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관여도 분석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영어학습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학부모의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여도를 분석하여 새로운 영역의 초등영어 교육방법에 대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등학생 학부모 8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고 그중 5명에게 좀 더 세부적인 질문을 위해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학부모의 영어교육에 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부모들은 영어를 국제사회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필수요인으로 인식하면서 영어를 잘 하기 위해서는 영어권 문화도 함께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면담결과 다른 교육에 비해 너무 영어교육에만 집중되어 있다는 일부 학부모도 있었다. 또한 자녀의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으로 영어를 배울 때 반복학습과 연습을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나타났으며 영어를 배울 때 처음부터 잘못된 표현을 고쳐주지 않으면 나중에 잘못된 표현을 바로잡기가 힘들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어를 배울 때 좋은 영어발음을 내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었다. 이렇듯 영어교육에 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그에 따른 영어교육의 중요성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외국인과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고 국제화 시대에 맞게 영어를 잘 사용하는 인재가 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영어교육 시작 시기는 영어공교육이 시작되는 초등학교 3학년 이전부터 미리 영어교육을 시키면서 한 달에 10만원 미만부터 50만원까지 다양하게 영어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있었다. 또한 학부모들은 말하기와 듣기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에 반해, 쓰기의 선호도는 문법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영어학습 방법에서도 반복적 따라읽기와 영어방송 및 영화·DVD 보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영어학습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말하기와 듣기학습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생 자녀의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관여도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학부모들은 자녀의 영어교육을 위해서 영어학습에 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관여하고 있었다. 학부모들은 자녀와 영어숙제를 함께 하거나 확인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영어에 노출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 노래,영화,회화 테이프 등을 틀어주거나 영어 관련 서적 또는 DVD 등의 구입을 선호했다. 자녀의 하루 평균 영어소리에 노출되는 시간은 30분 미만에서 2시간 이상까지 폭넓게 나타났으며 가정에서 자녀들의 영어듣기 환경이 꾸준히 조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어 관련 도서 및 DVD 구입비는 한 달 평균 1만원에서 3만원이 가장높았으며 10만원 이상인 경우(5.8%)도 있었다. 반면에 전혀 구입비를 지출하지 않는 경우(14.4%)도 있었다. 영어사교육비도 한 달에 10만원에서 30만원 미만(65.1%)으로 지출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부모들은 자녀의 영어교육을 위해서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영어학습에 관여하고 있었다. 그러나 면담 결과 일부 학부모들은 가정 내에서 학부모의 관심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영화나 DVD 보기, 영어 관련 도서 구입하기 등과 같은 일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학부모 스스로가 영어를 못하므로 자녀의 영어교육과 관련된 일들을 부담스럽게 느끼는 경우도 나타났다. 그래서 오직 영어학원이나 과외 등의 사교육에 자녀의 모든 영어학습을 맡긴 채 다른 방법의 영어학습에는 관여하지 못하는 일부 학부모도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부모들은 초등영어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관심을 갖고 다양하게 자녀의 영어교육에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자녀양육에 더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박숙자, 1995). 그러므로 좀 더 세부적으로 학부모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어학습 관여도를 알아보기 위해 아버지보다 자녀양육의 비율이 높은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자녀의 영어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면 좀 더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학습의 주체자인 자녀와 학습의 관여자인 학부모의 관계에서 서로 다르게 느끼는 학습의 차이를 조사하여 자녀들이 느끼는 학습방향과 요구에 맞게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영어교육에 관여한다면 좀 더 효과적으로 자녀들의 영어교육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목차

- 목 차 -


Ⅰ. 서론....................................................................................................................................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1.2 연구 문제..........................................................................................................................4
1.3 연구의 제한점.................................................................................................................5

Ⅱ. 이론적 배경......................................................................................................................6
2.1 초등영어교육....................................................................................................................6
가. 초등영어교육 목표......................................................................................................6
나. 초등영어 교육과정 특징...........................................................................................7
다. 초등영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9
2.2 학부모의 학습관여........................................................................................................12
2.3 선행연구..........................................................................................................................16

Ⅲ. 연구 방법........................................................................................................................19
3.1 연구 대상........................................................................................................................19
가. 설문지 응답자의 기본 사항...................................................................................19
나. 면담자의 일반 사항.................................................................................................21
3.2 연구 도구........................................................................................................................22
3.3 조사 방법, 기간, 분석 방법.......................................................................................24

Ⅳ. 연구 결과 및 논의........................................................................................................25
4.1 학부모들의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25
가. 학부모들의 영어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25
나. 자녀의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26
다. 자녀의 영어교육에 대한 관여도...........................................................................39
4.2 면담조사 결과 및 분석...............................................................................................48
가. 초등영어교육 필요성...............................................................................................49
나. 초등영어 학습방법...................................................................................................50
다. 자녀의 영어교육 관여도.........................................................................................52
Ⅴ. 결론 및 제언..................................................................................................................54

참고문헌.................................................................................................................................59
<부록 1>...............................................................................................................................63
<부록 >2...............................................................................................................................6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