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보건교사의 직무수행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Competency Evaluation Scale for Korean Health Teachers

초록/요약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직무수행의 정도를 파악하여 그 능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보건교사의 직무수행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보건교사의 직무수행 평가도구는 학교현장과 학교보건법, 시행령, 문헌고찰 등을 통해 작성된 초안을 기반으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과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이 과정은 3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제1단계는 문항개발단계로 보건교사의 직무조사를 통해 평가문항을 도출하는 단계이며, 제2단계는 도출된 평가문항을 전문가집단의 설문조사를 통해 수정․조정하여 예비 평가도구를 완성하는 것이다. 제3단계는 예비 평가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단계로 K도내 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보건교사에게 자기평가식 설문지를 이메일로 송부한 후 회수된 520부를 분석하였다. 구성타당도는 요인분석으로 검증하고 결과에 따라 검토를 거쳐 직무수행 평가도구를 확정하였다. 신뢰도는 내적신뢰도 검사와 반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건교사의 직무수행 평가도구 개발은 제1단계 평가문항 개발단계에서는 3개 영역, 76개의 문항을 도출하였으며, 제2단계 예비 평가도구 개발에서는 3개 영역, 50개의 문항으로 수정․조정하고, 제3단계 예비 평가도구의 검증과 검토를 거쳐 7개 영역, 47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최종 평가도구를 확정하였다. 최종 평가도구는 보건교과교육, 건강검사와 행정, 건강관리 및 지도, 지역사회 연계활동, 교무분장수행, 보건실관리, 보건사업추진의 7개 영역으로 구성하고, 각각 10개, 9개, 11개, 5개, 5개, 3개, 4개의 평가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신뢰도는 전체 내적신뢰도 Cronbach's α .946, 반분신뢰도 .949, .943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건교과교육 영역은 창의적 수업방법 고안, 교수학습 자료제작 등 학교에서의 보건수업과 관련된 10개의 문항으로 내적신뢰도 .888, 반분신뢰도 .877, .902로 나타났다. 2. 건강검사와 행정 영역은 건강검사, 공문서 처리, 각종 계획 수립, 홈페이지 업무수행 등 9개 문항으로 내적신뢰도 .882, 반분신뢰도 .898, .861로 나타났다. 3. 건강관리 및 지도는 건강생활지도, 안전사고예방지도, 상담 및 진로지도, 정서적 요소개선, 정보제공 응급환자 처치 등 11개의 문항으로 내적신뢰도 .882, 반분신뢰도 .880, .884로 나타났다. 4. 지역사회 연계활동 영역은 지역사회 연계행사 참여, 봉사활동 참여, 공개수업 참관, 교육청 업무 협조 등 5개의 문항으로 내적신뢰도 .785, 반분신뢰도 .736, .823으로 나타났다. 5. 교무분장수행 영역은 학교교육계획서 작성 참여, 학교행사 업무수행 등 5개 문항으로 내적신뢰도 .716, 반분신뢰도 .740, .691로 나타났다. 6. 보건실관리 영역은 보건실 환경, 보건실 예산 확보 등 3개 문항으로 내적신뢰도 .756, 반분신뢰도 .751, .762로 나타났다. 7. 보건사업추진 영역은 보건사업에서의 역할, 보건사업 운영 조정 및 협조 등 4개 문항으로 내적신뢰도 .805, 반분신뢰도 .811, .800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개발된 보건교사의 직무수행 평가도구는 학교현장의 직무조사 등을 근거로 개발하여 3단계에 걸쳐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모든 문항이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도구가 학교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 더욱 발전된 보건교사 직무수행 평가도구가 개발될 것을 기대한다. 핵심어 : 보건교사, 보건교사의 직무, 직무수행 평가도구

more

목차

차 례
논문요약

Ⅰ. 서 론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A. 보건교사의 직무 6
1. 보건교사 직무의 이론적 변천 6
2. 보건교사 직무관련 연구 9
B. 보건교사의 직무수행 평가 16
1. 보건교사 직무수행 평가의 이론적 변천 16
2. 보건교사 직무수행 평가 관련 연구 18
C. 연구의 이론적 모형 20

Ⅲ. 연구방법
A. 연구설계 24
B. 연구대상 24
1. 직무수행 평가문항의 개발단계 24
2. 직무수행 예비 평가도구의 개발단계 25
3. 직무수행 예비 평가도구의 검증단계 25
C.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26
1. 직무수행 평가문항의 개발단계 26
2. 직무수행 예비 평가도구의 개발단계 26
3. 직무수행 예비 평가도구의 검증단계 26
D. 자료분석방법 27
1. 직무수행 평가문항의 개발단계 27
2. 직무수행 예비 평가도구의 개발단계 27
3. 직무수행 예비 평가도구의 검증단계 27
E. 연구의 윤리에 대한 고려 29
F. 연구의 제한점 29
G. 연구의 내․외적 타당도 고려 30

Ⅳ. 연구 결과
A. 직무수행 평가문항의 개발단계 31
B. 직무수행 예비 평가도구의 개발단계 34
1. 직무수행 평가문항의 타당도 분석 34
2. 직무수행 평가문항의 신뢰도 분석 38
C. 직무수행 예비 평가도구의 검증단계 42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2
2. 직무수행 예비 평가도구의 타당도 검증 44
3. 직무수행 예비 평가도구의 신뢰도 검증 59
Ⅴ. 논의
A. 직무수행 예비 평가도구의 타당도 검증 64
B. 직무수행 예비 평가도구의 신뢰도 검증 68
C. 연구의 의의 71
1. 간호학적 측면 71
2. 교육학적 측면 72

Ⅵ. 결론 및 제언
A. 결론 73
B. 제언 75

참고문헌 77
Abstract 86
부록 90

more