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무원의 직무요구, 자원이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Job Demand, Resource on Public Official Job burnout and Job Engage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초록/요약

국문초록 본 연구는 공무원들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직무탈진(소진, 냉소)과 직무열의(활력, 헌신,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핵심자기평가가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청에 근무하는 4급 이하의 모든 공무원(N=236)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목적과 가설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요구는 직무탈진의 하위요인인 소진, 냉소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자원인 직무특성은 직무열의의 하위요인인 활력, 헌신, 몰입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변수 효과 검증에서는 직무요구와 직무탈진의 관계를 핵심자기평가가 완충(Buffer)해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자원과 직무열의의 관계는 핵심자기평가가 증진(Enhance)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관계모두에서 핵심자기평가는 조절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 점과 향후 연구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제 1 장 . 직무요구와 직무자원 4
1 . 직무요구 4
2 . 직무자원 5
제 2 장 . 직무탈진과 직무열의 6
1 . 직무탈진 6
2 . 직무열의 8
3 . 직무요구-자원모형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와의 관계 9
4 . 직무탈진과 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차 변수들 10
제 3 장 . 핵심자기평가 13
1 . 핵심자기평가 13
2 . 핵심자기평가 선행연구 14
3 . 핵심자기평가와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와의 관계 16
Ⅲ 연구목적 및 가설 18
제 1 장. 연구목적 18
제 2 장. 연구가설 및 모형 19
Ⅳ 연구방법 22
제 1 장. 연구대상 22
제 2 장. 측정도구 22
1 . 직무요구 22
2 . 직무자원 24
3 . 핵심자기평가 25
4 . 직무탈진 26
5 . 직무열의 26
제 3 장 . 분석방법 27
Ⅴ. 연구결과 28
제 1 장 .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8
제 2 장 .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30
제 3 장 . 측정변인들 간의 상관 30
제 4 장 . 조절효과 가설 검증 31
Ⅵ. 결론 및 논의 35
참고문헌 39
부록 47
ABSTRACT 5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