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국 대학 교직원들의 총장 리더십 인식에 관한 연구 : -중국 흑룡강성 하얼빈시 두 개 대학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국 문 초 록 세계적 규모의 경제와 국력 간의 경쟁은 궁극적으로 과학기술과 인재 양성에 기 반을 둔다. 2010년 중국의 경제력은 일본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세계 제2위를 기록 하였으며 국가 경쟁력은 한국과 일본보다 앞서 있다. 중국은 2007년부터 이미 인구 가 제일 많은 나라로부터 인적자원이 제일 많은 나라로 전변하였다. 중국이 급부상 하게 된 원인은 많지만 그중에 인재 양성이 결정적 요인 중 하나이다. 다시 말하면 대학에서 양성된 인재들이 각 부문에서 일익을 담당하고 있으면서 중국의 경제개혁 과 발전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 대학 총장이 시대의 변화 에 적응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현재 중국고등교육의 전략적 목표는 2020년까지 교육 현대화를 기본적으로 실현 하여 ‘학습 형 사회’를 형성하며, 인적자원 강대국으로 진입하는 것이다. 따라서 중 국에서는 대학 개혁의 내실화를 선도하고 인재양성의 질적 향상을 핵심 사업으로 추진해야 하는 시점에서 리더로서의 대학 총장의 리더십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 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대학 총장의 리더십 유형이 중국의 개혁 개방의 전환에 적응하여 대학체제개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데 초점을 두고 접근하였다. 연구문제 는 중국 대학 교수 집단과 직원 집단의 총장 리더십의 8가지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 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문헌연구, 실증조사연구, 통계분석연구, 비교법적 분석연구 등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 대학 교수 집단은 총장 리더십 구성요소 “자질 및 윤리적 대학 운영” 을 1순위로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직원 집단은 총장 리더십 구성요 소 “전략적 영역ㅡ비전의 제시”를 1순위로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 타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 정도는 같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대학 교수 집단과 직원 집단은 총장 리더십의 구성요소 “조정능력 및 조직문화”, “자질 및 윤리적 대학 운영”에 대하여 유의미한 인식 차이를 나타냈는데 교수 집단은 직원 집단보다 그 중요성을 더 깊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중국 대학 교직원들의 총장 리더십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은 성별, 연령, 근 무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중․한 대학 교직원들의 총장 리더십인식에 대한 우선순위를 총괄 비교해 본 결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중국 대학 총장은 대학의 원활한 발전을 위하여 교직원들의 의견을 수렴 하고 바람직한 리더십을 발휘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가. 대학의 장기적인 비전을 제기하여야 한다. 나. 대학의 통합·조정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다. 대학 내부 관리체제의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 라. 대학의 발전을 위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 마. 대학의 윤리적 대학 운영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 구성원 전체가 요구하는 총장 리더십 유형이 무엇인 가를 분석하여 한국과 비교 연구를 한다면 더 이상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more

목차

목 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내용 3
3. 연구문제 3
II. 이론적 배경 5
1. 리더십의 이론적 관점 5
2. 대학 총장 리더십 14
3. 중국 대학 총장 리더십 18
가. 중국 대학의 변천과 총장 리더십 20
나. 중국 대학의 도전과 총장 리더십 23
III. 연구방법 26
1. 조사대상 26
2. 조사도구 29
3. 조사절차 30
IV. 결과 및 논의 32
1. 중국 대학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한 인식 32
2. 중국 대학 교직원들의 총장 리더십에 대한 인식 37
3. 중국 대학 교직원들의 총장 리더십에 대한 요구 52
V. 결론 및 제언 53
1. 결론 53
2. 제언 57
참고문헌 60
1. 국내문헌 60
2. 외국문헌 62
3. 인터넷 자료 63
附彔: 問卷 6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