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단독주택형 그린홈 인증 지표 개발 연구 : 전문가 및 거주자 중요도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Green Home Certification Indicators

초록/요약

본 연구는 단독주택형 그린홈의 보다 지속가능한 발전 및 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인증평가지표 개발을 목표로 단독주택형에 적절하고 그린홈의 정의에 유의한 예비평가지표 체계를 도출하여, 이에 대한 전문가 및 거주자 중요도 조사를 통해 단계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설정하고자 한다. 단독주택 유형의 새로운 평가지표체계의 개발에 앞서 현재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중 단독주택 유형에 해당하는 평가항목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9개의 키워드를 발굴하여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평가지표의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단독주택형 그린홈의 평가지표 개발은 우선 9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각각의 특성에 따른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주요 이슈를 도출하여, 기존의 국내·외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및 관련 연구문헌의 종합적인 분석과 연구진의 토론을 통해 예비평가지표체계를 수립하였다. 이러한 예비평가지표체계에 대하여 친환경 주택 계획 및 설계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국내 주요 건축설계 사무소와 대학 교수 등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용인 동백지구와 성남 판교의 단독주택지에 거주하는 거주자를 대상으로 거주자 설문조사를 각각 실시하여 평가 부문 및 예비평가지표에 대한 중요도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매트릭스 분석을 적용하여 4분위로 나누어 단계적 적용방안을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전문성을 감안하여 전문가 견해를 기준으로 논점을 전개하였다. 제 1단계 적용지표는 전문가, 거주자의 중요도가 모두 높은 지표들로서 12개 지표가 선별되었고 제 2단계 적용지표는 전문가의 중요도는 높으나 거주자의 중요도가 낮은 지표이거나 전문가의 중요도는 낮으나 거주자의 중요도는 높은 지표들로서 20개 지표가 선별되었다. 그리고 제 3단계 적용지표는 전문가와 거주자 모두의 중요도가 낮은 지표들로서 15개 지표가 설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독주택형 그린홈의 예비평가지표에 대하여 전문가 및 거주자를 대상으로 중요도 조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간의 의견 차를 조율하고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새로운 평가지표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연구의의가 있으나 조사된 내용을 근거로 친환경 주택 계획에 참여하고 있는 전체 실무자들과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실제 거주자들의 의식수준을 판단하기에는 좀 더 다양한 측면에서의 분석과정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며, 좀 더 많은 전문가 및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이다.

more

목차

제 1 장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제 2 장 국내·외 친환경인증제도 검토 및 선행연구 고찰

2.1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검토 및 그린홈의 정의
2.1.1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생성배경
2.1.2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추진 동향
2.1.3 단독주택형 그린홈의 정의
2.2 국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생성배경 및 추진동향
2.2.1 LEED for homes
2.2.2 CASBEE for Homes (Detached House)
2.2.3 Code for Sustainable Homes
2.2.4 DGNB (Deutsche Gesellschaft fur Nachhaltiges Bauen)
2.2.5 BEAM Plus
2.3 연구동향
2.3.1 친환경인증제도 관련 평가 및 관련 연구
2.3.2 선행연구의 한계

제 3 장 국내 친환경 단독주택 인증제도 예비평가지표

3.1 예비평가지표 수립과정
3.1.1 키워드 및 목표 설정
3.1.2 주요 이슈 도출
3.1.3 예비평가지표 도출


제 4 장 예비평가지표 체계에 관한 전문가 설문조사

4.1 설문조사의 대상 및 방법
4.2 설문조사 내용 및 분석 방법
4.3 조사 대상의 기초통계 분석
4.4 신뢰도 검증
4.5 중요도 조사결과 분석
4.5.1 부문별 중요도 분석
4.5.2 부문별 해당 예비평가지표의 중요도 분석
4.5.2 소결


제 5 장 예비평가지표 체계에 관한 거주자 설문조사

5.1 설문조사의 대상 및 방법
5.2 설문조사 내용 및 분석 방법
5.3 조사 대상의 기초통계 분석
5.3.1 용인 동백지구
5.3.2 성남 판교
5.4 신뢰도 검증
5.5 중요도 조사결과 분석
5.5.1 부문별 중요도 분석
5.5.2 부문별 해당 예비평가지표의 중요도 분석
5.6 용인 동백지구와 성남 판교 거주자간의 중요도 비교·분석
5.6.1 부문별 중요도 분석
5.6.2 부문별 해당 예비평가지표의 중요도 분석
5.7 거주자 중요도 조사결과 분석
5.7.1 부문별 중요도 분석
5.7.2 부문별 해당 예비평가지표의 중요도 분석
5.7.3 소결


제 6 장 전문가와 거주자의 중요도 조사 비교·분석

6.1 비교 대상의 기초 통계 분석
6.2 전문가와 거주자의 예비평가지표 중요도 비교
6.2.1 부문별 해당 예비평가지표의 중요도 분석


제 7 장 단독주택형 그린홈 예비평가지표 수립 및 단계적 적용방안

7.1 단계적 적용방안 설정
7.2 단계별 적용대상 평가지표
7.2.1 1단계 적용대상 평가지표
7.2.2 2단계 적용대상 예비평가지표
7.2.3 3단계 적용대상 예비평가지표


제 8 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