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태도 성숙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효과

Moderator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rier Consciousness Maturity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진로장벽과 진로태도성숙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진로지도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진로장벽, 진로성숙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각 변인들의 성별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세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끝으로 진로장벽과 진로태도 성숙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및 조절효과에서의 성별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도에서 성차를 보일 것이다. 둘째, 진로장벽,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도는 서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셋째, 진로장벽이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보일 것이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에는 성차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수원시 2개 중학교에서 3학년 303명(남학생 148명, 여학생 155명)에게 남녀 청소년 진로장벽 척도, 진로태도성숙도 척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 진로태도성숙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성별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들은 자신감과 자기이해가 여학생보다 높았으며, 성역할 갈등 및 성차별역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들은 여학생들보다 과제난이도를 선호하며 자신감도 높고 전체적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진로성숙도에서는 유의미한 성차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세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진로장벽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관계를 보였고 진로태도성숙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보였지만, 진로장벽과 진로태도성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진로장벽과 진로태도성숙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주효과는 나타났으나, 진로장벽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진로태도성숙도의 전체 변량의 8.8%를 설명하였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성별에 따라 나타나는지 분석한 결과 남녀 집단 각각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했었던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이는 진로장벽의 일부 하위변인(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진로성숙도의 일부 하위변인(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의 낮은 신뢰도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되며, 그 원인으로서 직업이 다양화됨에 따라서 공부만을 추구하는 획일화된 기준에만 의존하지 않는 학생들의 가치관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중요한 타인들(부모, 친구, 선생님 등)의 높아진 의식과 다양해진 직업세계에 대한 정보부족으로 학생들의 의식이 다양하게 나타났을 가능성을 가장 큰 원인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얻지는 못했지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더 다양하고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낮은 신뢰도의 원인으로서 다양화된 직업과 급변하는 의식수준을 감안한 새로운 척도개발도 고려해볼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more

목차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가설 ∙∙∙∙∙∙∙∙∙∙∙∙∙∙∙∙∙∙∙∙∙∙∙∙∙∙∙∙∙∙∙∙∙∙∙∙∙∙∙∙∙∙∙∙∙∙∙∙∙∙∙∙∙∙∙∙∙∙∙∙∙∙∙∙∙∙∙∙∙∙∙∙∙∙∙∙∙∙ 5
3. 용어의 정의 ∙∙∙∙∙∙∙∙∙∙∙∙∙∙∙∙∙∙∙∙∙∙∙∙∙∙∙∙∙∙∙∙∙∙∙∙∙∙∙∙∙∙∙∙∙∙∙∙∙∙∙∙∙∙∙∙∙∙∙∙∙∙∙∙∙∙∙∙∙∙∙∙∙∙ 6

II. 이론적 배경∙∙∙∙∙∙∙∙∙∙∙∙∙∙∙∙∙∙∙∙∙∙∙∙∙∙∙∙∙∙∙∙∙∙∙∙∙∙∙∙∙∙∙∙∙∙∙∙∙∙∙∙∙∙∙∙∙∙∙∙∙∙∙∙∙∙∙∙∙∙∙∙∙∙∙∙∙∙∙∙8
1. 진로장벽∙∙∙∙∙∙∙∙∙∙∙∙∙∙∙∙∙∙∙∙∙∙∙∙∙∙∙∙∙∙∙∙∙∙∙∙∙∙∙∙∙∙∙∙∙∙∙∙∙∙∙∙∙∙∙∙∙∙∙∙∙∙∙∙∙∙∙∙∙∙∙∙∙∙∙∙∙∙∙∙∙8
2. 진로태도성숙도∙∙∙∙∙∙∙∙∙∙∙∙∙∙∙∙∙∙∙∙∙∙∙∙∙∙∙∙∙∙∙∙∙∙∙∙∙∙∙∙∙∙∙∙∙∙∙∙∙∙∙∙∙∙∙∙∙∙∙∙∙∙∙∙∙∙∙∙15
3. 학업적 자기효능감∙∙∙∙∙∙∙∙∙∙∙∙∙∙∙∙∙∙∙∙∙∙∙∙∙∙∙∙∙∙∙∙∙∙∙∙∙∙∙∙∙∙∙∙∙∙∙∙∙∙∙∙∙∙∙∙∙∙∙∙∙ 19
4. 선행연구 고찰∙∙∙∙∙∙∙∙∙∙∙∙∙∙∙∙∙∙∙∙∙∙∙∙∙∙∙∙∙∙∙∙∙∙∙∙∙∙∙∙∙∙∙∙∙∙∙∙∙∙∙∙∙∙∙∙∙∙∙∙∙∙∙∙∙∙∙∙∙ 23

III. 연구방법∙∙∙∙∙∙∙∙∙∙∙∙∙∙∙∙∙∙∙∙∙∙∙∙∙∙∙∙∙∙∙∙∙∙∙∙∙∙∙∙∙∙∙∙∙∙∙∙∙∙∙∙∙∙∙∙∙∙∙∙∙∙∙∙∙∙∙∙∙∙∙∙∙∙∙∙∙∙∙∙∙∙26
1. 연구대상∙∙∙∙∙∙∙∙∙∙∙∙∙∙∙∙∙∙∙∙∙∙∙∙∙∙∙∙∙∙∙∙∙∙∙∙∙∙∙∙∙∙∙∙∙∙∙∙∙∙∙∙∙∙∙∙∙∙∙∙∙∙∙∙∙∙∙∙∙∙∙∙∙∙∙∙∙∙26
2. 연구도구∙∙∙∙∙∙∙∙∙∙∙∙∙∙∙∙∙∙∙∙∙∙∙∙∙∙∙∙∙∙∙∙∙∙∙∙∙∙∙∙∙∙∙∙∙∙∙∙∙∙∙∙∙∙∙∙∙∙∙∙∙∙∙∙∙∙∙∙∙∙∙∙∙∙∙∙∙∙26
3. 자료처리∙∙∙∙∙∙∙∙∙∙∙∙∙∙∙∙∙∙∙∙∙∙∙∙∙∙∙∙∙∙∙∙∙∙∙∙∙∙∙∙∙∙∙∙∙∙∙∙∙∙∙∙∙∙∙∙∙∙∙∙∙∙∙∙∙∙∙∙∙∙∙∙∙∙∙∙∙∙31

IV. 연구결과∙∙∙∙∙∙∙∙∙∙∙∙∙∙∙∙∙∙∙∙∙∙∙∙∙∙∙∙∙∙∙∙∙∙∙∙∙∙∙∙∙∙∙∙∙∙∙∙∙∙∙∙∙∙∙∙∙∙∙∙∙∙∙∙∙∙∙∙∙∙∙∙∙∙∙∙∙∙∙∙∙∙32
1. 진로장벽, 진로태도성숙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의
성차 ∙∙∙∙∙∙∙∙∙∙∙∙∙∙∙∙∙∙∙∙∙∙∙∙∙∙∙∙∙∙∙∙∙∙∙∙∙∙∙∙∙∙∙∙∙∙∙∙∙∙∙∙∙∙∙∙∙∙∙∙∙∙∙∙∙∙∙∙∙∙∙∙∙∙∙∙∙∙∙∙∙∙∙∙ 32
2. 진로장벽, 진로태도성숙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관
관계∙∙∙∙∙∙∙∙∙∙∙∙∙∙∙∙∙∙∙∙∙∙∙∙∙∙∙∙∙∙∙∙∙∙∙∙∙∙∙∙∙∙∙∙∙∙∙∙∙∙∙∙∙∙∙∙∙∙∙∙∙∙∙∙∙∙∙∙∙∙∙∙∙∙∙∙∙∙∙∙∙∙∙∙∙ 34
3. 진로장벽과 진로태도성숙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36
4.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 37

V. 결론 및 제언∙∙∙∙∙∙∙∙∙∙∙∙∙∙∙∙∙∙∙∙∙∙∙∙∙∙∙∙∙∙∙∙∙∙∙∙∙∙∙∙∙∙∙∙∙∙∙∙∙∙∙∙∙∙∙∙∙∙∙∙∙∙∙∙∙∙∙∙∙∙∙∙∙∙ 39
1. 결론 ∙∙∙∙∙∙∙∙∙∙∙∙∙∙∙∙∙∙∙∙∙∙∙∙∙∙∙∙∙∙∙∙∙∙∙∙∙∙∙∙∙∙∙∙∙∙∙∙∙∙∙∙∙∙∙∙∙∙∙∙∙∙∙∙∙∙∙∙∙∙∙∙∙∙∙∙∙∙∙∙∙∙∙∙ 39
2. 제언 ∙∙∙∙∙∙∙∙∙∙∙∙∙∙∙∙∙∙∙∙∙∙∙∙∙∙∙∙∙∙∙∙∙∙∙∙∙∙∙∙∙∙∙∙∙∙∙∙∙∙∙∙∙∙∙∙∙∙∙∙∙∙∙∙∙∙∙∙∙∙∙∙∙∙∙∙∙∙∙∙∙∙∙∙ 4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