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철도사업에서의 수단전환율을 고려한 영향권 설정 방법론의 개발

A Methodology for Defining the Impact Study Area Using Mode Diversion Trip Rate in Rail Infrastructure Feasibility Study

초록/요약

영향권은 일반적으로 교통투자사업이후 통행패턴이 현저하게 변화하는 지역으로서 통상 사업시행에 따른 편익산정의 대상이 되는 공간적 범위이다. 영향권 설정은 보다 양적으로 정확한 편익등의 산정과, 과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에 반해 효율적인 교통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현재 예비타당성조사 지침에서는 수단전환이라는 가변수요하의 교통수단이 가지는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도로부문의 영향권 설정기준을 철도사업과 같은 가변수요 교통수단의 투자평가에도 적용하고 있어 문제가 발생하는바, 본 연구에서는 가변수요하의 교통수단 투자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영향권 설정 지표와 영향권 설정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가상의 사업을 설정하여 기존의 방법론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방법론과 109억 편익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권 내 수단전환 통행량의 수렴성은 본 연구 방법론이 수단전환 통행량의 93%, 기존 방법론이 76%을 영향권 내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가변수요하의 교통수단의 투자평가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영향권 설정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기존의 방법론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철도사업은 물론 가변수요하의 교통수단 투자평가에 합리적인 영향권을 선정하는데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초록/요약

In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the impact area generally consists of traffic analysis zones in which traffic volume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a transportation investment project. Since the impact area is routinely designated as the spatial scope for estimating the benefits resulting from the transportation project, it is utmost important to accurately define the impact area by adequately reflect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transportation projects. However, the current Korean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guidebook provides a simple method for determining the impact area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ransportation projects, which often make travelers switch their travel modes. Hence, this study develops a comprehensive method for defining the impact area when evaluating railroad projects, which can significantly affect travel mode choice behaviors. To develop the methodology , a hypothetical project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convergence of mode-diverted trip rates is improved from 76% to 93% when implementing the proposed method.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enefits (about 10.9 billion won) between the current method and the proposed method. Thus,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assess the railroad projects as well as transit investment with elastic demands.

more

목차

제 1 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4

제 2 장 관련문헌 고찰 5
1. 기존 영향권 설정 현황 5
1.1. 도로부문 사업의 영향권 설정 5
1.2 철도부문 사업의 영향권 설정 6
2. 기존 연구의 고찰 7
3. 기존 연구의 한계점 15
3.1. 철도사업을 고려한 영향권 설정에 관한 연구의 부재 15
3.2. 철도사업의 영향권 설정을 위한 적용의 한계 15

제 3 장 철도사업 영향권 설정 기법의 제시 17
1. 직접영향권의 설정 17
1.1. 직접영향권의 해석 17
1.2. 철도사업에서의 직접영향권 17
2. 간접영향권의 설정 20
2.1 RV율 적용의 한계 20
2.2 수단전환율을 고려한 영향권 설정지표의 제시 22
2.3 율을 이용한 영향권 설정 기준의 제시 23

제 4 장 율을 이용한 영향권의 설정 25
1. 본 방법론의 적용 및 기존 연구와의 비교흐름 25
2. 본 연구 방법론의 적용 26
2.1 가상 사업의 설정과 직접영향권 26
2.2 PV율을 이용한 간접영향권의 설정 27
2.3 통행배정모형의 정산과 수단분담 29
2.4 RV율을 이용한 영향권의 설정 30
2.5 율을 이용한 영향권의 설정 32
3 수행결과의 평가 39
3.1 설정된 영향권의 비교 39
3.2 수단전환 통행량의 수렴성 비교 40
3.3 율을 적용하여 도출한 영향권의 특성 42
3.4 편익의 비교 45

제 5 장 결론 47
1. 결론 47
2. 향후과제 49

참고문헌 5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