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테헤란로변 사유 공개공간의 이용실태와 이용자 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havior and Consciousness of the Users of the Private Open Space at Teheran street

초록/요약

The research is to see grasp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private open space, and to evaluated with `public use', to investigate the consciousness of the user and the manager problem point and difference. With this character, this goal is the private public space`s management plan which accomondates the opinion of the general public and the people. Method of research are Plot resolution, site observation investigation, user and manager question investigation on privatization of the private open space at Teheran Street. First, about 60% of the private open space is used in goal of resting and walking. But about 40% of the private open space restricted a use or gives an inconvenience to a rest and walk. Second, the result which analyzes uses of 10 open spaces privated, public use appeared some more highly usual. Utilization appeared highly in each evaluation factors, and Accessibility, openness, convenience appeared to usual level. Comfortableness appeared lowly. In order for the utilization to appear highly, there is the fact that the activity is active in the private open space. Accessibility, openness, convenience in the private open space were created to usual level. The walking approach is more convenient than Public transportation. Openness in the private open space one self were created highly, but there is established fences and stairway for privatization. In case of comfortableness, there is established the store's chairs, tables, etc. for rest, but public didn`t use them freely. Comfortableness appeared lowly. Cleanliness is a usual level, but Aesthetic characteristic like landscape and statues was insufficient. Third, the result which analyzes the user`s satisfaction of 10 open spaces privated, there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s not difference in user type and sites. And general satisfaction is 3.60 and appeared to high level than usual. Utilization appeared 3.63 and is highest in each evaluation factors. User is recognizing that the activity is active in the private open space. There appeared highly in order of Accessibility, openness, convenience, Comfortableness. Comfortableness appeared 3.22 and is most lowly. Users thinks that Aesthetic characteristic like landscape and statues is insufficient. This result is indentical present condition investigation result. Forth, the result which analyzes the user`s recognition of 10 open spaces privated, there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s not difference in user types and sites. 62%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didn`t know the private open space. There is a fact that many users didn`t know recognition of the privatie open space. Fifth, the result which analyzes the yes or no investigation of 10 open spaces privated, there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s difference in users and manager. 77.5% of users agreed use of the private open space. but 6.1% of managers agreed barely. Users agreed for use of the private open space because of Utilizaion and accessibility. Managers didn`t agreed for use of the private open space because of Openness. Sixth, the result which analyzes the Managements of 10 open spaces privated, Users think that must permit and encourage the private open space partly. Managers think that must regulate the private open space strictly like penalty. Users are satisfied to usual level about the private open space. They t h i n k affirmatively about commercial use like cafe, because the private open space is used actively. But access of public people is difficult by establishing fence, so manager need to regulate the privat open space for openness. Comfortableness appeared lowly, so it`s necessary for management of encouragement and promotion Managers thinks that oppose use of the private open space. They recognized activity of the private open space and positive effect on street environment. But they think that need strict regulation the private open space like penalty, because anyone don`t use the open space and illegal.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사유화되고 있는 공개공간을 중심으로 공개공간의 사유화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도시 공공공간으로서 가지는 건축적 ‘공공성’의 의미와 평가, 그리고 이용자 및관리자의 의식을 조사하여 문제점 및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개공간을 두고 현재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공공과 민간의 의견을 수용한 관리방안의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테헤란로변의 위치하며 사유화되고 있는 공개공간을 중심으로 도면 분석, 현장 관찰조사, 이용자 및 관리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테헤란로의 전면공지와 공개공지 중 약 60%는 보행 및 휴식 등 조성 목적에부합하여 이용되고 있으나, 나머지 40% 는 이용이 제한적이거나 보행 및 휴식에 불편은 주는 행위로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용 제한, 주차 등 직접적으로 불편을 주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강력한 단속을 행할 수 있다. 하지만 카페 테라스 설치의 경우 가로에 면해 활발히 이용되고 있고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도시민들도 있어 이에 대한 별도의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사유화된 공개공간 10개소의 조성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공공성’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조성되었음이 나타났다. 각 평가항목별로는 ‘사회성’이 높게 나타났고, ‘접근성’, ‘개방성’, ‘편리성’은 보통 수준이며, ‘쾌적성’은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성’이 높게 나타나 공간에서의 활동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접근성’, ‘개방성’, ‘편리성’은 보통 수준으로 조성되어 있었는데, 대중교통보다는 보행을 통한 접근이 유리했으며, 공간자체의 조성은 ‘개방성’이 높게 조성되어있는데 반해 후에 펜스나 계단을 설치함으로써 ‘개방성’이 낮게 평가되었음이 나타났다. ‘편리성’의 경우, 의자, 테이블 등 휴식에 필요한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으나, 소유주체가 상업 시설이기 때문에 공공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없는 점이 나타났다. ‘쾌적성’의 경우 다소 낮게 나타났는데, 청결도는 보통 수준이나 조경이나 미술품 등 심미성을 높이는 요소가 부족하였다. 셋째, 사유화된 공개공간 10개소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대상지 및 이용자 유형에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3.60으로 보통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평가항목별로 살펴보면, ‘사회성’이 3.63으로 가장 높아 조사 대상지에서 휴식을 목적으로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과 활동이 활발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접근성’, ‘개방성’, ‘편리성’, ‘쾌적성’ 순으로 나타났다. 쾌적성에서는 3.22의 낮은 만족도를 보여 조경이나, 미술품 등 심미적 요인들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있어 현황조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사유화되고 있는 공개공간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대상지 및 이용자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2%가 모른다고 응답하여공개공간에 대한 인식도 낮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사유화되고 있는 공개공간에 대한 찬반 여부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이용자,보행자)와 관리자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사용자(이용자, 보행자)의77.5%가 찬성 의견이었고, 관리자의 6.1%만이 찬성의견을 보였다.사용자(이용자, 보행자)는 ‘사회성’과 ‘접근성’에 유리하기 때문에 공개공간에 대한 사유화를 찬성했다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고, 관리자의 경우 ‘개방성’, 즉 누구나 이용하기 불리하기 때문에 반대한다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다. 여섯째, 사유화되고 있는 공개공간에 대한 관리방안에 대한 의견을 분석한 결과, 사용자(이용자, 보행자)의 경우 ‘일부 허용, 장려’의 의견이 대부분으로 나타났고, 관리자의경우 ‘규제, 재조성, 세금 부과’ 등 강력한 규제를 통한 관리방안을 대부분의 의견으로나타났다. 사용자(이용자, 보행자)의 경우, 현재 사유화된 공개공간에 보통 수준으로 만족하고있으며, 특히 상업용도에 영향을 받아 많은 사람들이 공간을 활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조사 대상지들은 펜스 및 담장 등으로 자신만의 영역을 설정하여 공공의 접근을 어렵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개방성’ 측면에서 규제가 필요하다. 또한 가로 환경을 이루는 공간으로서 ‘쾌적성’ 및 ‘심미성’이 부족한 측면이 있음으로 이에 대한 장려 및 권장사항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관리자의 경우, 사유화된 공개공간에 대해 반대 의견이 다수이나 상업 용도에 영향을받아 많은 사람들이 공간을 활용하고, 가로 환경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해 수긍하고 있는 입장이다. 하지만 누구나 이용할 수 없고, 불법적인 사항이기 때문에 일정세금, 휴식공간으로 재조성 등의 강력한 규제를 통한 관리방안을 선호하고 있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1 연구의 배경 1
1.1.2 연구의 목적 3
1.1.3 연구의 기대효과 3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1.2.1 연구의 범위 4
1.2.2 연구의 방법 4
1.3 연구의 구성 및 흐름 5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6
2.1 도시 공공공간의 정의 6
2.1.1 도시 공간의 개념 6
2.1.2 도시 공간의 분류 7
2.1.3 도시 공공공간의 기능 및 특성 9
2.1.4 도시 공공공간의 역할 및 가치 13
2.1.5 도시 공공공간의 문제점 15
2.2 공공성 및 사유화의 개념 17
2.2.1 공공성의 개념 17
2.2.2 도시건축 관점에서의 공공성 19
2.2.3 사유화의 개념 21
2.2.4 도시건축 관점에서의 사유화 22
2.3 공개공간 관련 법제도 및 사례 25
2.3.1 공개공간 관련 법제도 용어 정의 25
2.3.2 국내 공개공간 관련 제도 36
2.3.3 국외 공개공간 관련 제도 41
2.3.4 국내외 공개공간 관련 제도 비교 45
2.3.5 국내외 공개공간 관련 사례 47
2.4 선행연구 고찰 59
2.4.1 선행연구 검토 59
2.4.2 연구의 차별성 61
제3장 테헤란로 공개공간의 조성 현황 62
3.1 조사 분석의 개요 62
3.1.1 대상지 선정 62
3.1.2 대상지 개요 62
3.1.3 조사 내용 및 방법 65
3.2 테헤란로 공개공간 조성 현황 65
3.2.1 전면공지 조성 현황 65
3.2.2 공개공지 조성 현황 66
3.3 테헤란로 공개공간 이용 현황 68
3.3.1 보행 68
3.3.2 휴식 69
3.3.3 제한적 휴식 70
3.3.4 사유화 이용 71
3.3.5 이용 제한 72
3.4 소결 73
제4장 공개공간 사유화에 대한 현황조사 및 분석 74
4.1 조사 분석의 개요 74
4.1.1 조사 대상의 선정 74
4.1.2 조사 방법 및 내용 75
4.1.3 분석의 틀 설정 76
4.2 공개공간 사유화 현황 분석 82
4.2.1 접근성 82
4.2.2 개방성 84
4.2.3 편리성 85
4.2.4 쾌적성 86
4.2.5 사회성 87
4.3 공공성 평가 88
4.3.1 공공성 평가 기준 및 지표 설정 88
4.3.2 사유화된 공개공간의 공공성 평가 89
4.4 소결 90
제5장 공개공간 사유화에 대한 의식조사 92
5.1 의식조사 개요 92
5.1.1 조사 분석의 개요 92
5.1.2 조사 내용 및 방법 93
5.2 응답자 일반사항 94
5.2.1 표본적 특징 94
5.2.2 이용현황 95
5.3 공개공간 만족도 분석 96
5.3.1 만족도 분석 96
5.3.2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항목 분석 97
5.4 공개공간 인식도 분석 98
5.4.1 공개공간 인식여부 분석 98
5.4.2 공개공간 사유화에 대한 찬반의견 분석 99
5.5 공개공간 관리방안 분석 104
5.5.1 관리방향 분석 104
5.5.2 세부관리방안 분석 106
5.6 소결 108
제6장 결론 110
6.1 연구의 결과 110
6.2 공개공간 사유화에 대한 제언 112
6.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1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