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조건 연결어미의 의미에 대한 연구 : -‘-으면’ ‘-거든’ ‘-아야’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조건 연결어미의 의미 및 그 하위분류를 밝혀 조건 연결어미‘-으면’‘-거든’‘-아야’가 어떤 조건 의미를 나타내는지, 조건의 의미장에서 어떤 의미 영역을 갖는지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2장에서는 주로 조건과 양보, 인과, 그리고 가정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조건, 인과, 양보의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조건 연결어미, 인과 연결어미, 양보 연결어미가 나타내는 선‧후행절 사이의 관계도 다르다. 조건이 인과나 양보의 상위어라고 하기는 어렵고, 이들은 접속문의 선‧후행절 사이의 관계를 나타낼 때 대등적인 관계를 갖는다. 또한 가정은 아직 사실이 아닌 것을 임시로 사실로 잡는 것이며, 선행절에만 관여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선‧후행절 사이의 관계를 나타낼 수 없다. 한국어에서 가정은 하나의 연결어미로 나타날 자격이 없으며 조건의 하위 범주에 속한다. 3장에서는‘-으면’‘-거든’‘-아야’의 통사적인 제약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들 조건 연결어미들은 선어말어미‘-더-’와의 결합에서 모두 제약을 받는 반면, 선어말어미‘-았-’과의 결합은 모두 가능하다. 선어말어미‘-겠-’은‘-으면’‘-거든’과의 결합에서는 제약이 따르지 않지만 ‘-아야’와는 결합하지 못한다. 의향법에 있어서‘-으면’도 제약이 따르지 않는다.‘-거든’은 시킴법과 꾀임법에 자연스럽게 쓰이지만 서술법과 물음법에는 화자나 청자의 의지와 관련된 것에만 한정적으로 쓰인다. 이와 반대로‘-아야’는 시킴법과 물음법에 제약되며 서술법과 단순 판정의문문, 수사의문문에만 쓰인다. 한편으로‘-으면’과‘-아야’조건문에서는 주어의 제약은 받지 않으며‘-거든’조건문에서는 후행절 주어가 3인칭이나 무정물일 때 제약을 받는다. 마지막으로‘-으면’은 보조사‘야’,‘은’과 결합할 수 있으나‘-아야’는 보조사‘만’과만 결합할 수 있다. 4장에서는 조건 연결어미의 의미에 논의하였다. 본고에서 조건을 일차적으로 사태조건, 인식조건, 발화조건으로 나누었다. 사태조건은 선행절 사태가 후행절 사태가 실현될 수 있는 조건으로, 인식조건은 선행절이 후행절 사태를 인식할 수 있는 조건으로, 발화조건은 선행절이 후행절이 자연스럽게 발화될 수 있는 조건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사태조건을 다시 가정조건과 단순조건으로 구별하였다. 가정조건은 조건문의 선행절에서 비사실이거나 반대사실적인 사태를 사실로 가정하여 후행절에서 이 가정된 조건에 따른 결과를 나타낼 경우를 말한다. 단순조건은 조건문에 선행절이 이미 사실이거나 사실이 아니더라도 선행절의 사실성 여부에 중점을 두지 않고 단순히 선‧후행절 사이의 조건관계를 강조하는 경우를 말한다. 조건 연결어미 중에서‘-으면’은 사태조건, 인식조건, 발화조건에 모두 쓰일 수 있지만‘-거든’과‘-아야’는 사태조건에서 단순조건에만 쓰일 수 있다.‘-으면’의 사태조건 중에서 가정조건은 선행 조건의 실현 가능성에 따라 실현 가능한 가정조건과 실현 불가능한 가정조건으로 세분화하고 단순조건은 다시 조건관계가 성립하는 근거에 따라 법칙적 조건, 경험적 조건, 논리적 조건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으면’‘-거든’‘-아야’는 모두 단순조건을 나타낼 수 있지만 각각의 단순조건이 똑같지는 않다.‘-으면’‘-거든’이 충분조건을 나타내는 데에 반해 ‘-아야’는 필요조건을 나타낸다. 이들의 조건관계의 형성과정을 보면‘-으면’과 ‘-거든’은 먼저 조건을 알고 이 조건 하에 어떤 결과가 나타날 수 있는지를 드러내며,‘-아야’는 먼저 결과를 알고 이 결과가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경우 중 필수로 나타나야 하는 것을 선택하여 필요성을 부여한다. 또한‘-거든’은 조건의 실현성에 대한 주관적인 믿음을 나타내며‘-으면’보다 조건의 실현 가능성이 높다. ‘-으면’ ‘-거든’ ‘-아야’의 조건 의미는 조건의 의미장에서 서로 배타적으로 자리를 잡고 대등적으로 존재한다. 이들은 통사적으로는 대치할 수 있어도 의미적으로는 대치할 수 없는 것이다. 5장은 결론으로서 본고의 논의를 정리하고 요약하였다. 핵심어: 조건 연결어미, 사태조건, 인식조건, 발화조건, 의미장

more

초록/요약

本研究的目的在于明確韓國語條件詞尾的意義及其分類。規定出條件詞尾‘-으면’, ‘-거든’, ‘-아야’的條件意義以及在條件域中的意義領域。 第二章主要介紹條件與讓步,因果,假設之間的關系。條件,讓步,因果的意義不同,條件詞尾,因果詞尾,讓步詞尾所體現的前後關系也不相同。條件與因果,讓步不是包括與被包括的關系,而是平等關系。假設是把非現實臨時看做事實,只與前分句有關但是不能體現出前後分句之間的關系。因此在韓語中假設不具備擁有詞尾的資格,只能隸屬于條件詞尾。 第三章主要介紹‘-으면’, ‘-거든’, ‘-아야’在統辭上的限制。這些條件詞尾在與先語末詞尾‘-더-’的結合上都受限,在與先語末詞尾‘-았-’的結合上都不受限。在 ‘-으면’, ‘-거든’, ‘-아야’ 與先語末詞尾‘-겠-’的結合上都不受限,但是‘-아야’與‘-겠-’結合時都受限。在意向法上 ‘-으면’, ‘-거든’ 只能用于命令,共動以及和話者或聽者的意志有關的敘述或者疑問。與此相反‘-아야’不能用于命令,共動,只能用于單純的判定疑問和反問。另外‘-으면’, ‘-아야’條件句中主語不受限制,條 ‘-거든’ 件句中後分句的主語不能為第三人稱或者無感情主語。在與助詞的結合上‘-으면’可以與‘야’,‘은’連用,但‘-아야’只能與‘만’連用。 第四章主要討論條件詞尾的意義。本研究中首先把條件分為事件條件,認識條件發話條件。事件條件即先行事件是後行事件成為現實的先行條件,認識條件即先行事件是認識後行事件的先行條件,發話條件即先行事件是後行分句可以自然發話的先行條件。事件條件可以分為假定條件和單純條件。假定條件即先行分句中把非事實或與現實相反的看做事實,後行分句中指出此假設下可以出現的結果。單純條件即先行分句中的事件為既定事實,即便為非事實,重點也不在其事實與否上,即單純強調前後分句之間的條件關系。 條件詞尾‘-으면’可以用于事件條件,認識條件,發話條件,‘-거든’和‘-아야’只能用于事件條件中的單純條件。‘-으면’事件條件中,假設條件可以根據其條件的實現可能性分為可能實現的條件和不可能實現的條件。單純條件可以根據其條件關系成立的依據分為法則性條件,經驗性條件,理論性條件。 ‘-으면’, ‘-거든’, ‘-아야’都可以用于單純條件,但是它們所體現的單純條件也不是完全相同的。‘-으면’, ‘-거든’ 表示充分條件而‘-아야’表示必需條件. 在條件關系的形成過程上 ‘-으면’, ‘-거든’ 是先知道條件,由條件推出可能出現的結果,‘-아야’是先知道結果,在可以出現此結果的各種情況中選擇出必須出現的情況並賦予其必需性。另外‘-거든’可以體現出對條件實現性的主觀信任,其條件的實現性比‘-으면’的條件實現性高。在條件的意義域裏的的 ‘-으면’, ‘-거든’, ‘-아야’ 條件意義相互排他並相互平等。它們在統辭上可以互相代替,但是在意義上不可代替。 第五章是本稿的結論部分。 關鍵詞: 條件詞尾, 事件條件, 認識條件, 發話條件, 意義域

more

목차

차 례


<국문초록> i

1. 서론 1
1.1. 연구목적과 대상 1
1.2. 선행연구 2
1.3. 연구방법 6

2. 조건과 인접 범주의 관계 8
2.1. 조건과 양보 8
2.2. 조건과 인과 10
2.3. 조건과 가정 12

3. 조건 연결어미의 통사적 제약 16
3.1. 선어말어미와의 통합제약 16
3.2. 의향법의 제약 19
3.3. 주어의 제약 22
3.4. 보조사와의 통합제약 24

4. 조건 연결어미의 의미 26
4.1. 조건 연결어미에 대한 기본 논의 26
4.2.‘-으면’의 의미 29
4.2.1. 사태조건 29
4.2.1.1. 가정조건 30
4.2.1.2. 단순조건 32
4.2.2. 인식조건 34
4.2.3. 발화조건 36
4.2.4. 조건 외의 의미 37
4.3.‘-거든’의 의미 40
4.3.1. 사태조건 41
4.3.2. 조건 외의 의미 47
4.4.‘-아야’의 의미 49
4.4.1. 사태조건 49
4.4.2. 조건 외의 의미 53
4.5. 조건의 의미장 54

5. 결론 58

<참고문헌 > 61

<中文摘要> 64

표 차례

[표1] 조건 의미에서 ‘-으면’의 의미 영역 분포 37
[표2] 조건 의미에서 ‘-거든’의 의미 영역 분포 47
[표3] 조건 의미에서 ‘-아야’의 의미 영역 분포 52
[표4] 조건 연결어미의 의미 영역 분포 59

그림 차례

[그림1] 조건의 의미장 56
[그림2] 조건의 하위분류 5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