의 예비문항척도를 확정하였다. 연구문제 2는 예비조사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결과를 거쳐 1차 본 조사를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의 구성요인과 24개의 문항이 추출되었다. 24개 문항에 대한 4개의 구성요인별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ɑ를 산출한 결과, Cronbach ɑ는 .932로 높은 편으로 나타나 측정도구로서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어서 2차 본 조사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고 공인타당도를 알아보았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중간관리자 코칭스킬 4개의 구성요인과 그 하위문항들 간의 관계는 이론적으로 타당함이 검증되었다. 또한, 공인타당도 검증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한 중간관리자 코칭스킬 척도와 자기효능감 사이의 상관관계는 높게 나타나 공인타당도의 증거가 적절한 수준임을 보였다. 이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은 첫째, 이 연구는 기존의 코칭스킬 구성요인과는 의미가 다른 4개의 구성요인 즉, 목표설정, 관계형성, 커뮤니케이션, 자기주도 촉진을 개념으로 정립하였고, 코칭스킬의 구성요인은 성인학습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이 연구는 리더의 리더십 코칭스킬 구성요인과 중간관리자 코칭스킬 구성요인과는 의미상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 차이의 예를 들면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업무현장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중간관리자의 코칭스킬이 필요하고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이 연구는 중간관리자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코칭스킬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조직의 직무현장에서 실무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중간관리자의 직무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이 측정도구를 적극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중간관리자 코칭스킬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이 측정도구 개발로 성인학습이론의 지평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데 교육학적 의의가 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1. 코칭 5
가. 코칭 5
나. 안드라고지이론에서의 코칭 14
다. 인지 행동주의이론에서의 코칭 23
2. 코칭스킬 측정 32
가. 코칭스킬 32
나. 코칭스킬 측정 36
3. 중간관리자 직무역량 코칭스킬 측정 41
가. 중간관리자 직무역량 41
나. 중간관리자 직무역량 코칭스킬 측정 50

Ⅲ. 연구방법
1. 조작적 정의 61
2. 문항개발 기준 및 개발절차 61
3. 연구대상과 자료수집 64
4. 자료분석 68

Ⅳ. 연구결과 70
1. 예비문항 탐색 및 추출 70
가. 예비문항Ⅰ 문항 적절성 검토 및 평정 결과 70
나. 예비문항Ⅱ 안면타당도 검증 결과 73
다. 예비문항척도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75
2. 예비문항 분석 결과 79
가. 기술통계치 분석 79
나. 예비문항 분석 80
3. 최종문항 분석 결과 84
가. 탐색적 요인분석 84
나. 확인적 요인분석 94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105
2. 결론 및 연구 제언 117

참고문헌 122
Abstract 153
부록 15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