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고층아파트 주민의 신체적 건강과 주거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ents' Physical Health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n High-rise Apartments

초록/요약

공동주택은 인구 집중화 현상으로 인한 토지부족과 주택난을 해소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되었고, 이후 가속화 되는 도시화 속도에 대응해 고층화, 고밀화가 시작되면서 초고층 주택은 일반적인 도시주거유형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초고층주택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사회적으로 초고층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팽배해 있다. 초고층 주거환경에 대한 수많은 논란에서 주민의 건강문제는 가장 민감한 사안으로 아직 실증적인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 및 언론/미디어 등을 통해 초고층주택과 관련되어 논란이 되는 문제점을 폭넓게 파악하고, 이에 대해 초고층아파트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또한, 초고층아파트 주민건강의 문제점이 층수, 주거유형 등의 건축적 특성에서 비롯된 것인지, 아니면 건축적 특성에 의한 실내환경의 영향인지를 파악해 건강한 초고층주택의 계획요소를 제안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구축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론 및 미디어에서 언급하는 초고층 주택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논쟁에 대해 인식한다. 둘째, 이론적 고찰의 단계를 통해 공동주택의 특성 및 개념을 살펴보고, 주민건강과 관련된 주거환경의 개념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 초고층아파트의 주민의 응답을 대상으로 층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주민건강과 실내환경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넷째, 초고층아파트의 주민의 응답을 대상으로 주동유형을 독립변수로 하여 주민건강과 실내환경에 대해 T-test를 통해 집단간 차이를 분석한다. 다섯째, 주택유형을 독립변수로 하여 주민건강과 실내환경을 ANOVA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고층아파트에서 층수가 영향을 미치는 실내환경으로 실내 온습도롤 지적 되었다. 조사결과 고층으로 갈수록 겨울철 온도가 높고, 건조하다고 인식되어졌다. 이러한 온습도 조건과 유사감기증상들이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온습도가 주민건강에 영향을 기칠 것으로 의심되어 진다. 따라서, 고층아파트의 계획시 온습도 조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고층일수록 온도가 높고 건조한 상태가 더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층수에 따른 온습도 조절에 대한 계획의 차별화도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유지관리의 측면에 있어 온습도 조절에 신경을 써야할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초고층아파트 중 판상형에 비해 탑상형은 자연환기와 더불어 기계환기를 추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자연환기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주어 공기환경이나 온열환경의 제어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반면, 판상형은 자연환기에 의존해 환기의 횟수 및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주민건강에 민감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자연환기에 대한 기본적인 설계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겠지만 추가적으로 기계환기의 계획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질 좋은 실내공기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초고층아파트는 저층아파트에 비해 환기가 용이하지 못하고,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바람의 세기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창호의 개구부 크기와 개폐 방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의심된다. 저층의 슬라이딩 창호에 비교해 볼때, 고층에서 사용되는 커튼월 형식의 시스템창호는 개구부의 작은 개구부와 개폐 방식은 자연환기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고층아파트의 창호의 선택 및 디자인에 있어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초고층아파트 단지의 선정 및 비교대상지의 선정에 있어 주택유형의 대표성에 대한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되어 진다. 따라서 각 유형별 보다 많은 대상지를 선정해 확대 조사를 함으로써 객관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주민 조사 연구를 병행함으로써 구체성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 향후 연구과제로 남는다. 또한, 논란이 되고 있는 주장들의 검증을 넘어, 초고층 건강주택의 계획지표의 기초자료를 위해 세밀한 평가항목을 통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층수, 주동형식, 주택특성에 따라 초고층아파트 주민의 신체적 건강과 실내환경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앞으로 주거환경의 특성에 따른 실내환경 및 건강의 상관관계 밝히는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이러한 연구를 실시하여 초고층과 건강의 상호관계의 일관성있는 결론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초고층 계획 시 고려되어야 할 건축적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문제
1.1.1. 초고층 주택의 보급
1.1.2. 초고층 아파트 대한 논쟁
1.2. 문제제기
1.3. 연구의 목적
1.4. 연구의 범위
1.5. 연구의 방법
1.6. 용어의 정의
제2장 이론적 고찰
2.1. 주택의 개념 및 유형
2.1.1. 공동주택의 의의
2.1.2. 공동주택의 유형
2.1.3. 우리나라 공동주택 현황
2.2. 초고층주택의 개념
2.2.1. 초고층주택의 의의
2.2.2. 초고층주택의 유형
2.2.3. 초고층주택의 개발배경
2.3. 주민건강과 주거환경
2.3.1. 건강의 일반적 개념
2.3.2. 주민건강 관련 주거환경의 개념
2.3.3. 건강한 주거환경의 개념 변화
2.3.4. 주거환경에서의 질병유형
2.4. 선행연구 고찰
2.4.1. 초고층과 건강에 관한 연구
2.4.2. 초고층과 신체적 건강에 관한 논쟁
2.4.3. 선행 연구의 문제점
제3장 초고층아파트의 주민건강과 주거환경 조사개요
3.1. 조사 방법
3.1.1. 조사 대상지의 선정
3.1.2. 비교 대상지의 선정
3.1.3. 설문지 작성
3.1.4. 조사 개요
3.2. 분석 방법
제4장 초고층아파트의 주민건강과 주거환경 분석
4.1.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
4.2. 초고층아파트의 층수가 주민건강 및 실내환경에 미치는 영향
4.2.1. 층수에 따른 신체적 건강
4.2.2. 층수에 따른 실내 환경
4.2.3. 소결 : 초고층아파트의 층수에 따른 주민건강과 실내환경
4.3. 초고층아파트 주동형식이 주민건강 및 실내환경에 미치는 영향
4.3.1. 주동형식에 따른 신체적 건강
4.3.2. 주동형식에 따른 실내 환경
4.3.3. 소결 : 초고층아파트의 주동형식에 따른 주민건강과 실내환경
4.4. 초고층아파트와 중층/저층아파트 비교분석
4.4.1. 주택유형에 따른 신체적 건강
4.4.2. 주택유형에 따른 실내 환경
4.4.3. 소결 : 주택유형에 따른 주민건강과 실내환경
4.5. 분석결과
제5장 결론 및 요약
5.1. 연구 결과
5.2. 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