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어 '-었-'과 중국어 '了'의 의미 기능에 대한 대조 연구

A Study on the Contrast between the Meaning of Korean '-Eoss-' and Chinese 'Le'

초록/요약

본고는 외국어로서 한국어 학습을 위하여 한국어 '-었-'과 중국어 '了'의 의미 기능 대조를 통해 두 언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이를 연구하기 위해 한국어 선어말어미 '-었-'이 과거시제로 분석하여 이들이 상기능도 띠고 있다는 것을 논의했고 중국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상 표지 '了'에 대한 연구를 간략하게 검토해 보았다. 2장에서는 한국어의 시제와 상의 기본 개념을 정립하고 시제/상을 각각 표현하는 형식을 나타내는 기본 예시를 제시했다. 3장은 한국어 선어말어미 '-었-'이 가지고 있는 주요 기능을 시제로 논의하였다. 한국어 '-었-'은 한국어 문법 중에 대표적인 과거 시제 표지로 가장 중요한 연구 대상이라 볼 수 있고 그만큼 많은 연구 결과가 존재한다. '-었-'은 한국어 학습 중에 중국어와 유사성이 많다고 해서 중국인 학습자에게 중국어 표지 '了'와 같은 요소로 인식된다. 그러나 많은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한국어 '-었-'은 주로 시제를 표시하고 중국어 '了'는 상 기능이 더 많기 때문에 두 형태소가 동일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물론 한국어 '-었-'이 시제 이외에 상 기능하는 것이 가능한 예외도 있지만 '-었-'의 의미로 주로 시제로 나타내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4장에서는 중국어 표지 '了'의 의미 기능을 기술한다. 여태껏, 중국어에 관련된 연구에서 중국어에 시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해 왔다. 이들은 중국어에는 뚜렷한 시제 표지가 없다는 이유로 이런 논점을 제시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중국어에서의 시제의 존재를 인정하며 '미래'와 '비미래'로 시제를 구분하는 연구들이 존재한다. 중국어 '了'는 한국어 '-었-'과 달리 주로 상 기능을 나타낸다. 사건의 완결, 동작의 시작 상태의 변화 등에 의해 완결상과 기동상으로 분석한다. 5장은 이 논문의 중심내용으로 한국어 선어말어미 '-었-'과 중국어 '了'의 의미 기능을 대조한다. 한국어 '-었-'이 단순한 과거, 완결의미를 나타내는 기능을 표현할 때 중국어 '了'와 유사성이 있다고 본다. 많은 선행연구와 달리 한국어 '-었-'과 중국어 '了'를 차이점 위주로 연구하는 것은 중국어 문법은 어휘를 통해 시간 관련 의미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了'는 형용사나 심리동사의 결이 제한된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또한 '了'가 시간 부사와의 결합이 한국어 문장으로 번역할 때 '-었-' 없이 나타날 수 있다. 부정문에서 출현 가능성은 한국어와 중국어 각각의 부정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차이점이 생긴다. 한국어 '-었-' 같이 쓸 수 있는 반복 혹은 습관 표현에 중국어 '了'는 함께 쓰이지 못한다. '了'는 주로 동사 뒤에 붙어 완결이나, 동작의 시작 변화 등 기능을 표현하는 것도 두 언어의 차이점이 된다. 6장에서 이 논문을 요약하고 미진한 점을 제시한다.

more

초록/요약

<中文摘要> 關于韓語'-었-'和漢語'了'意義技能的對照&#30740;究 徐夕媚 韓語韓文系 亞州大學校硏究生院 本論文把韓語作爲外語&#25945;學的對象, 對韓語的'-었-'和漢語的'了'進行了對照&#30740;究,通過兩種要素的對照揭示出韓語和漢語在時態/相方面的共同點和差異點. 爲了進行比較, 首先對韓語'-었-'的主要功能'時態'用法進行了分析,除了時態以外韓語'-었-'還具備'相'的功能. 漢語的'了'在漢語中主要以'相'的形式出現, 但是&#23427;也具備'時態'的功能. 第二章以韓語的'時態'和'相'爲主,分別&#33289;例對兩個形態素的基本&#27010;念進行了描述. 在第三章中,主要對韓語的'先語末語尾''-었-'的功能進行了&#30740;究. 在韓語的時態中'-었-'作爲出現頻率最高的語法點,&#30740;究史上出現了對'-었-'的不同觀點, 本論文中把'-었-'作爲時態主要對過去時的用法進行了分析說明. &#20006;對'-었-'具備'相'功能的用法&#33289;例進行了間單的描述, 此目的是爲了提示出韓語'-었-'的特點. 第四章對漢語'了'的功能用法進行了&#30740;究分析. 漢語的介詞'了'作爲漢語中最複雜的語法標記,&#36804;今爲止依然沒有明確的結論對其定義. 由于漢語的語身就是壹個&#30740;究的難點, 加之, 漢語沒有明確的表式時態的標記,&#24456;多人認爲漢語&#20006;沒有時態的存在. 本論文對&#30740;究史中提出的&#27010;念進行了&#27010;括分析, 證明了漢語的時態的存在&#20006;對'了'在時態中得用法進行了&#33289;例說明. 與韓語'-었-'的功能不同的是,漢語'了'主要以'相'的形式出現, 本文中對漢語'了'的相用法借用韓語的命名進行了定義, 定義爲'完結相'和'起始相'. 因爲'了'主要用于動詞之後表式事件的結束或完成具有完整的性質和動作的變化和起始. 第五章是本論文的&#30740;究重點. 在韓語的外語&#25945;學過程中, 對'-었-'的解釋通常作爲和'了'相同的要素進行說明. 但韓語和漢語作爲兩種不同的語系其時態的表現的方式&#21371;不盡相同. 韓語的'-었-'和漢語的'了'的相似之處只有在都表示單純的過去或完成時有共同之處. 兩種語言的差異點從形容詞, 心理動詞, 時間副詞, 否定表現形式, 以及表示反複和頻度詞的用法中體會出來. 充分證明了二者之間的差異. 漢語'了'的語法形式的存在和漢語的詞彙意義相關,這是漢語作爲孤立語的特點之壹, 由此說明, 兩種語言的時態用法和表現形式在&#32763;譯過程中存在&#24456;大的差異. 第六章對本論文進行了&#27010;括, &#20006;提出了未完成的問題.

more

목차

차례

<국문초록> .................................................................................i

1. 서론.........................................................................1
1.1. 연구 대상과 목적 ...................................................1
1.2. 논의의 구성 ..........................................................3
1.3. 선행연구 ...............................................................4
1.3.1. 한국어의 '-었-'에 대한 연구 .................................5
1.3.2. 중국어의 '了'에 대한 연구 ...................................10

2. 기본 개념.................................................................18
2.1. 시제 ....................................................................18
2.2. 상 ......................................................................21

3. 한국어 '-었-'의 의미 ...............................................25
3.1. 과거 시제 의미 ....................................................26
3.2. 과거 시제 이외의 의미 ..........................................30
3.2.1. 상의 의미미 ....................................................30
3.2.2. 시제나 상 이외의 의미 ......................................34

4. 중국어 '了'의 의미 ...................................................39
4.1. '了'의 상 의미 .....................................................41
4.1.1. 완결상 ............................................................44
4.1.2. 기동상 ............................................................48
4.2. '了'의 시제 의미 ..................................................52

5. 한국어의 '-었-'과 중국어 '了'의 문법적 특성의 대조 ......58
5.1. 공통점 ...............................................................58
5.2. 차이점 ...............................................................60
5.2.1. 형용사와의 결합 여부 ........................................61
5.2.2. 심리동사와의 결합 여부 ....................................63
5.2.3. 시간 부사와의 결합 여부 ...................................64
5.2.4. 부정문 출현 가능성 ..........................................66
5.2.5. 반복 혹은 습관 표현과의 공기 여부 .....................70

6.결론 ......................................................................72

참고 문헌 .................................................................75
中文摘要 ..................................................................8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