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성인기 애착의 불안-회피 차원에 따른 대인관계문제 : 스트레스 대처 양식의 매개효과 검증

The mediation effect of Stress coping skills between Anxiety-Avoidance Dimentions of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초록/요약

본 연구는 38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인기의 애착 불안-회피 차원과 대처방식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애착의 두 차원(불안-회피)과 특정 대인관계문제영역(의존적-독립적)과의 관계를 특정 대처양식(정서중심-거리두기)이 매개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정서중심 대처는 불안애착과 의존적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거리두기 대처는 회피애착과 독립적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more

목차

서 론 1
이론적 배경 7
1. 애착 8
2. 스트레스 대처 12
3. 대인관계문제 16
연구 목적 및 연구 가설 23
1. 연구 목적 23
2. 연구 가설 25
3. 연구 모형 25
방 법 26
1. 연구 대상 26
2. 측정 도구 26
3. 자료 분석 28
결 과 30
1. 주요변인들의 평균 및 상관 30
2. 구조방정식을 통한 구조모형 검증 35
논 의 46
참고문헌 53
부록 61
Abstract 7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