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네트워크 분석기법(Network Method)을 활용한 개선옵션 평가 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 A Case on Set top-box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Method for the Improvement Options using Network Method

초록/요약

최근의 환경문제는 국가나 지역에 국한하지 않고 국제적인 이슈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환경관련 협약 및 법안이 만들어지고 있다. 특히, 제품과 관련된 환경규제는 기업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업들은 자사 제품의 환경성을 개선하고 제품환경규제를 만족하기 위해 친환경제품설계를 수행해야 한다. 제품 개발자는 친환경제품설계를 통해 제품이 갖고 있는 환경적 약점과 관련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제품의 환경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개선옵션을 도출할 수 있다. 다만, 기업은 친환경제품설계를 통해 도출된 개선옵션을 효율적이고 선택적으로 해당 제품에 적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개선옵션에 대한 평가 기법이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친환경제품설계와 관련된 국제 표준인 ISO/TR 14062, IEC Guide 109, IEC 62430의 개선옵션 평가에 대한 언급과 친환경제품설계를 수행하고 있는 대기업 2곳(국내/국외), 중소기업의 적용사례 중 개선옵션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통해, 친환경제품설계의 개선옵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한계를 인지하여, 개선옵션에 대한 새로운 평가 기법을 개발하였다. 제품 개발자는 개발된 개선옵션 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개선옵션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량적인 수치를 근거하여 선정할 수 있다. 더불어,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개선옵션에 의한 변화인자를 체계적으로 도출·고려함으로써, 실제 제품에 개선옵션이 적용되었을 때, 개선옵션에 의한 환경개선효율의 설계단계 예상 환경개선효율과의 격차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제품 개발자는 개선옵션 평가 기법을 통해 도출된 총개선지수(Total Improvement Indicator; TII)를 근거로 제품의 환경성능을 효율적(투자대비 환경성능개선율이 높음)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개선옵션 평가 기법을 셋톱박스에 적용하여 친환경제품설계를 통해 도출된 개선옵션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결론적으로 개선옵션 평가 기법을 통해 제품 개발자는 제품의 환경성능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These days, environmental problem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national as well as international issue. Because of its seriousness, formulation of regulation and reaching an agreement is very essential. Especially, environmental regulations related to the product directly affect the companies, which compelled them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their products and comply with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by going through ecodesign process. The product developer extracts improvement options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s of the target product through ecodesign. It consists of environmental weak points and requirements of stakeholder. Companies have to apply to improvement options that are essential and economically feasible to target product, and to achieve this, they needs an evaluation method to identify improvement op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international standards in connection with ecodesign i.e. ISO/TR 14062, IEC Guide 109, IEC 62430 have been analyzed to find out the improvement options. I have then checked applicable case of applied ecodesign to companies. By checking both information, evaluation of improvement options can be shorted out. Hence, an evaluation method of improvement has been developed from this research. The product developer can select the best improvement options based on quantitative interpretation by using this evaluation method of improvement options. They can then minimize the gap between suggested improvement rate and real improvement rate by using network method that makes it possible to extract changed factors when improvement options is applied to target product. The product developer will be also able to improv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target product by using suggested TII(Total Improvement Indicator) that was extracted from evaluation method of improvement options. The case study has been done on set top box. In conclusion, product developer can improve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target product through the evaluation method of improvement options.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2
1. RoHS 4
2. WEEE 5
3. REACH 6
4. EuP 7
5. 친환경제품설계의 필요성 8
제2절 연구목적 9
제3절 논문구성 11
제2장 문헌연구 13
제1절 친환경제품설계(Ecodesign)관련 표준 14
제2절 기업 내 에코디자인 적용 사례 17
1. L 전자 17
2. H 전자 20
3. 중소기업 사례 21
제3장 개선옵션 평가 기법 개발 23
제1절 개선옵션 평가 기법 개요 24
제2절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한 개선옵션 평가 기법 26
1. 네트워크 분석기법 26
2. 네트워크 분석기법의 활용 26
제4장 사례연구 33
제1절 대상제품의 선정 34
1. 선정 근거 34
제2절 대상제품의 정의 및 분류 46
1. 일반적 정의 46
2. 사례 분석에서의 정의 47
3. 대상제품의 분류 48
제3절 대상제품의 환경적 측면 분석 및 주요 관여 주체 규명 49
1. Screening LCA 수행 49
2. 관여 주체 요구사항 분석 60
3. 대상제품의 개선옵션 선정 66
4. 개선옵션 평가 기법 적용 74
제5장 결론 및 향후 연구 85
제1절 결론 86
1.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한 개선옵션 평가 기법 개발 86
2. 개선옵션 평가 기법의 수행 87
제2절 향후 연구 88
제6장 참고문헌 89
ABSTRACT 9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