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인접지역 주민들의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Neighboring Residents on Super Tall Building

초록/요약

수십 년 째 국내의 초고층 건축물하면 당연 63빌딩이라고 말했던 날도 이젠 지났다. 현재 계획하고 또는 이미 착공이 시작된 국내의 초고층 건축물만 해도 10개가 넘는다. 이렇듯 2000년이 들어서면서부터 해외의 초고층 건축물의 붐에 따라 국내에서도 우리 자국의 기술로 건축물을 짓고 있다. 이젠 50층이 넘는 건축물은 그다지 높다는 생각이 덜 들면서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여러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얼마 전 완공된 두바이의 버즈칼리파는 우리나라의 기술력이 들어간 건물이자 세계 최고 높이의 빌딩으로서 유명세를 탔다. 또한 홍콩, 말레이시아, 중국 등 동남 아시아지역에서도 초고층 건축물이 들어서면서 보는 관광효과 또한 만만치 않았다. 초고층 건축물 하면 가장 먼저 떠올랐던 미국의 시대는 이제 세계 높이 1위부터 10위 까지 8개가 아시아 지역에 밀집해 있을 정도로 초고층 붐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관광효과와 함께 국가 및 도시의 이미지를 높이는데 이만한 자랑거리가 없을 정도다. 그러나 이러한 찬성론자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초고층 건축물을 반대하는 반대론자들에게는 초고층은 에너지가 많이 들고, 화재나 위험이 발생했을 때, 인명피해를 가져다 줄 위험적인 요소라고 설명한다. 또한 초고층 건축물로부터 파생되는 교통체증이나 일조권의 침해는 지역 주민들에게도 악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국내 언론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주민들의 반발과 의견 충돌로 인해 공사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양분된 의견 속에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국민들의 선호도 의식이나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등을 다룬 연구가 많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선호도 조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그리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초고층 건축물이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 분석해 보고, 이를 도시 계획적, 건축 계획적, 인문 사회적인 요소로 나누어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국내에 조사대상지로 알맞은 잠실과 상암 지역의 주거를 선정해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추출된 영향요인에 대해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선호도 조사의 기본이 되는 인문 사회적인 영향요소의 빈도분석을 해보았다. 가장 많은 비율은 성별에서는 여성, 연령에서는 30대, 주요 이동수단에서는 자가용, 거주기간에서는 3-4년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조사되었던 초고층 건축물의 필요성에 대한 찬성 비율보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초고층 건축물 인접지역의 주민들의 찬성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로써 주민들의 반발로 인한 문제가 되었던 기사 또는 언론매체의 내용은 대부분의 주민들의 의견이 아닌, 일부 반대의견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나온 내용임을 추측해 볼 수 있었다. 초고층 건축물 건립의 찬반 의견에는 지역 간의 차이도 보였다. 전체의 찬성비율을 65%로 반대35%의 비해 월등히 많았으나, 잠실 지역의 경우는 찬성과 반대가 각각 52%, 48%로 많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상암 지역은 찬성이 반대의 의견에 비해 3배가 높아 지역 간의 차이 또한 극명함을 알 수 있었다.우리지역에 초고층 건축물이 건립되는 것을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97% 이상이 알고 있다고 답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고 이를 주민들이 잘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6가지의 인문 사회적인 영향요소(성별, 연령, 이동수단, 거주기간, 주민/상인, 지역)를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주민들의 찬반 의견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지역과 주민/상인(주민, 상인)의 두 가지 영향요인이 선호도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이 두 가지 영향요인을 다시 건축 계획적 영향요인과 도시 계획적 영향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지역과 가장 상관관계 높은 요소는 ‘대중교통 발달로 접근성이 좋아질 것 같아서’라는 찬성의견과 ‘그림자로 인한 일조권 문제 때문에’라는 반대 의견, 선호하는 초고층 건축물의 높이, 초고층 건축물 내 문화시설 이었다. 주민/상인(주민, 상인)과 상관관계 높은 요소들은 ‘인근상업 시설이 쇠퇴할 것 같아서’라는 반대의견과 ‘그림자로 인한 일조권 문제 때문에’라는 반대의견, 초고층 건축물 내 쇼핑몰 및 고급 음식점, 문화시설, 교육시설 등으로 분석되었다. 총괄적으로 인문사회적인 영향요소인 주민/상인은 초고층 건축물의 용도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정리되었다. 또한 지역의 영향요소는 초고층 건축물의 높이와 상관관계가 큰 것으로 정리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초고층 건축물을 찬성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지역의 홍보효과 때문이라는 의견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이 의견은 부동산 가격의 상승 때문에 찬성한다는 의견과 0.000의 유의확률을 보였다. 또한 선호하는 초고층 건축물의 높이는 찬성의견에서는 600m 이상, 반대의견에서는 300m 이하로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모집단에 상관없이 초고층 건축물 내의 용도는 문화시설이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선호도에는 오피스텔 및 주거시설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선호도 조사를 통해 인접지역 주민들의 선호하는 건축 계획적 요소와 도시 계획적 요소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를 통해 국내 초고층 건축물 건립 시 주민들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한 영향요인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의식조사의 범위를 초고층 건축물의 인접지역으로 좁혀, 현재 인접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통해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다만, 국내 초고층 건축물의 완공사례가 아직 없을 뿐만 아니라 착공이 시작된 건축물만 존재하여, 인접지역 주민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추후 국내 초고층 건축물이 완공된 지역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와 함께 구체적인 특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접지역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요인간의 중요도 분석과 가중치 적용 없이 일괄적으로 평가를 실시하여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 졌다고 보기가 어렵다. 추후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영향요인간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주민들의 선호도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의식의 재평가가 요구된다.

more

초록/요약

For several decades, the super tall building used to mean the 63 Building, but these days are over now. There are over 10 super tall buildings that are in planning phase or undertaken already in Korea. As such, come into 2000, along with the boom in the overseas for super tall buildings that Korea uses its own technologies to build such structures. With more prevalent 50-story or taller building structures all around, there are a number of opinions on super tall buildings. Recently completed Burj Khalifa of Dubai has gained the popularity as the building with Korean technologies as well as its world highest height. In addition, Hong Kong, Malaysia, China and other Southeast Asian regions have those super tall buildings to have the significant tourism effect. For super tall buildings, once the US dominated in the field, but now the Asian region has 8 buildings of top 10 buildings with the tallest height that this is the region for the super tall buildings. In addition, along with the tourism effect, there is nothing to raise the pride for enhancing the national and city image. However, there are not just the concurring persons only. There are people who oppose the construction of super tall building for having these super tall buildings requiring substantial energy, and potential risk for human casualty upon fire or other hazards. In addition, the traffic stagnation or interference on sun light derived from these super tall buildings bring adverse impact for local residents. Korean press also has reported to influence on the construction from the opposition of residents and conflict of opinion on super tall buildings. Under the divided opinions, there are many studies on handling the issues on super tall buildings for preference of people or general perception and the like for super tall building. However, there has been no preferential survey on super tall building with the subject of local residents under social issues has yet to be undertaken. Therefore, through the advance studies, the factors influencing on super tall building are analyzed, and these factors are divided into urban planning, architectural planning and social factors in preparing the questionnaire. By selecting the residents in the Jamsil and Sangam areas appropriate for the subject sites of domestic surve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implemented for the residents. Following is the result of survey on the preference on the factors of extracted factors.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humanities influencing factor that is the basis of the survey of preference was undertaken. The most frequent ratio was for woman for gender, 30s for age, driving for transportation and 3-4 years of residential period. In addition, the approval ratio on the residents in the neighboring region of the super tall building as surveyed in this research was higher than the approval ratio on the needs of super tall building as surveyed on the advance research. Therefore, the contents of newspaper articles or media that were the issue from the opposition of residents were in fact could be assumed as the contents from some of the opposing residents, not the consensus of residents. For the opinions to approve and oppose the construction of super tall building, the difference of each region was clear. The overall approval ratio was 65%, much more than the opposition of 35%, but the Jamsil area had the approval and opposition for 52% and 48%, respectively, not to show substantial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the Sangam area had three times more of approval than the opposition to show clear difference for each region. To the question whether if they knew about the construction of super tall building in the area, 97% or more answered affirmatively that it has become a social issue and residents are well aware of it. 6 humanities influencing factors (gender, age, moving means, residential period, type, area) have been learned for correlations with the approval and opposition opinion of residents for super tall building. As a result, the two factors of area and type (resident and commercial zone) were analyzed as having th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preference. These two influencing factors are analyzed with the correlation with the architectural planning influence factor and urban planning influential factor. Factors with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area had the approval opinion in ‘having better access to the 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opposition opinion for ‘having the illumination right from the shade’, as well as the height of preferred super tall building and cultural facilities in super tall building. Factors with high correlations with the type (resident and commercial zone) have the opposition opinion that ‘the adjacent commercial facilities to be obsolete’ and the opposition opinion for ‘having the illumination right from the shade’, as well as the analysis for the shopping mall and high class restaurant, cultural facilities, and educational facilities in super tall building. Comprehensively, the humanities influencing factor, type, is clarified as having the largest correlation with the usage of super tall building. In addition, the influence factor of the area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height of super tall building. Through such an analysis, the biggest reason to approve super tall building is that it has the publicity effect of the area as the highest preferential factor, and this opinion has the noticeable probability of 0.000 with the opinion to approve due to the increase of the real estate price. In addition, the height of preferred super tall building had the contrasting opinion for 600m or more for approval opinion and 300m or less in opposing opinion. Regardless of the parent group, the usage in super tall building was the highest for cultural facilities and the lowest for office-tel and residential facilities. Through this preferential survey, it finds out the architectural plan factor and urban planning factor that the neighboring residents prefer, and the influence factor to heighten the preference of residents when building super tall building in Korea. This study narrows down the scope of recognition survey on super tall building that was implemented for existing general residents to the neighboring area of super tall building to implement the preference survey through the on-site questionnaire survey with the residents residing in the neighboring area. However, there is no case of completion for any super tall building in Korea, and there are buildings that have been commenced for construction that it has the limitations to survey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neighboring residents. There is a need to analyze the detailed features together with the survey of satisfaction degree for the area with completed super tall building in Korea. In addition, it is hard to consider the accurate evaluation was made by implementing the evaluation without applying the added value and importanc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 the neighboring areas. By applying the added weight between the influence factors through the professional questionnaires, it would make the re-evaluation of recognition through the survey of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residents.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1 연구의 배경 1
1.1.2 연구의 목적 1
1.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2
1.2.1 공간적 범위 2
1.2.2 시간적 범위 2
1.3 연구의 과정 및 범위 3
1.4 초고층 건축물의 개념 5
제2장 이론적 고찰 7
2.1 선행연구 고찰 7
2.2 초고층 건축물이 인접지역에 미치는 영향요인 도출 11
2.3 초고층 건축물이 인접지역에 미치는 영향 12
2.3.1 초고층 건축물의 긍정적 영향 12
2.3.2 초고층 건축물의 부정적 영향 13
제3장 건립현황 및 실태 분석 15
3.1 건립현황 분석 15
3.1.1 세계 초고층 건축물 건립 현황 15
3.1.2 국내 초고층 건축물 건립 현황 18
3.2 조사 대상지 현황분석 21
3.2.1 서울 상암 DMC 랜드마크 빌딩 21
3.2.2 서울 잠실 제2롯데월드 23
3.3 영향요인의 조사기준 24
제4장 인접지역 주민들의 선호도 조사 및 분석 27
4.1 선호도 조사의 개요 27
4.1.1 조사의 현황 27
4.1.2 조사 항목 및 분석방법 28
4.2 선호도의 일반적 특징 29
4.2.1 표본적 특징 29
4.2.2 초고층 건축물의 일반적인 인식 30
4.3 인접지역 초고층 건축물의 선호도 조사 32
4.3.1 지역별 초고층 건축물의 선호도 조사 33
4.3.2 주민/상인별 초고층 건축물의 선호도 조사 34
4.4 모집단별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선호도 조사 36
4.4.1 모집단별 찬성 이유 분석 36
4.4.2 모집단별 반대 이유 분석 41
4.4.3 모집단별 선호하는 초고층 건축물의 높이 분석 46
4.4.4 모집단과 선호하는 초고층 건축물의 용도 분석 50
제5장 결론 57
5.1 연구의 요약 및 정리 57
5.2 종합결론 58
5.3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 과제 6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