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일반계 고등학생의 상담활동 실태 및 요구조사

초록/요약

2008년 대입자율화의 시행과 더불어 학교상담에 대한 지원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상담활동 실태와 만족도, 상담활동에 관한 개선요구를 조사하여 개선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문헌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수원시 일반계 고등학교 4개교의 재학생 649명을 무선 유층 표집으로 선정하였고, 설문조사지는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보완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0년 4월 15일 ~ 4월 24일까지였다. 조사결과는 SPSS v.12.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Chi-Square Test)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받은 횟수는 응답자의 67.0%가 1∼2회인 것으로 나타났고, 거의 모든 응답자(86.7%)가 개별상담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에 소요된 시간은 개별 10∼20분 정도라고 응답한 비율이 40.8%로 가장 높았으며, 상담이 필요한 이유에 관하여는 86.7%가 학업 및 진로관련이라고 답하였다. 셋째, 상담활동에 관한 만족도는 비교적 만족(41.6%)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담활동은 주로 교무실(80.1%)에서 담임교사(94.7%)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학교에 상담교사를 확보하고 있는지에 관하여는 대부분의 학생이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담교사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6.2%에 불과했다. 다섯째, 전문상담교사가 필요한지에 대한 여부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72.1%로 나타났고, 특히 진로상담교사를 우선 확보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76.7%에 달하였다. 여섯째, 상담 받고 싶어하는 장소에 관하여 상담실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74.6%로 나타났고, 상담 시간은 40분 이내가 적당하다는 응답이 45.3%로 가장 높았다. 일곱째, 상담활동에서 우선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내용에 관하여는 원할 때 상담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26.5%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고, 상담자는 학생이 요구하는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응답이 34.2%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상담교사를 육성하는 것 뿐 아니라 진로상담교사를 전문적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둘째, 한 학교에 1개 정도인 상담실을 증설하여 개별적인 상담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학생과의 개별 상담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개별 상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학교 상담 공간을 더 많이 확충하도록 한다. 셋째, 진로상담을 위한 체계적 정보제공의 통로가 반드시 필요하다. 학생을 지도하고 교육하는 주체로서 보다 전문적이고 정확한 학업 및 진로정보를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진로와 관련한 여러 기관 사이에 정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진로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학업과 진로에 대해 궁금한 부분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방법을 충분히 홍보하여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진로상담교사가 배치된다면, 상담실이 어디에 있고 언제 이용할 수 있는지 등을 학교 실정에 맞추어 홍보해야 한다. 다섯째, 진로상담교사를 지원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진로상담교사라고 진로와 관련한 최신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매년 바뀌는 입시요강과 입시제도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가 있다면 진로상담교사의 전문성은 높아지게 될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내용 3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4. 연구 범위 및 한계 5
Ⅱ. 이론적 배경
1. 상담활동의 기능과 유형 6
2. 상담교사제도의 변천과정 13
3. 상담제도의 운영 현황 19
4. 선행 연구 24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 조사 대상 및 방법 27
2. 조사 영역 및 내용 28
3. 조사 방법 30
4. 조사 결과 처리 3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 상담 활동 실태 31
2. 상담 활동에 관한 만족도 38
3. 상담 활동에 관한 개선 요구 45
4. 종합 논의 58
Ⅴ. 요약 및 결론
1. 요약 60
2. 결론 및 제언 63
참고문헌 68
부록 7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