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가정의 위험요인, 자아탄력성 및 대처방식간의 관계 -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가정의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 대처방식간의 상관을 살펴보고, 가정의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 대처방식의 조절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가정의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는 아동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가정의 위험 요인이 있더라도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요인을 살펴보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가정위험요인, 자아탄력성, 대처방식 간에는 서로 상관이 있을 것이다. 둘째, 남학생 및 여학생 집단에서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가정의 위험요인이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처방식은 조절역할을 할 것이다. 넷째, 남학생 및 여학생의 집단에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3개교의 5, 6학년 학생 455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 중 유효한 431부를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 대처방식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체를 대상으로 상관분석을 한 결과에서 가정의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가정의 위험요인과 대처방식 각각의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자아탄력성과 대처방식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긍정적 대처방식이 회피체념 대처방식보다 높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남학생의 경우 가정의 위험요인과 긍정적 대처방식이, 여학생은 가정의 위험요인과 회피체념 대처방식이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가정의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전체와 남학생 집단에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는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여학생 집단에서 회피체념 대처방식은 가정의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통제가능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도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의 경우 가정의 위험요인이 자아탄력성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지만 여학생의 경우 가정의 위험요인이 자아탄력성에 큰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남학생의 경우는 가정의 위험요인이 긍정적 대처방식에 영향을 많이 미치며, 반면 여학생의 경우는 가정의 위험요인이 회피체념 대처방식에 영향을 많이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남학생의 경우 긍정적 대처방식과 자아탄력성이 높은 정적 관계를 보이는데, 이는 남학생이 긍정적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자아탄력성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보이는 결과이다. 넷째, 여학생의 경우 회피체념 대처방식이 가정의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데, 이는 여학생의 경우 가정의 문제를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해결하려는 행동보다는 문제 상황을 보려하지 않고 감정을 방출하는 것이 자아탄력성에 도움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남학생과 여학생에게 가정환경 위험요인이 존재할 경우 성별에 따라 아동의 대처행동을 다르게 바라보고 접근해 가야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상관 및 조절효과에서 볼 수 있는 성별 차이 및 또 다른 조절변인과 관련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자료는 가정의 위험요인과 관련된 포괄적인 연구의 필요성과 가정의 위험 요인이 있더라도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요인을 살펴보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목차

< 목 차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가설 6

Ⅱ. 이론적 배경 7
1. 가정의 위험요인 7
2. 자아탄력성 10
3. 대처방식 14
4. 각 변인들간 선행연구 17

Ⅲ.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2. 측정도구 23
3. 자료처리 27

Ⅳ. 연구결과 28
1. 가정의 위험요인, 자아탄력성,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28
2. 가정의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35

Ⅴ. 요약 및 결론 50

<참고문헌>

<부록>


< 표 목 차>

<표 1> 성별 및 학년별 분포 22
<표 2> 가족 위험요인 척도의 하위요인 구성과 신뢰도 계수 24
<표 3> 대처방식 척도의 하위요인 구성과 신뢰도 계수 26
<표 4> 가정의 위험요인, 자아탄력성, 대처방식의 상관관계(전체) 29
<표 5> 가정의 위험요인, 자아탄력성, 대처방식의 상관관계(남) 31
<표 6> 가정의 위험요인, 자아탄력성, 대처방식의 상관관계(여) 33
<표 7> 가정의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긍정적 대처방식 조절 효과 35
<표 8> 가정의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회피체념 대처방식 조절 효과 36
<표 9> 통제 가능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긍정적 대처방식 조절 효과 37
<표 10> 통제 가능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회피체념 대처방식 조절효과 37
<표 11> 통제 불가능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긍정적 대처방식 조절효과 38
<표 12> 통제 불가능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회피체념 대처방식 조절효과 39
<표 13> 가정의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긍정적 대처방식 조절효과(남) 40
<표 14> 가정의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회피체념 대처방식 조절효과(남) 40
<표 15> 통제 가능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긍정적 대처방식 조절효과(남) 41
<표 16> 통제 가능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회피체념 대처방식 조절효과(남) 42
<표 17> 통제 불가능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긍정적 대처방식 조절효과(남) 43
<표 18> 통제 불가능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회피체념 대처방식 조절효과(남) 43
<표 19> 가정의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긍정적 대처방식 조절 효과(여) 44
<표 20> 가정의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회피체념 대처방식 조절 효과(여) 45
<표 21> 통제 가능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긍정적 대처방식 조절 효과(여) 46
<표 22> 통제 가능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회피체념 대처방식 조절효과(여) 47
<표 23> 통제 불가능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긍정적 대처방식 조절효과(여) 48
<표 24> 통제 불가능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의 회피체념 대처방식 조절효과(여) 49

< 그 림 목 차>

〔그림 1〕가정의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 회피체념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그래프 (여) 45
〔그림 2〕통제가능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에서 회피체념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그래프 (여) 4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