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공부문 성과관리제도의 조직구성원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광역,기초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BSC에 대한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Organization Member's Acceptance of Public Sector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초록/요약

본 연구는 대표적 공공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 중인 성과관리제도인 BSC에 대해 경기도(광역, 기초지자체) 공무원들의 인식을 비교ㆍ분석하여 공공부문 조직구성원들의 성과관리에 대한 수용성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향후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제도 운영시 조직구성원들의 수용성 제고를 위해 고려하여야 할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실증ㆍ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BSC관련 선행연구들을 통해 공공부문 조직구성원들이 성과관리를 수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조직구성원의 성과관리 수용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성과관리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독립변수를 조직요인과 개인요인으로 구체화하고 조직요인으로는 “성과지표의 특성”, “정보관리시스템 운영”, “최고관리자 관심”, “전담조직 구성(역량)” 4항목을, 개인요인으로는 “교육”, “참여”를 주요변수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수인 조직구성원의 성과관리 수용도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성과관리의 효과성 인지정도”, “성과관리의 필요성 지지정도”, “성과관리시행에 따른 변화 인지정도”, “성과평가 및 보상에 대한 동의정도”로 설정하여 평균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공공부문 조직구성원의 성과관리 수용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해보고, 성과관리제도와 공공부문 조직구성원간 인과관계 및 조직구성원의 성과관리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검증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부문의 조직구성원은 “성과지표의 특성”, “정보관리시스템”, “최고관리자의 관심”, “전담조직 구성” 등 조직 요인보다는 “참여”, “교육” 등 개인적 요인에 의해 성과관리의 수용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공공부문 성과관리에 대한 조직구성원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의 영향력의 크기는 “참여”, “교육”, “정보관리시스템”, “전담인력의 역량(전문성)”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공공부문 조직에서 조직구성원들의 성과관리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하여는 현재 조직요인에 중점을 두는 성과관리 운영체제보다는 조직구성원의 “참여”와 “교육”등 개인적 요인에 중점을 두고 성과관리제도를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more

목차

목 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방법 및 구성 4
제 2 장 이론적 고찰 4
제 1 절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성과관리 4
제 2 절 성과관리의 개념 6
제 3 절 성과관리기법으로서 BSC 7
제 4 절 성과관리제도와 조직구성원의 수용성 11
제 3 장 연구 설계 15
제 1 절 연구모형 15
제 2 절 연구가설 17
1. 성과지표의 특성과 조직구성원의 성과관리 수용도 17
2. 정보관리시스템과 조직구성원의 성과관리 수용도 18
3. 최고관리자 관심과 조직구성원의 성과관리 수용도 19
4. 전담조직 구성(역량)과 조직구성원의 성과관리 수용도 20
5. 교육과 조직구성원의 성과관리 수용도 20
6. 참여와 조직구성원의 성과관리 수용도 21
제 3 절 자료수집 및 설문지 구성 22
제 4 장 분석 결과 25
제 1 절 표본의 특성 25
제 2 절 공공부문 성과관리(BSC) 수용도 영향요인 분석 27
1. 평균 분석 27
2. 상관관계 분석 34
3. 회귀 분석 35
제 5 장 연구의 결론 4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