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정 시뮬레이션 확산을 위한 자료수집 절차 및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cess of Data Gathering and System for Diffusion of Operation Simulation

초록/요약

제조 기업은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단순한 제품의 품질규격 합격 여부를 확인하는 일반품질인증을 포함하여,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 설계, 생산시설 그리고 시험검사 등의 규격 유무를 확인하여 인증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중소기업이 ISO 인증을 받는 등 사내 표준 확립에 힘쓰고 있다. 하지만 ISO 규격에 따른 실행 절차서와 표준문서들은 중소 규모의 기업들이 사용하기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인증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 대한 관리 소홀로 인해 지속적인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부 컨설팅 업체를 이용하거나, 자체적인 능력으로 개선에 대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한계점이 존재한다. 먼저, 공정시뮬레이션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을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는 인증을 통한 공정 여러 부분에 대해 문서화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수집과 석을 위한 문서화는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둘째, 현장에서 수집 된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다는 것이다. 현장에서 발생하게 되는 여러 데이터와 사내에 구축되어 있는 시스템의 데이터간의 일치도가 떨어져 데이터 품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진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측정 방법이 잘못 되었거나, 필요한 데이터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활동들을 추진하기 위한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따라서 외부 컨설팅 업체를 통하여 공정 개선을 추진하는 것 외에도, 자사의 능력을 통하여 체계적인 공정 개선을 추진하기 위한 선행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구축하고 실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 규모 제조기업의 공정 개선을 위한 문제 영역을 제시하기 위해, 기존의 사내 문서를 활용하여 공정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의 핵심은 공정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짧은 기간에 반드시 필요한 데이터들을 효과적으로 수집하는데 있다.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는 해당 공정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관리할 수 있게끔 하는 절차서와 각 단계별로 사용되는 문서, 그리고 작성 방법으로 구성되어있다.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서화로 공정에 대하여 눈에 보이는 관리가 가능해지고, 공정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둘째,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해 공정 시뮬레이션에 대한 기반 데이터를 마련할 수 있고, 시뮬레이션 결과와 낭비에 대한 정의를 통하여 해당 공정에 대한 문제 영역과 낭비 종류를 파악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추진 절차와 체계를 마련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과정을 손쉽게 이루어 낼 수 있다. 결국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를 이용해 공정 개선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고, 공정 개선을 통하여 낭비제거와 경영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more

목차

1장 서론 1
1절 연구의 배경 1
2절 연구 목적 및 방법 3
3절 논문의 구성 7

2장 시뮬레이션 8
1절 시뮬레이션 8
2절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9
3절 시뮬레이션 자료 수집 11

3장 낭비 분류 체계 13
1절 가치창출 작업과 비 가치창출 작업 13
2절 TPS에서의 7대 낭비 15
3절 낭비 사례 분류 17

4장 문서 기반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 18
1절 연구 목표 18
2절 연구 내용 및 연구 범위 19
1. 연구 내용 및 범위 설정 19
2. 적용대상 21
3. 수집 데이터의 수준 21
3절 문서 수집 절차 및 활동 22
1. 사전준비 24
2. 현재 공정 이해 25
3. 고객 Needs 파악 26
4. 시뮬레이션 자료 수집 27
5. 시뮬레이션 28
6. 결과 분석 및 피드백 30
4절 데이터 수집 시스템 32
1. 개요 32
2. 화면 구성 및 기능 33

5장 사례연구 36
1. 사전준비 36
2. 현재 공정 이해 36
3. 고객 Needs 파악 38
4. 시뮬레이션 자료 수집 39
5. 시뮬레이션 42
6. 결과 분석 및 피드백 42

6장 결론 44

참고문헌 (Bibliography) 45

Abstract 48

Appendix A. 공정 문서 서식 5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