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직무수행을 위한 기준 개발 연구

The Study of the Standards Duties Development of an Inclusive Elementary Classroom Teacher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직무수행을 위한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직무수행 기준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전문가 집단 토론,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직무수행을 위한 기준은 교육 관련법, 일반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특수교육 교사의 공통적 직무 등에 관한 문헌연구 등을 통해 작성된 초안을 기반으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과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개발 과정은 크게 4단계로 진행하였는데, 제1단계는 직무 기준안의 개발단계로 교육 관련법, 문헌연구 등을 통해 직무 기준안을 도출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일반 초등학교 교사의 공통적 직무 영역으로 교수-학습, 생활지도, 관계, 학급경영의 4개의 영역과 특수교육 교사의 공통적 직무 중에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중심으로 한 특수교육의 기초 영역, 총 5개 영역에서 102개의 직무들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직무수행을 위한 기준안으로 구성되었다. 제2단계는 도출된 직무 기준안을 전문가 집단 토론을 통해 수정 및 조정하여 예비 직무기준안을 완성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초등학교 교장 및 교감, 교육경력 20년 이상의 교사, 특수교육 관련 석사학위 소지한 교사 등 총 8명으로 구성하였다. 전문가 집단 토론은 2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그 결과 5개 영역에서 64개의 직무 기준안이 구성되었다. 제3단계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나누어서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직무 기준안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단계로 경기도 내의 5개의 시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로, 첫째, 교육경력 10년 이상의 교사, 둘째, 특수교육관련 석사학위 이상의 자격을 소지한 교사, 셋째, 초등학교 1급 정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며 통합학급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교사로 하나 이상의 항목에 해당되는 경우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에서는 직무로서의 적절성, 문항별 획득 점수, 문항 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직무 기준안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고 신뢰도 분석을 실시(Cronbach’s α=.969)하여 5개 영역에서 53개의 직무 기준안이 구성되었다. 본조사는 전국 초등학교에 교사들 중에서 첫째, 특수교육관련 석사학위 이상을 소지한 교사, 둘째, 초등학교 1급 정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통합학급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교사, 셋째, 현재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 중 한 가지 이상의 조건에 해당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비율 표집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직무 기준안의 구인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5개 영역의 43개의 직무로 이루어진 최종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직무수행을 위한 기준을 확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기준은 특수교육 기초지식, 통합을 위한 교수-학습, 통합학급 생활지도, 협력적 관계 유지, 통합학급 학급경영의 5개 영역으로 구성하고 각 7개, 14개, 9개, 8개, 5개의 기준으로 구성되었다. 4단계는 최종 기준을 통해 교사 배경변인별 직무로서의 적합성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배경변인별 적합성의 차이 분석 결과 “특수교육 기초지식”, “통합학급 생활지도”, “협력적 관계 유지” 영역은 통합교육 관련 연수 경험의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합을 위한 교수-학습”, “통합학급 학급경영” 영역은 학력의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직무 기준 개발 연구에 대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직무 수행을 위한 기준은 5개의 직무영역과 43개의 직무기준으로 구조화되었다. 최종 선정된 직무 기준의 신뢰도(Cronbach’s α) 검증 결과 .97로 분석되었고, 각 영역별로는 특수교육 기초지식 .89, 통합을 위한 교수-학습 .93, 통합학급 생활지도 .88, 협력적 관계 유지 .88, 통합학급 학급경영 .85로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모든 문항의 공통성(Communality)이 .4 이상이고, Bartlett의 구형선 검정 통계 값이 11980.612(df=903, p〈.000)로서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KMO 적합도는 .956으로 이상적인 요인분석의 기준에 적합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구인타당도를 확보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 집단 토론, 초등교육 경력교사들의 타당성 검증을 통해 본 조사의 내용타당도를 높였다. 이에 최종 선정된 5개 영역의 43개의 직무 기준은 신뢰성이 있고 초등학교 통합교육 현장에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실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가 수행해야 할 전반적인 교육활동에 관한 핵심 직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최종 선정된 직무 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배경변인별 적합성에 대한 차이는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이 많고, 특수교육에 관한 지식이 많을수록 직무 기준의 적합성 대해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교사들에게 필요한 특수교육 관련 연수 및 전문성 신장 기회 등 통합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교사들에게 제공해야 할 것들에 대한 핵심 단서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개발된 직무 기준이 일반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육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 서비스와 행, 재정적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초등학교 통합교육 현장의 어려움을 개선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ore

목차

목 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장애아동 통합교육
2. 직무기준의 개념 및 방법
3.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직무

Ⅲ.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2. 연구 대상
3. 자료 처리

Ⅵ. 연구 결과
1. 직무 기준안의 전문가 집단 내용 타당성 검토
2. 예비조사를 통한 직무 기준안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토
3. 본조사를 통한 직무 기준안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토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3.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1
부록 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