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간종속성·이질성을 고려한 통근통행발생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ggregate Commuting Trip Generation Models Considering Spatial Dependence and Heterogeneity

초록/요약

본 논문은 집계적인 통근통행발생량의 공간적인 효과, 즉 공간종속성과 이질성을 확인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변수로 활용하는 공간계량모형의 구축을 통해 기존 모형의 내재적 오차를 개선하는 일반론적 분석기법의 제시와 모형의 구축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1) 통근통행발생량의 공간상관성 진단과 원인을 분석하고, 2) 원인변수를 반영한 기준모형을 구축하고 해석하며, 3) 공간상관성을 고려한 대안모형을 구축 하여 4) 각 모형을 비교, 분석하여 최적 대안을 제시하는 네 단계의 분석기법과 모형을 제시하였다. 정립된 방법론과 모형에 따라, 서울시 통행조사자료를 이용한 사례분석을 통해, 통근통행발생량의 공간상관성과 이질성은 분석대상지역의 국지적인 토지이용 특성과 지리적인 입지에서 기인하며, 그 결과는 추정된 회귀모형에 의한 오차의 공간적 자기상관으로 나타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 오차는 공간오차모형과 지리적 가중회귀모형의 구축을 통해 계량화할 수 있으며 일반최소자승법에 의한 다변량회귀모형과 비교할 때 우수한 추정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특히 지리적 가중회귀모형은 내생적으로 최적의 공간가중치를 도출하는 비모수적 기법으로서 다양한 토지이용과 통행행태가 혼재되어 나타나는 대도시 권역에 적합하며, 향후 통행수요모형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5
제 2 절 연구 내용 및 방법 7
1. 연구의 내용 7
2. 연구의 절차 및 방법 11
제 2 장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14
제 1 절 전통적인 통행수요모형 이론 14
1. 4단계 모형의 개요 14
2. 회귀분석 기반의 통행발생모형 15
3. 전통적 통행수요모형의 수정 사례 16
제 2 절 공간계량모형 이론과 통행수요 응용사례 20
1. 공간계량모형 이론 20
2. 공간계량모형의 통행수요 응용사례 42
제 3 장 연구방법론 및 모형 구축 46
제 1 절 분석체계의 정립 46
1. 선행 연구사례의 시사점 46
2. 연구방향 설정 47
3. 분석체계 정립 47
제 2 절 단계별 모형 구축 50
1. 제1단계: 공간상관성 진단 및 원인분석 50
2. 제2단계: 기준모형 구축 및 해석 52
3. 제3단계: 대안모형 도출 및 해석 55
4. 제4단계: 비교분석 59
제 4 장 사례 연구 60
제 1 절 분석자료 설정 및 변수의 정의 60
1. 분석 자료 60
2. 설명변수의 정의 61
제 2 절 통근통행수요의 공간적 해석 63
1. 전역적 공간상관성 검정 63
2. 국지적 공간상관성 검정 64
3. 검정 결과의 해석 74
제 3 절 기준모형의 추정과 해석 79
1. 토지이용 변수의 도입 79
2. 통근 통행생성 모형 83
3. 통근 통행유인 모형 92
4. 기준모형 추정결과 요약 101
제 4 절 대안모형의 추정과 해석 104
1. 대안모형 개요 104
2. 공간회귀모형 104
3. 이분산의 고려 121
4. 공간확장모형 (GWR) 129
제 5 절 모형간 비교 분석 159
1. 모형의 추정력 비교 159
2. 공간상관성 측면의 비교 분석 162
3. 평균 오차의 비교 167
4. 모형간 비교 요약 168
제 5 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169
제 1 절 종합 결론 169
제 2 절 향후 연구과제 17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